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들의 방>: 애도, 인간의 가장 보편적이고 근원적인 문제에 대하여 (: On Mourning: Human Beings’ Most Fundamental and Universal Issu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22.12
26P 미리보기
&lt;아들의 방&gt;: 애도, 인간의 가장 보편적이고 근원적인 문제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영화연구 / 94호 / 5 ~ 30페이지
    · 저자명 : 김철권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아들의 방>을 통해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사람들은 그 상실에 대해 어떤 식으로 반응하며 어떤 식으로 극복하는지를 말하기 위함이다.
    <아들의 방>은 현실에서 사고로 아들을 잃은 한 가족이 어떻게 그 슬픔과 고통을 극복하는지를 보여주는 애도 영화다. 애도는 사랑하는 대상을 잃어버린 결과로 생기는 심리 내부의 과정으로, 현실 검증을 통해 사랑하는 대상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달음으로써 사랑하는 대상에게 향하던 모든 리비도를그 대상과의 관계로부터 철수시키는 과정이다. 정상적인 애도는 상실된 대상에대한 기억에 머무르던 리비도가 다른 대상으로 흘러가는 것이다. 영화에서는 리비도의 흘러감을 4가지 층위로 복합적으로 보여준다. 첫 번째가 사랑하는 사람에게 투여된 감정(리비도)이 다른 사람에게 옮겨가는 것으로, 아들에게 향하던 리비도가 아들을 잃은 후에는 아들의 전 여자 친구인 아리안나로 흘러가고 그 다음에는 그녀의 남자 친구인 스테파노로 흘러가게 된다. 두 번째가 공간 이동으로, 아리안나가 안드레의 집을 찾아오자 안드레 가족은 아리안나와 스테파노를 프랑스국경까지 데려다준다. 즉 아들인 안드레의 방에서 프랑스 국경까지 공간적으로이동한다. 세 번째가 음악을 통한 이동으로, 아들이 죽었을 때는 시끄러운 소리가영화를 지배하지만 ‘By this river’라는 음악이 흐르면서 안드레의 가족은 아들을망각의 강인 스틱스강을 건너가게 함으로써 그의 죽음을 현실로 받아들이고 일상으로 돌아간다. 네 번째는 정신분석가인 아들의 아버지가 다양한 피분석자들을대상으로 정신분석을 시행하는 장면을 통해 애도를 어떻게 극복해야 하는지를보여준다. 영화에 등장하는 여덟 명의 피분석자들은 모두 부모-자식간의 관계가분석상황에서 분석가-피분석자의 형태로 바뀌어 나타나는 전이 관계에 놓여 있다. 분석치료 시간에 피분석자가 조반니와 나누는 대화 내용은 모두 조반니와 연관된 것으로 애도 상태에 있는 조반니를 묘사하기 위해서다. <아들의 방>은 현실에서의 아들 죽음을 표면에 내세우면서 동시에 정신분석 치료에 등장하는 피분석자들의 말을 통해, 애도야말로 모든 인간이 가지고 있는 핵심적이면서도 가장근원적인 문제라는 것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ell how people who lost their loved ones respond to the loss and how they overcome it through the film <The Son’s Room>. <The Son’s Room> is a film about mourning that shows how parents overcome the sorrow and pain after they lost their son in an accident. Mourning is a psychological process resulting from the loss of a loved one. It is a process of withdrawing all libido directed into the loved object because one realizes the loved object no longer exists through reality testing. In normal mourning, the libido which remained in memory of the lost object flows to another object. In the film, the flow of libido is shown in four multiple layers. First, the libido cathexes to the loved object flows to another person. In the film, the libido flows from their son to Arianna who is an ex-girlfriend of their son, then to Stefano who is a boyfriend of Arianna after they lost their son. Second, the flow of libido is shown through spatial movement. When Arianna visits Andre’s house, the Andre family takes Arianna and Stefano to the French border. In other words, the libido travels spatially from Andre’s room to the French border. Third, the flow of libido is shown through music. Whereas loud noises dominate the screen when Andre dies, the peaceful music ‘By the river’ plays on the screen when Andre’s family finally accepts his death as a reality and returns to their daily lives by allowing him to cross the Styx River, the river of oblivion. Lastly, it is shown through the scene of conducting psychoanalysis on patients. In the film, Andre’s father, a psychoanalyst, overcomes mourning while conducting psychoanalysis on various patients. Each of the patients in the film is in a transference relationship in which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is projected on the analyst-patient relationship in the analysis situation. All the conversations that patients had with Giovanni had during treatment session are related to Giovanni, describing Giovanni in mourning. <The Son’s Room> shows that mourning is the most fundamental issue that all humans have, through the son’s death in reality ostensibly and the words of patients appearing in psychoanalytic treatment at the same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