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포스트모던 시대의 성경 권위 담론: 벤자민 워필드와 케빈 밴후저, 장종현의 견해를 중심으로 (A Discourse on Biblical Authority in Postmodernism : Focused on the Views of Benjamin Warfield, Kevin Vanhoozer, and Chang Jonghyun)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22.08
41P 미리보기
포스트모던 시대의 성경 권위 담론: 벤자민 워필드와 케빈 밴후저, 장종현의 견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생명과말씀 / 33권 / 2호 / 42 ~ 82페이지
    · 저자명 : 김상엽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포스트모던 시대의 한국교회에 적절한 성경 권위 담론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벤자민 워필드와 케빈 밴후저, 장종현 박사의 신학을 살펴볼 것이다.
    벤자민 워필드와 케빈 밴후저, 장종현은 모두 저마다의 신학적 정황 속에서 성경의 권위를 강조했다.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 니즘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각 신학 모델에 대해 비판이 있기도 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 가지 성경 권위 담론에서 도출되 는 연속성은 성경의 권위가 시대를 막론하고 언제나 강조되어야 한다는 사실에 있다.
    하지만 성경 권위를 고백하고 표현해 내는 방식에 있어서 세 신학자들의 방법에는 다소 차이가 있다. 워필드의 경우 합리주의로부터의 도전으로 인해 성경 권위 자체를 확보하는 문제에 집 중했다. 하지만 성경에 담긴 실천적 함의들을 명시적으로 제시 하지 못함으로써 다양한 비판에 직면해야 했다. 밴후저는 포스트 모더니즘이라는 맥락에서 성경 권위와 교회의 실천을 함께 강조 하고자 했다. 하지만 서구적인 맥락의 언어철학과 해석학적 측면 에서 논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의 신학을 한국교회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고, 실천적인 문제들을 다루기까지 또 다른 이론적 고찰이 필요하다는 구조적 모순을 지닌다. 장종 현 박사가 주창한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성경 권위와 교회의 실천 에 대한 이중적 강조를 보다 직관적이고 명시적으로 드러내고 있 다. 그 신학 내용 자체가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한국교회의 포스 트모더니즘이라는 맥락에서 전통적인 개혁신학을 계승하면서도, 성경의 권위와 교회의 실천을 좀 더 효과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시도로 볼 수 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서 오늘날 성경 권위와 교회의 실천적 삶을 함께 강조하는 신학적 모델을 추구해야 한다는 사실을 분명히 밝 히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ppropriate Biblical authority discourse in the postmodern era. To this end, we will look at the theology of Benjamin Warfield, Kevin Banhoozer, and Jang Jong-hyun. Although there have been criticisms on the previous theological models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from modernism to postmodernism, the continuity of Biblical authority discourse nevertheless lies in the fact that the authority of the Bible must be emphasized at all times.
    However,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methodology of the three theologians in the way they confess and express Biblical authority. Warfield focused on securing Biblical author- ity itself due to the challenges from Rationalism. However, he had to face various criticisms by failing to explicitly present practical implications contained in his Doctrine of the Bible. Vanhoozer tried to emphasize Bible authority and church life to- gether in the context of postmodernism. However, since his dis- cussions are made in terms of linguistic philosophy and herme- neutics in the Western context, there is a somewhat limitation in applying his theology to the Korean church as it is. Furthermore, his theological model has a structural contradiction that another theoretical consideration is needed to deal with prac- tical issues. Dr. Jang Jong-hyun’s Reformed Life Theology more intuitively and explicitly reveals the dual emphasis on Biblical authority and church life. Theological content itself is not some- thing new, but it can be seen as an effective attempt to inherit and apply traditional Reformed Theology, as well as a trial to emphasize Biblical authority and church life in the context of postmodernism in the Korean church.
    Through the discussion above, I would like to clarify the fact that we should pursue a theological model that emphasizes the authority of the Bible and the practical life of the church toge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생명과말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