•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樊巖 蔡濟恭 「李忠伯傳」 硏究 (A Study On LeeChungBaek Biography(李忠伯傳) By BeonAm(樊巖) ChaeJeGong(蔡濟恭))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14.01
30P 미리보기
樊巖 蔡濟恭 「李忠伯傳」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korean Culture / 25권 / 69 ~ 98페이지
    · 저자명 : 신승훈

    초록

    「李忠伯傳」은 游俠傳이라기보다는 차라리 暴豪를 입전한 작품에 가깝다. 이충백은 游俠이라고 보기에 결격사유가 많아 유협이 아닌 폭호로 보아야 할 인물이기 때문이다. 채제공은 이충백을 大俠이라 규정하였지만, 이는 유협의 개념과 부합하지 않는다. 작자의 主觀이 개입된 것이다. 그럼에도 「이충백전」은 傳의 장르적 속성과 전통에 충실한 작품이다. 따라서 전을 전통적인 문장양식의 하나로 볼 때, 그 가치와 의의는 충분히 있다.
    「이충백전」은 인물성격과 동작을 묘사하는 데에 주력하고 있다. 이충백은 酒邪가 있고 폭력적이지만, 씩씩하고 늠름한 기백이 있었다. 위기의 상황에도 침착하게 대처할 줄 아는 주도면밀한 성격이었으며, 戰場에서는 날래고 용감하여 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벼슬에서 물러나 退處함으로써 功名에 연연하지 않는 지혜도 보였다. 그러나 의심이 많았고, 약한 이들을 威勢를 이용해 부려먹는 폭호의 면모도 있었다. 오만하고 자의식이 강하여 자신의 집 앞을 지나는 사람들이 말을 타고 지나가지 못하게 할 정도였다. 이 모두는 채제공의 敍事에 나타난 다양한 기법을 통해 形象化되었고, 그것은 문예적이라 평가할 만하다.
    「이충백전」은 對話體를 적절히 사용하여, 敍事와 對話, 描寫를 적재적소에 배치하였다. 이는 생동감이 넘치는 인물형상이 가능하게 한 요소이다. 작자의 상상으로 이루어진 대목이 여러 곳 있는데, 이는 부족한 자료의 공백을 메우는 문학적 장치로서의 구실을 충분히 하였다. 또 간략하게 사실을 요약하여 작품을 긴장감 넘치게 하였다. 이는 채제공의 글쓰기 전체를 관통하는 작법상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蔡濟恭은 「이충백전」을 통해 완전한 세계에 사는 이상적 인간을 그리기보다, 결함으로 가득한 세계에 실제로 존재하는 불완전한 인간을 그려내려고 하였다. 이는 유구한 傳의 장르적 속성과 전통에 그 맥락이 닿아있다.

    영어초록

    LeeChungBaek Biography(李忠伯傳) is close to the biography of cruel official(酷吏傳) rather than the biography of chivalrous person(遊俠傳). LeeChungBaek(李忠伯) seemed to be a cruel man rather than a chivalrous person(遊俠), because he had many disqualifications as a chivalrous person. ChaeJeGong(蔡濟恭) prescribed him as a great chivalrous person, but it did not correspond to the concept of chivalrous person. The subjectivity of writer much intervened in this opinion. But 「LeeChungBaek Biography(李忠伯傳)」 was faithfully according to the features and tradition of biography genre. Therefore, 「LeeChungBaek Biography(李忠伯傳)」 had enough value and meanings as a biography.
    LeeChungBaek Biography(李忠伯傳) made efforts to describe the character of person. LeeChungBaek(李忠伯) was a person who had lost his temper under the influence of alcohol, and he was violent. But he had a brave and manly spirit. He was cautious and circumspect in coping with the critical situation with composure. And he was speedy and brave, performed a meritorious deed in the war. He also had wisdom not for attaching to the fame when he retired from the political world. But he had many doubts, he was a cruel official who made servants work hard with his power. He was arrogant and highly self-conscious, so he made nobody pass in front of his houses riding on horses. ChaeJeGong(蔡濟恭) described all these aspects through various devices in his narration.
    LeeChungBaek Biography(李忠伯傳) used the style of dialogue properly, and put narrations and dialogues in right places. With this factors, he could describe the vivid characters. There were many parts composed of the imagination of the writer, this performed a good function of literary device that made up for the blank of deficient materials. He summarized the facts simply, so he made his biography raise the tension. This was concerned with the feature of composition method that passed through all writings of ChaeJeGong(蔡濟恭).
    ChaeJeGong(蔡濟恭) tried to describe the real existing imperfect human in the world filled with defects, rather than to describe the ideal human in the perfect world, through 「LeeChungBaek Biography(李忠伯傳)」. This was connected with the features and tradition of biography gen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korean Cultur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