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듣는 문학’으로서의 고전소설의 현대적 향유 양상과 방향 − <방한림전>을 중심으로 − (The current enjoyment aspect and suggestion of listening to classical novels : Focusing on Bang Han-rim Jeo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25.01
28P 미리보기
‘듣는 문학’으로서의 고전소설의 현대적 향유 양상과 방향 − &lt;방한림전&gt;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온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온지논총 / 82호 / 165 ~ 192페이지
    · 저자명 : 서보영

    초록

    고전소설의 낭독 혹은 구연적 속성과 역사적 사례 등에 대한 관심은 지속되어 왔다. 그러나 복합양식 매체의 영향 아래 고전소설 듣기의 양상은 훨씬 다양화되고 다분화 되었으며 듣는 문학으로서 고전소설의 위상과 문화 또한 달라지고 있어 이를 점검하고 방향을 모색하는 일이 필요하다. 분석 자료는 대중 매체에서 일반 대중들이 쉽게 고전소설을 접할 수 있는 음성 중심의 청각 의존적 콘텐츠들이다. 대상 작품인 <방한림전>은 여성의 주체적 삶과 젠더의식, 양성 평등사상, 소수자 문제 등 시의성 있는 사회적 쟁점을 다루고 있기에 청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듣는 문학으로 고전소설의 현대적 향유 양상은 청자의 수용 방식을 기준으로 ‘듣기’, ‘보면서 듣기’, ‘연행에 참여하여 듣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듣기’는 화자의 행위에 따라 화자의 읽기를 듣기와 화자의 이야기를 듣기로, ‘보면서 듣기’는 매체의 속성에 따라 그림을 보면서 듣기와 영상을 보면서 듣기로 나눌 수 있다. ‘연행에 참여하여 듣기’는 연행의 속성에 따라 일인 연행을 듣기와 대화로서의 연행을 듣는 방식이 가능하다. 각 방식은 콘텐츠의 내용이나 화자와 청자 간의 상호소통성, 활용의 목적과 맥락에서 차이가 있다.
    듣는 문학으로서 고전소설은 옛이야기, 문학, 교양이라는 범주 안에 위치하고 있다. 각각은 고전소설에 대한 서로 다른 태도와 각기 다른 활용의 목적을 보인다는 점에서 듣기의 용도에 맞게 스크립트를 변주해야 한다. 또한, 고전소설이 그림이나 영상을 넘어 소리와 직접적인 관련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시청각적 상상력을 재고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끝으로 오늘의 고전소설 듣기가 매체를 통한다는 점에서 고전소설의 소리 내어 읽기와 말하기, 이야기하기, 연행하기 등을 활성화하고 전문적인 고전 이야기꾼은 물론 일시적 이야기꾼들에 대해서도 관심이 필요하다. 고전소설 듣기를 기점으로 읽기를 상호적으로 연결하는 방안도 생각해 볼 수 있고 듣기를 비계로 하여 고전소설 읽기로, 더 나아가 고전소설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져야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odern aspects of ‘listening’ among the ways of enjoying classical novels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revitalizing classical novels as ‘listening literature.’ The analysis data are audio contents that allow listeners to easily access classical novels through mass media. The target work is <Bang Han-rim Jeon>, which attracts listeners’ attention because it deals with timely social issues such as women’s subjective lives, gender awareness, gender equality, and minority issues.
    Today, ‘Listening’ to classical novels can be divided into listening to the speaker’s reading and listening to the speaker’s story depending on the speaker’s actions. ‘Listening while watching’ can be divided into listening while watching a picture and listening while watching a video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medium. ‘Listening while participating in the performance’ can be divided into listening to a one-person performance and listening to the performance as a conversation depending on the way of performance.
    As listening to classical novels shows a different attitude toward classical novels and a different purpose of use, it is necessary to vary the script according to the purpose. In addition, listening to classical novels requires interest in auditory imagination because it is directly related to sound. Finally, in listening to classical novels through media, professional storytellers as well as amateur storytellers should be educated through the activation of reading classical novels aloud, speaking, telling stories, and perform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온지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