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 타인의 방 」 에 나타난 사물화의 양가성 연구 - 「 변신 」 , 『구토』 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mbivalence of Reification in A Room of Strangers - In Comparison with Kafka’s Metamorphosis and Sartre’s Nausea -)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21.03
37P 미리보기
「 타인의 방 」 에 나타난 사물화의 양가성 연구 - 「 변신 」 , 『구토』 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세계문학비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세계문학비교연구 / 74호 / 5 ~ 41페이지
    · 저자명 : 오자은

    초록

    「 타인의 방 」 은 변신이라는 모티브를 통해 카프카의 「 변신 」 과 , 사물의 반란이라는 모티브를 통해 사르트르의 『구토』 와 연결된다 . 이 연구의 목적은 「 타인의 방 」 이 두 현대문학의 고전에서 유래한 모티브의 결합을 통해 구성되었음을 밝히고 그 결합의 의미가 어디에있는지를 해명하는 데 있다 . 이를 위해 우선 카프카의 작품에서 주인공의 벌레로의 변신과 사르트르의 작품에서 저항하는 사물이 촉발하는 구토증의 의미를 분석하고 , 최인호가이 두 모티브를 어떻게 수용하여 통합하였는가라는 관점에서 「 타인의 방 」 을 분석한다 . 이세 작품은 단순히 모티브의 피상적인 유사성을 넘어서 , 더 깊은 차원의 문제의식 속에서서로 이어져 있다 . 가장 핵심적인 것은 20 세기에 이르러 인간 존재와 삶이 무의미해졌다는 위기의식 , 실존주의자들이 말한 부조리에 대한 의식인데 , 카프카의 「 변신 」 이 무의미함에 직면하여서도 그러한 삶 속에서 버티며 어떤 의미를 추구하다 좌절하는 주인공을 통해현대의 비극 , 소외의 비극을 이야기한다면 , 사르트르의 『구토』 에서 핵심적인 문제는 존재의 무의미함을 직시하고 긍정함으로써 새로운 자유의 가능성을 발견하는 일이다 . 『구토』 의 주인공 로캉탱에게는 사물의 존재가 무근거하다는 통찰이 자아의 무근거함을 인식하게해주고 , 결국 이러한 인식이 삶의 결정적인 전환점이 된다 . 사물의 반란에 직면하여 공포감을 느끼던 주인공이 소외된 삶에서 벗어나 스스로 사물들의 축제와 같은 놀이 속에 빠져드는 「 타인의 방 」 은 로캉탱이 걸어간 노선을 훨씬 더 극적으로 보여준다 . 그러나 그러한 새로운 자각과 해방의 과정은 ‘ 그 ’ 의 변신을 죽은 것 , 경직된 것으로의 전락으로 보는부정적인 관점을 통해 흐려진다 . 이 소설은 ‘ 그 ’ 의 사물화와 죽음으로 끝남으로써 카프카의 「 변신 」 을 연상시키면서 ‘ 소외의 비극 ’ 이 된다 . 부활이자 죽음으로 이야기되는 소설의 결말은 작가 자신이 문학적 , 예술적 상상력을 통해 어두운 현실에서 탈주하는 길을 택하면서도 , 그 탈주의 비현실성을 스스로 의식할 수밖에 없는 데서 나온 애매한 결론일 것이다

    영어초록

    Choi Inho’s short story A Room of Strangers reminds the reader of Kafka’s Metamorphosis through the motif of metamorphosis and evokes Sartre’s Nausea through the motif of “resistance of th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Choi’s story is construct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motifs from the classical works of modern literature, and to explain the meaning of this construction. To this end, we first analyze the meaning of the metamorphosis of Gregor Samsa in Kafka’s novella and that of the nausea caused by rebellious things in Sartre’s novel. Then A Room of Strangers is analyzed and interpreted from the viewpoint how Choi In-ho adopts the two motifs and integrates them into the plot of his own story about an alienated man.
    Beyond the superficial similarity of motifs these three work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deeper sense. Central for the problematic of this paper is the consciousness of crisis that human existence and life has become meaningless and absurd in the 20th century. While the protagonist of Kafka’s Metamorphosis seems to believe in such a life and fail in his belief, the main concern in Sartre’s “Nausea” is to discover and affirm the meaninglessness of existence. For Antoine Roquentin, the main character of the novel, the insight that the existence of things is groundless makes him aware of his own groundlessness, and this perception eventually becomes a decisive turning point in his life. Confronted with the rebellion of things, the anonymous protagonist of A Room of Strangers first get terrified of that, but he can get out of his alienated life through these experiences and falls into the festive play of things. So this short story tells a similar development as that of Roquentin in a much more dramatical way.
    However, such a new awareness and process of liberation is clouded by a negative view on the protagonist’s metamorphosis into a dead and rigid thing.
    His reification is reminiscent of Kafka’s ‘Metamorphosis’, and makes the story into a tragedy of alienation. So it can be both a story of resurrection and that of death. This ambiguous conclusion comes from the writer’s desire of escaping from the dark reality through literary and artistic imagination, but with a full consciousness of the reality that makes his desire illus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세계문학비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