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세기 초 海科의 설행과 정치ㆍ사회적 의미 -『癸卯春別試榜』을 중심으로- (The early 17th-century performance of Haegwa(海科) and its political and social implications -Focusing on the “Gyemyo Chunbyeolshibang”-)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23.12
40P 미리보기
17세기 초 海科의 설행과 정치ㆍ사회적 의미 -『癸卯春別試榜』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도서문화』 / 62호 / 123 ~ 162페이지
    · 저자명 : 심승구

    초록

    조선왕조는 17세기 초반에 ‘해과’라는 특별 무과를 설행하였다. 바다를 지키는 수군, 즉 주사를 대상으로 과거를 설치하고 시행한 데서 해과라고 부른 것이다. 일명 ‘주사과’ 또는 ‘주사시’라고 하였다. 수군의 진영인 해진에서 비정기적인 별시를 치렀다고 해서 ‘해진별거’ 또는 ‘주사별시’라고도 하였다.
    원래 해과는 1594년(선조 27) 4월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의 건의에 따라 처음 시행되었다. 이때 통제영이 있던 한산도에서 별시 무과를 실시하여 주사급제 100명을 선발하였다. 이어서 1596년(선조 29) 윤8월 통제사의 요청으로 한산도에서 또 한 차례의 무과를 실시하였다. 두 차례의 과거 모두 전쟁 중 바다에서 왜적을 막느라 고생한 수군을 위로하고 사기를 앙양하기 위한 것이었다. 해과가 다시 등장한 것은 전쟁이 끝난 지 5년이 지나서였다. 1603년(선조 36)에 영ㆍ호남의 수군진 4곳(부산, 거제, 경도, 고금도)에서 세 번째의 주사별시 무과를 설행한 것이다.
    수군을 대상으로 실시한 해과는 임진왜란 전후 10년간 과거로 진출하지 못했던 다양한 신분층의 사회이동을 가능케 하였다. 무엇보다도 고역에 해당하는 양남지역의 수군들이 무과로 진출하는 계기로 활용되었다. 다만, 해과방목의 한계로 수군들의 구체적인 실상을 확인하기 어려웠다. 그럼에도 해과는 양남의 수군들 뿐 아니라 경중의 양반 자제들이 다수 합격한 사실이 확인된다. 1603년 해과의 설행은 임진왜란 직후 혼란한 인심을 수습하고 수군의 부방군을 확보함으로써, 일본의 재침을 대비하는 동시에 양남의 해상방어체제를 정비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영어초록

    In the early 17th century, the Joseon Dynasty instituted a special mugwae called “Haegwa”. It was called Haegwae because it was established and implemented for the sugun, the men who guard the sea. It was also called ‘injection department’ or ‘injection city’. It was also called ‘Haejin Separation’ or ‘Juseo Separation’ because it was held at Haejin, the camp of the naval forces.
    It was first implemented in April 1594 (Seonjo 27) at the suggestion of Yi Sun-sin, the commander of the Samdo naval forces. At this time, a special examination was held in Hansan Island, where he was in control, and 100 people were selected for the injection class.
    This was followed by another round of mugwas on Hanshan Island in 1596 (Yuan 29) at the request of the Yuan August Controller. Both occasions were intended to console and boost the morale of the naval troops who had suffered at sea during the war. It was five years after the end of the war that Hagwa reappeared. In 1603 (Seonjo 36), the third injection-specific mugwha was held in four sugunjin in Yeongju and Honam (Busan, Geoje, Gyeonggi-do, and Gogeumdo).
    This program enabled the social mobility of various classes of people who had not been able to advance in the past in the decade before and after the Imjin War. Above all, it was utilized as an opportunity for suguns in the Yangnam region, which corresponds to a high station, to advance to Mugwu.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s of grazing in Hagwa, it was difficult to verify the actual number of sailors. Nevertheless, it is confirmed that not only sailors from Yangnam, but also the sons and daughters of noblemen passed the examination. The establishment of Haegwae in 1603 contributed greatly to the establishment of Yangnam’s maritime defense system while preparing for a Japanese invasion by restoring order and securing auxiliary defense forces immediately after the Imjin W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서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