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배화여고보 졸업기념사진첩으로 본 일제 강점기 여학교의 일상과 식민지 근대 (Daily Life and Modern Colony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Through 『Graduation Photo Album』 of Paiwha Girls′ Highschool)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17.06
38P 미리보기
배화여고보 졸업기념사진첩으로 본 일제 강점기 여학교의 일상과 식민지 근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88호 / 161 ~ 198페이지
    · 저자명 : 김명숙

    초록

    본고는 배화여고보 『졸업기념사진첩』을 사진역사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일제강점기 여학교의 일상이 갖는 식민지 근대성을 고찰하였다. 『사진첩』은 배화여고보에 1929-1943년(1939년, 1941년 결본)까지 13년 동안에 재학했던 여학생들의 학창시절을 일관되게 보여준다는 점에서, 기존 문헌연구의 공백을 메울 수 있는 자료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필자는 처음에 『사진첩』에서 보이는 여고생들의 일상이 식민지 현실과 다소 동떨어진 듯한 평화로움에 당황하였다. 그러나 시각을 달리하여 보면서, 배화여고 학생·교사들이 일제 식민 당국과 민족문제를 놓고 적지 않은 갈등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바로 이 점이 사진역사학의 존재 이유가 아닐까 한다.
    배화여고보 학생들은 일제의 여학교 교육목표였던 현모양처 교육보다 근대학문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더 컸으며, 다양한 근대스포츠를 역동적으로 즐기며 근대 자체를 주체적으로 수용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1938년부터 일제의 전시총동원체제에서 마치 병영처럼 변해버린 학교를 반영하듯 『사진첩』 속 배화여고보 학생들은 체련대회로 변모한 운동회에서 체력을 겨루는 경기에 동원되고, 시흥까지 행군을 했으며, 부여신궁 조영(造營) 근로봉사에 동원되었다.
    한편 배화여고보 학생·교사들은 『사진첩』 제작에 대한 일제의 감시와 통제 속에서도, 조선 8도에서 배화여고보에 진학한 여학생들을 「조선전도」 위에 핀 ‘무궁화 꽃’으로 표현하는 등 강한 민족의식을 표출하였다. 일제의 민족말살책의 완결판이었던 창씨개명도 1942년 졸업생의 22.5%, 1943년 졸업생의 19.1%가 불응하였다. 교사도 1/3 정도는 창씨개명에 불응하여 학교에서 축출된 사례도 발견된다. 『사진첩』의 ‘졸업생에게 주는 글’을 통해 민족의식을 불어넣어주고자 노력하였던 의기 있던 교사들마저도 1938년 이후 일제의 파시즘적 체제가 강화되면서 국민복을 착용하고 창씨개명을 한 초상사진에서, 식민지 지식인의 ‘저항과 순응’의 힘겨운 모습이 드러난다.

    영어초록

    This manuscript reviews the colonial modernity that daily life of the girls′ highschool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y analyzing the 『graduation photo album』 of Paiwha girls′ highschool from the ‘photography history’ aspect. The 『graduation photo album』 possesses a meaning as the photo historical data that could fill the empty space of the existing literature study from the point that it shows the school life of the female students who were attending the mission school, Paiwha girls′ highschool, for 13 years from 1929 to 1943(missing year 1939, 1941). I was first puzzled by the peacefulness from the 『graduation photo album』 showing in the daily life of the highschool girls which is a little different from the reality of the colonial period then. However, I could find out there was considerable amount of conflict between the school and teachers of Paiwha girls′ highschool with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when looking from the different perspective. I think this is the reason for the existence of photo history. The students of Paiwha girls′ highschool were more academically interested in the modern studies rather than how to be a good wife and nice mother which was the educational target in the girls′ highschool by Japan, and they tried to accept modern itself subjectively by enjoying various modern sports dynamically. However, reflecting the school as barracks in the war total mobilization system of Japan since year 1938, students of Paiwha girls′ highschool in the Paiwha girls′ highschool 『graduation photo album』 were mobilized in the sports day that was transformed into the competition, marched to Siheung(始興) and were mobilized as the Buyeo(夫餘) palace construction labor volunteer.
    On the other hand, the students and teachers of Paiwha girls′ highschool showed strong national consciousness such as expressing the Paiwha girls′ highschool students who entered in the 8 regions of Chosun as the ‘rose of sharon(無窮花)’ flowers blossoming on the 「Chosun Map(朝鮮全圖)」 despite the watch and control of Japanese on the making of the 『graduation photo album』. 22.5% of the graduates in year 1942 and 19.1% of the graduates in year 1943 have refused to change names as Japanese names which was the final edition for final solution of Japan. There is also a case where 1/3 of the teachers were kicked out by refusing to change names. Teacher Lee Man-gyu constantly tried to emphasize the good wife and wise mother through the 「Letter to the Graduates」 in the 『graduation photo album』 and tried to infuse national consciousness. However, since 1938, the Japanese fascist system has been strengthened, where we can look back the 'resistance and conformity' of an intellectual during the colonial period from the appearance where he wore national suit and changed his na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