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대 일본문학과 식민지체험 1*―아베 고보(安部公房)의 <만주체험>을 중심으로― (The Colonial Experience of Contemporary Japanese Writer -Abe Kobo's "Manchuria"-)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01.11
20P 미리보기
현대 일본문학과 식민지체험 1*―아베 고보(安部公房)의 &lt;만주체험&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외국문학연구 / 9호 / 213 ~ 232페이지
    · 저자명 : 이정희

    초록

    현대 일본문학과 <식민지체험>에 관한 일본에서의 종래 연구는 오자키 호츠키(尾崎秀樹)의 『구식민지 문학 연구(旧植民地文学の硏究)』를 제하면 거의 실적이 없었다. 이는 일본문학사에 있어서 그들의 식민지체험이 경시되어 왔던 사실을 증명해 주고 있다. 물론 일본에서 소위 <전시하의 문학>이라는 카테고리와는 별개로 일부러 가해자 입장에서 식민지문제를 끄집어 낼 필요성은 없었을 것이다. 이러한 일본의 식민지인식은 1960년 이후 정치사나 경제사 분야에서는 어느 정도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고 보는데, 문학사에 있어서는 거의 전무하다. 게다가 일본에 있어서의 식민지연구는 일본 근대의 초극이라는 개념 하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일본문학에 있어서 식민지에 대한 문제는 주목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문학연구의 주제로서도 정착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나 1990년대에 들어와서 포스트 콜로니얼 문학연구가 일본에 소개되자 서서히 그 성과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가와무라 미나토(川村湊)는 『「이향」의 쇼와문학(「異郷」の昭和文学)』과 『남태평양․사할린의 일본문학(南洋․樺太の日本文学)』 등의 저서에서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를 비롯한 많은 일본의 근대문학 작가들의 식민지체험에 대해서 그들의 창작과의 관련을 추적하고 있다. 이들 대부분은 일본 식민지 여행견문록이나 작가가 종군기자로 활약하면서 쓴 것들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전쟁소설>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것을 한국이나 중국 등의 입장에서 보면 <여행>이나 <개척>은 <침략>이고, 소위 <인양>은 <패전>에 지나지 않는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 일본의 패전은 주변 아시아 국가들에 있어서는 승리였다는 점은 일본 근대․현대소설에서는 간과하기 쉬운 것이 사실이다.
    일본에서 소위 <외지 인양파>라고 불리는 대표적인 작가는 아베 고보(安部公房, 1924~1993)를 비롯하여, 기요오카 다쿠우키(清岡卓行, 1922~ ), 히노 게죠(日野啓三, 1929~ ), 이츠키 히로유키(五木寬之, 1932~ ), 야마자키 마사카즈(山崎正和, 1934~ ), 고토 메이세이(後藤明生, 1935~ ), 미키 다쿠(三木卓, 1935~ ), 베츠야쿠 미노루(別役実, 1937~ )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아베 고보와 기요오카 다쿠유키․미키 다쿠․베츠야쿠 미노루는 만주(満洲)에서 유년시절을 보냈으며, 히노 게죠는 서울에서, 또 이츠키 히로유키는 평양에서 유소년기를 보냈으며, 고토 메이이세는 함경남도 출생이다. 이들 외에도 <외지 인양파>라 불리는 작가들은 많다. 작가뿐만이 아니라 화가, 연극인, 영화인 등, 셀 수 없을 정도로 많다.
    필자는 우선 일본인 연구자들의 연구를 검토하면서 한국인이라는 타자적인 입장, 또는 피해자 입장을 살려 <현대 일본문학과 식민지체험>을 재조명해 보고자 한다. 여기에서 ‘현대 일본문학과 식민지체험’이란 현대 일본문학 문학자들 중에서 어린 시절을 일본의 식민지였던 한국이나 만주 등지에서 보낸 경험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식민지체험 중 그 첫 번째로 <만주체험>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monograph is the study on the experience of Abe Kobo in Manchuria and is the part of the upper subject "Contemporary Japanese Literature and the Colonial Experience".
    When Abe Kobo was two years old in 1925, his father had gone to Bongchun (now Shenyang) and became the professor in Manchuria College of Medicine. He had grown up there until he entered the College of Medicine, Tokyo University. In 1944, as soon as he heard the Japanese defeat of the World War II, he returned his home town Manchuria. Then Abe Kobo faced the collapse of the Manchurian Empire with the defeat of Japan. Manchuria which had been his original-seat disappeared in the world. Besides he realized cleary that his own country Japan was the assassin. Since then he questioned to himself about what a human-being is rather than what the fatherland means to me or how I revert my mother's country. And he gave up the way of being a doctor followed his father and became the writer.
    He completed two novel based directly on the reality of the Manchurian experience in a maiden work "Owarisi-michi-no-sirubeni" and "Kemonotachi-wa kokyou-wo mezasu". Primarily I examined these two novel and then studied his experiences in Manchuria indirectly.
    Describing his own Manchurian experience in these novel, he excluded the romantic color. As most Japanese contemporary writer's Manchurian experience was full of nostalgia recall, their works trended toward a kind of nostalgia literature. But neither Abe Kobo excluded the romantic color thoroughly nor he permitted that heroes returned to Japan. He did not sell the lyrical Japan and could become the world-wide writer with the univers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외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