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배의 개념 고찰과 교육적 개념 정립을 위한 논의 (Examining the Concept of Hanbae and Discussing the Establishment of its Educational Concept)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21.02
34P 미리보기
한배의 개념 고찰과 교육적 개념 정립을 위한 논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악교육연구 / 15권 / 1호 / 219 ~ 252페이지
    · 저자명 : 한윤이

    초록

    한배는 2007년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국악 지도 개념으로 처음 선정되어 정착되었으나 그 의미와 교육 용어로서의 적합성에 대한 논란이 종종 제기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배에 관한 어원적․개념적 고찰을 통해 한배의 보편적인 개념을 선정하고 국악 지도 개념으로 정립할 수 있는 근거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고찰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개념으로서 도입의 필요성과 적합성을 중심으로 교육적 의의를 논하고, 한배의 교육적 개념을 선정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배 개념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보편적이고 교육적인 개념을 정립하여 제시함으로써 한배가 국악 지도 개념으로서 적합함으로 밝히고 한배 지도의 교육적 근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여러 문헌을 대상으로 한배의 개념을 고찰한 결과 한배는 활쏘기에서 ‘쏜 화살이 과녁에 다다르는 것’을 의미하는 한배와 밀전한 관련이 있고 유래가 깊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음악에서는 빠르기, 장단의 한 주기, 장단, 시가(時價), 리듬형 등 여러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다의적으로 설명하는 경우도 있음을 알아냈다. 한배의 의미 중 빠르기의 개념이 지배적이었다. 따라서 이를 근거로 ‘빠르기’를 한배의 보편적인 개념으로 선정하였다. 한배는 ‘한배’와 ‘한 배’ 등으로 표기하는 사례가 있었는데 띄어 쓰는 표기는 오류임을 밝혀냈다. 또한 일반적으로 한배를 사용할 때 ‘한배가 느리다.’, ‘한배가 빠르다.’로 기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았으며, 장단으로 설명할 때에는 긴 장단은 ‘한배가 길다고 하고 한배가 느리다는 뜻이다.’로 설명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길이의 의미를 갖고 있는 한배는 우리 음악의 전통 기보 체계인 정간보에서 빠르기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장단을 기준으로 빠르기를 파악할 수 있는 개념이므로 정간보의 체계가 일반화된 학교 교육에 도입하는 것이 적합함을 밝혔다. 한배의 교육적 개념은 보편적인 개념을 근거로 하여 ‘우리 음악의 빠르고 느린 정도를 이르는 말’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한배는 장단을 통한 지도가 필요하므로 ‘일반적으로 장단을 통해 한배를 알 수 있다.’를 부연 설명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한배의 용례를 통해 보편적인 개념과 교육적 개념을 정립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앞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이론적 바탕으로 하여 구체적인 지도 체계와 그에 따른 지도 방안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Hanbae was first selected and situated as an instructional concept of Korean music in the 2007 revised music curriculum, but the controversy over its meaning and suitability for an educational term was often raised. To this, the study set up a universal concept of hanbae through its etymological and conceptual reviews and examined the grounds that can establish it as an instructional concept for Korean music. Based on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the study discussed educational implications centering on the necessity and appropriateness of introducing hanbae as an educational concept and set up the educational concept of hanba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ncepts of hanbae in various literature, it was found that hanbae was closely related to its meaning ‘a shot arrow reaches the target’ in archery and was of deep origin. In music, it is used in various concepts such as tempo, a cycle of jangdan, jangdan, siga(時價), and rhythmic patterns, and there are cases where it is described in multi-purpose. Thus,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empo’ was selected as the universal concept of hanbae. There have been cases where hanbae is written as ‘한배(hanbae)’ and ‘한 배(han bae)’, but it turned out that the spacing of the words was an error. When using hanbae in general, it is considered adequate to describe as ‘the hanbae of a given piece is slow or fast.’ When explaining in terms of jangdan, it is suggested to describe a long-jandan pattern as ‘hanbae is long, and that means slow.’ Hanbae, which has the meaning of length, is a concept that accurately recognizes tempos in Jeongganbo,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notation system, and understands tempos based on jangdan. Thus, it was revealed that it is appropriate to introduce the system of Jeongganbo into standardized school education. The educational concept of hanbae was set as ‘a term indicating the fast or slow degree of Korean music’ based on the universal concept. Since hanbae requires instruction through jangdan, it was suggested to explain further that ‘generally, one can learn hanbae through jangdan.’ This study focused on constructing the universal concept and the educational concept through the exemplary usages of hanbae. With the findings of this study as a theoretical basis, it is expected that further studies on specific teaching systems and corresponding teaching plans should be conduc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악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