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화예술 기획인력의 개념과 인력양성 활성화 방안: 시각예술분야를 중심으로 (Concept of Culture & Art Professionals and Measures to Improve Manpower Training Policy: Focusing on Visual Arts)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13.12
23P 미리보기
문화예술 기획인력의 개념과 인력양성 활성화 방안: 시각예술분야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예술교육연구 / 8권 / 4호 / 23 ~ 45페이지
    · 저자명 : 김혜인

    초록

    본 연구는 문화예술 창작자와 문화소비자(향유자) 사이에서 창의적인 문화예술프로그램을 기획 및 설계하는 ‘기획’기능의 수행자로서 문화예술분야 기획인력, 그 중에서 흔히 큐레이터나 프로그래머, 비평가 등의 용어로 혼재되어 이해되고 있는 시각예술분야 기획인력에 대한 정책적 지원의 방향성 정립이 미흡하다는 문제의식과 함께 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예술 기획인력의 개념적 범위 및 인식적 특징에 대한 고찰과 함께 해당 인력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방향을 살펴보고 그 세부지원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문화예술전문인력과 기획인력에 대한 개념적 이해의 특징을 분석하였고, 둘째, 문화예술 기획인력 범위 및 개념에 대한 인식적 개념 조사를 위한 전문가 대상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관련 인력의 정책지원방향성 검토를 위해 기존 정책지원제도의 유형화를 시도하고, 이를 해외지원제도의 최근 흐름들과 비교하여 국내 인력양성방식의 한계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시각예술 기획인력양성을 위해 1) 기획인력의 프로젝트 인큐베이팅을 위한 지원 마련 2) 기획인력 양성을 위한 집중양성프로그램 및 펠로우쉽 제도 강화 3)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지원 4) 고용환경 개선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has started from the recognition of the fact that the concept and direction of policy support for culture & art professionals, who perform the function of planning and designing creative culture and art programs, particularly visual art professionals have not been defined sufficiently or adequately among creators and public who consume or enjoy of culture and arts so far.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not only to define the conceptual scope of visual arts professionals, bu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and adequacy of the direction of policy, which is intended to cultivate new and prospective visual arts professionals in a systematic manner and enhance the competence and capabilities of in-service visual arts professionals, as well as to seek development measures to improve the policy.
    In order to do that,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experts in relevant fields, together with preliminary literature review to discuss the concept of culture & arts professionals, are conducted to define the conceptual scope of visual arts professionals. Second, the typification of governmental policy support for visual arts professionals based on the analysis of current support programs was conducted along with comparative analysis with support systems of other countries to explore the limits of the domestic manpower training system and implications thereof. As the results, a proposal for the development of manpower training program with consideration for the unique features in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and expertise related to arts professionals will be sugges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