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사학파 노암(魯菴) 배석면(裵錫冕)의 삶과 성리설 (The Life and Neo-Confucian Theory of Noam (魯菴) Bae Seok-myeon (裵錫冕) in the Nosa School (蘆沙學派))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25.03
30P 미리보기
노사학파 노암(魯菴) 배석면(裵錫冕)의 삶과 성리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98호 / 165 ~ 194페이지
    · 저자명 : 조우진

    초록

    본 논문은 화순 능주의 유학자 노암(魯菴) 배석면(裵錫冕)에 관한 첫 연구로 그의 삶과 성리설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그는 조선 개항기 말에 태어나 해방 이후 군부독재 시기까지 살았던 인물로 노사학파(蘆沙學派) 일신재(日新齋) 정의림(鄭義林)의 제자이다. 배석면은 정의림을 통해 성리학에 입문한 후, 그의 철학적 사유를 발전시켰다. 또한 일제강점기 이후 노사학파의 학맥을 계승하면서 쇠퇴하는 유학의 전통적 가치관과 세계관을 마지막까지 지키려고 노력한 인물이었다.
    배석면은 논쟁 중심의 성리학 이론을 벗어나 통합과 절충의 사유를 통해 성리학적 전통을 유지하고 계승하려는 철학을 표방했다. 그는 성리설에 대해 ‘다름 가운데 같음이 있고, 같음 가운데 다름이 있다’라는 관점을 일관되게 적용했다. 즉 배석면은 이기심성에 대한 다양한 논쟁에 대해 부분적 관점에서 다를 뿐, 큰 흐름에서는 같은 맥락일 뿐이라는 이해를 견지했다. 조선의 멸망 이후 리 중심의 사유체계가 무너지면서 학문적 흐름은 성리학 이론논쟁의 퇴색과 사서삼경의 경학 중심의 특징을 띠게 된다. 이것은 논쟁을 통한 유학적 사유가 쇠퇴하는 과정이지만, 한편으로는 마지막까지 유학의 도덕적 삶을 고수하려는 치열한 유학 정신의 발로라고 볼 수 있다.
    정의림이 스승 기정진의 학문적 사유를 바탕으로 화순의 노사학파라는 문인집단을 형성하여 화순유학의 밑거름을 뿌렸다면, 배석면은 스승 정의림의 학문적 사유를 계승하여 화순의 근대유학을 지켜왔다. 배석면에 대한 정당한 평가와 연구는 19세 후반에서 20세기 후반으로 넘어가는 화순 근대유학의 흐름을 철학·역사·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살펴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the first study on the Confucian scholar Noam(魯菴) Bae Seok-myeon(裵錫冕) of Neungju(綾州) in Hwasun(和順). It aims to explore his life and Neo-Confucian Theory(性理說). Born in the late Joseon period during Korea’s opening, Bae Seok-myeon lived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military dictatorship period after Korea’s liberation. He was a disciple of Ilsinjae(日新齋) Jung Euirim(鄭義林) of the Nosa School(蘆沙學派). Under Jung Euirim’s guidance, he entered the study of Neo-Confucianism(性理學) and gradually developed his own philosophical thought. Following the Japanese occupation, he dedicated himself to preserving and continuing the traditional Confucian values and worldview of the Nosa School, which was in decline.
    Bae Seok-myeon moved beyond the traditional debate-oriented approach in Neo-Confucianism(性理學) and advocated for a philosophy of integration(統合) and compromise(折衷) to maintain and inherit the Neo-Confucian tradition. He consistently applied the perspective that "there is sameness within difference, and difference within sameness." That is, he perceived the debates on Liqishimseong(理氣心性) as differing only in perspective while fundamentally sharing the same essence. After the fall of the Joseon Dynasty, the Li(理)-centered intellectual framework collapsed, and academic trends shifted from theoretical debates in Neo-Confucianism(性理學) to a focus on the Four Books and Three Classics(四書三經). This signified the decline of the dialectical tradition within Confucianism. However, Bae Seok-myeon remained committed to the moral life emphasized by Confucian thought, demonstrating a strong dedication to its ethical principles.
    While Jung Euirim established the intellectual foundation of the Nosa School in Hwasun based on the scholarship of his teacher, Nosa(蘆沙) Gi Jeong-jin(奇正鎭), Bae Seok-myeon played a crucial role in preserving modern Neo-Confucianism(近 代儒學) in Hwasun. A proper evaluation and study of Bae Seok-myeon will provide a broader perspective on the transition of modern Neo-Confucianism(近代 儒學) in Hwasun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late 20th century across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including philosophy, history, and liter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