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水陸齋의 성행과 새로운 불화의 수요: 四直使者圖와 五方五帝位圖 (The Function of Doryang jangeombeon of the Joseon Dynasty: Prevalence of Suryukjae Rite and Paintings of Four Underground Messengers and Five Emperors of the Five Cardinal Direction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16.03
32P 미리보기
조선시대 水陸齋의 성행과 새로운 불화의 수요: 四直使者圖와 五方五帝位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불교미술사학 / 21권 / 81 ~ 112페이지
    · 저자명 : 정명희

    초록

    사찰에 전하는 높이 1m 미만의 소형 불화는 이른바 ‘도장장엄번(道場莊嚴幡)’ 으로 분류되었고 본격적으로 연구되지 못했다. 본고에서는 명부(冥府)의 사직사자(四直使者)와 중국의 고대 제왕인 오제(五帝)를 그린 불화가 기록상에 나타나는 사오로탱(使五路幀)임을 입증하고, 조성 연원과 의식에서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사오로탱은 사직사자도와 오방오제위도의 별칭으로 수륙재를 위해 가설한 사자단(使者壇)과 오로단(五路壇)에 마주 보며 걸렸고 하나의 조합으로 인식되었다.
    불전(佛殿) 내부에 걸려 신앙의 대상을 상징하는 불화에 대해 이러한 소형 불화를 도량장엄용 불화로 정의하는 구분은 19세기 이후에 나타난 것이다. 애초 이불화들은 불교의식을 구성하는 종합적이고 총체적인 시나리오에서 각기 구체적인 역할을 지녔었다. 불교의식과 재(齋)의 특성상 특정한 시간과 공간이 끝나면사라지는 한계로 인해 그 원형을 추측하기 어려울 뿐이다.
    사자를 그린 불화는 대체로 명부전(冥府殿)에 봉안된다고 보아왔으나 의식을위해 가설한 사자단(使者壇)에 걸렸던 불화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오방제위는 동서남북과 중방의 다섯 방향을 다스리는 오제(五帝)를 그린 불화로, 대체로 제왕형의 복식에 손에는 홀을 들고 정좌했으며 발은 족자에 올려놓은 형식으로 그려졌다. 1676년 개심사 <오방오제위도>에 기입된 동방태호지군(東方太皡 之君), 남방염제지군(南方炎帝之君), 서방소호지군(西方少皥之君), 북방전욱지군(北方顓顼之君), 중방황제지군(中方黃帝之君)의 방제는『천지명양수륙재의범음산보집(天地冥陽水陸齋儀梵音刪補集)』,『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水陸無遮平 等齋儀撮要)』등에서 수륙재의 오로단(五路壇)에 봉청되는 존상과 일치한다. 오방오제 각각은 동, 남, 서, 북, 중방의 다섯 방위에 따라 명칭과 복식의 색깔로 구분할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고혼(孤魂)을 위한 시식의례(施食儀禮)에 사오로단을 가설하고사오로탱(使五路幀)을 필수적인 의식용 불화로 조성하였다. 예배화로서의 정형화된 형식을 갖춘 오방제위도는 도상의 성립과정에 있어서 불교 뿐 아니라 고대유교와 도교가 혼합된 성격으로 존재했다. 특히 도교의 천존상(天尊像)은 명부신앙에 이미 내재하는데 오방오제위도는 명부전의 시왕상, 시왕도와도 도상적으로109 는 큰 차이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유사하게 표현되었다.
    사직사자도와 오방오제위도는 불교의식 문화가 가져온 새로운 주제의 불화에대한 수요를 보여준다. 한편 오방오제도를 단순히 방위신(方位神)으로 보는 현대의 인식은『작법귀감』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19세기 이후 의례(儀禮)의 변화에서기인한다. 그 앞선 시기에 사오로탱(使五路幀)이 지녔던 기능과 신앙 의례가 약해지면서 사직사자와 오방오제위가 옹호신중(擁護神衆)의 하나로 신중단(神衆 壇)으로 포섭되고 고유한 역할은 사라지고 만 것이다.

    영어초록

    There are small-scale Buddhist paintings of less than 1 meter in height classified as “doryang jangeombeon (道場莊嚴幡)”, meaning banner that adorn the bodhimanda. Compared to those hanging in the halls and being the object of worship, scholars have not paid less attention to dojang jangeombeon, and therefore in-depth studies pertaining to them have not been conducted in earnest.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such small-scale Buddhist paintings are saorotaeng (使五路幀), a set of sajiksajado (四直使者圖, painting of the four underground messengers) and obangojewido (五方五帝位圖, painting of the five emperors of the five cardinal directions), that appeared in old documents, and examines their origins and roles in rituals by exploring the four messengers of the netherworld and the Five Emperors from legendary times in China represented in these small-scale paintings.
    Saorotaeng used to be hung and displayed facing one another on sajadan (an altar for the four underground messengers) and orodan (an altar for the five emperors) installed for Suryukjae (Buddhist ritual offering food to wandering ghosts); the two paintings were perceived as a single combination set. From the beginning, these paintings had each assumed a specific role within the comprehensive, overall scenario comprising Buddhist rituals.
    However, it is simply difficult to infer their original form due to the limitation that they disappear once the particular time and space of the Buddhist rituals and ceremonies are over.
    It had been generally understood that paintings depicting the underground messengers were enshrined in the Myeongbujeon Hall, but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se paintings were also displayed on sajadan for rite.
    Obangojewido, a Buddhist painting depicting the five emperors ruling the five cardinal points of North, South, East, West, and the center, features five figures in an upright seated posture dressed in emperor attire holding a hol (a baton or scepter held in hands by officials) in their hands and feet placed on the footstool. The names of emperors – the Green Emperor of the East, Red Emperor of the South, White Emperor of the West, Black Emperor of the North, and Yellow Emperor of the center – written on the 1676 Obangojewido of Gaesimsa Temple correspond to the sacred image of Buddha honored on the orodan of the Suryukjae recorded in texts including Cheonji-myeongyang-suryukjaeeuibeomeum- sanbojib (The Book of Buddhist Invocations) and Suryuk-muchapyeongdeung- jaeui-chwaryo (Excerpts from the Buddhist Ritual of Water and Land with Indifferent Equality). Each of the five emperors can be distinguished by their names and colors of their attire in accordance with the five cardinal points.
    During the Joseon Dynasty, a set of sajadan and orodan, namely saorodan, were established and saorotaeng was created as essential ritual Buddhist paintings for the purpose of performing ceremonies for the deceased and their lonely spirits. In regard to the process of formation of the iconography for obangojewido featuring a standardized form as paintings for worship, not only Buddhism but also ancient Confucianism and Taoism existed together in mixed form. In particular, obangojewido featured iconographical representations similar to that of paintings of the Ten Kings of Hell (siwangdo) as the image of Tianzun of Taoism was already inherent in the faith in the Netherworld.
    Sajiksajado and obangojewido demonstrate the demand for Buddhist paintings depicting new themes heralded by the culture of Buddhist rituals. The modern perception of viewing the five emperors of the five cardinal directions as mere guardian gods, as evidenced in Jakbeop gwigam (Models for Performing Buddhist Rituals) published in 1826, can be attributed to the change in rituals since the nineteenth century. As the function of saorotaeng and religious rites diminished in the preceding period, the four underground messengers and five emperors of the five cardinal directions were embraced in the sinjungdan (an altar for Buddhist deities) protection deities and lost their distinct role.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