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바텀업(Bottom-up) 접근법의 참여 디자인을 통한 복합문화공간 디자인- 동두천 장애인 복지관 ‘햇살큰방’을 중심으로 - (Multi-Cultural Space Design through Participatory Design of Bottom-up Approach - Focused on Dongducheon Rehabilitation Center‘Hatsal Keunbang' -)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18.08
10P 미리보기
바텀업(Bottom-up) 접근법의 참여 디자인을 통한 복합문화공간 디자인- 동두천 장애인 복지관 ‘햇살큰방’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3권 / 4호 / 51 ~ 60페이지
    · 저자명 : 정이삭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수많은 사회과학자들이 오늘날의 국정운영이 ‘정부(goverment)’에서 ‘거버넌스(governance)’로 변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변화는 공공이 주도하는 도시재생 사업이나 공공 건축의 분야에도 점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최근 여러 공공 주도의 사업이 상명하복과 같은 탑다운(top-down) 방식보다는 수평적 네트워크를 중시하는 바텀업(bottom-up) 방식의 주민 참여형이나 사용자 의견 수렴형 디자인 등의 형식을 채택하고 있다. 하지만 앞서 언급된 여러 참여 디자인 의사결정 시스템을 진정성 있게 구체적으로 이해하지 않고 개념적으로만 접근하여 사업에 적용하면 대부분 실패한 공공 프로젝트가 되고 만다. 대게는 참여 디자인 의사결정의 과정에서 의견수렴을 이끌어내지 못하여 프로젝트가 지연되거나, 다수의 관계자들의 이해관계 속에서 사업의 방향성이 흐려져 유명무실한 사업 결과를 얻게 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공공 프로젝트에서의 효율적이고 진정성 있는 수평적 의사결정 시스템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경기도 동두천시 장애인 복지관을 대상지로 정하고, 효과적인 사용자 의견 수렴 계획을 바탕으로 사용 측면의 현실성과, 디자인 차별성이 있는 공공 시설로서의 장애인 복합문화공간을 디자인하였다. (연구방법) 디자인 계획의 범위는 경기도 동두천시 상패로 64. 동두천시 장애인 복지관의 2층 외부 발코니 공간을 내부 공간화하여 복합 문화공간으로 조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바텀업 방식 및 참여 디자인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해당 시설에 유효한 바텀업 접근법의 참여형 디자인을 고안하였다. 둘째, 장애인에 대한 일반 이해와 대상 시설 주변 동두천 지역의 분석을 바탕으로 시설 사용자인 장애인의 의견 수렴을 하고, 기타 유효한 방식의 사용자 및 대상지 분석을 진행하였다. 셋째, 사용자 의견 수렴 및 관찰, 대상 시설의 이해를 통해 도출된 주요 설계 개념과 내용을 정리하여 계획에 적용하였다. (결과)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첫째, 국내 공공 건축 작업에서의 유효한 바텀업 접근법의 참여 디자인을 통한 의사결정 방식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둘째, 바텀업 의견수렴의 과정에서 본 시설 사용자에 특화된 방법론 적용과 적극적인 참여 유도를 통해 지속가능한 자발적 참여 공간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셋째, 의견 수렴의 결과로 도출된 설계 개념을 적용하여, 의식주 중 주(住)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기본 복지에 중점을 둔 가변적이고, 수납이 용이한 동시에 추후 확장 가능성을 열어둔 다용도 복합문화공간을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공공 건축 작업에서의 적절한 사용자 주도의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와 그에 따른 결과물을 제안하였으며, 디자인 발전 과정에서 사용자의 참여가 어떻게 설계에 반영될 수 있는지를 제시한다. 이는 바텀업 접근법의 사용자 의견 수렴과 관리자의 적절한 검증을 가능하게 하는 디자인 개발 시스템으로, 그렇게 수렴된 여러 의견을 정리 및 적용하여 여러 용도에 대응 가능한 가변적이고, 추후 확장 가능한 장애인 복합 문화 공간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Many social scientists argue that the state administration of today is transitioning from “government” to “governance.” This change is also gradually spreading to publicly drive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public architecture. As a result, many public-led projects have recently adopted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systems, characterized by the bottom-up approach or user feedback collection, rather than the top-down approach. However, many of these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systems failed when approached in concept alone, without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details. More specifically, participatory design projects usually slow down owing to the inability to coordinate various opinions, or even lose their purpose in the effort to reconcile the conflicting interests of multiple stakeholders. These problems demonstrate the need for a more efficient and authentic model of participatory design. In response, this study designates a rehabilitation center in Dongducheon, Gyeonggi Province, as its site, and proposes a public multi-cultural space for the disabled with a distinct design and practicality, based on a newly devised model for user feedback collection. (Method) The scope of the design plan is to turn the second-floor exterior balcony of the Dongducheon Rehabilitation Center into an interior and create a cultural space. First, this study considers the theoretical ground of participatory design systems and the bottom-up approach to devise a new type of participatory design appropriate for the target site. Second, based on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disabled and an analysis of the areas surrounding the site, the study gathers the opinions of the facility users and conducts user analysis. Last, this study builds a plan based on the major design concepts and key content drawn from the opinions collected from the users, observations, and analysis of the target facility.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possibility of decision making through a bottom-up style and participatory design, applicable to domestic public architecture projects. Second, this study presents the possibility of sustainable participation of the users in spatial design, by applying a method specialized to its users and engaging their active participation. Third, by applying the design concept derived from the user feedback collection, the study presents a multi-purpose cultural space, focused on basic residential welfare and storage space, but open to changes and further expansion. (Conclusions) This study proposes a user-driven spatial design process appropriate for public architecture projects and its following outcome, as well as shows how the actual design could reflect the users’ participation in its develop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proposed design development system allows for the collection and verification of user feedback, which are clearly reflected in the final design of the multicultural space for the disabled, adaptable to various uses and expandable in siz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