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한성부 所志 題辭에 기재된 千字文 字號와 六房의 업무 분담 (Jaho of Thousand-Character Classic used in Jesa in Hanseongbu Soji Task Allocations of Six Rooms in Joseon Dynast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20.04
28P 미리보기
조선시대 한성부 所志 題辭에 기재된 千字文 字號와 六房의 업무 분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藏書閣 / 43호 / 334 ~ 361페이지
    · 저자명 : 박하늘

    초록

    지방 관부의 제사와 달리 한성부에 제출된 입안신청 소지의 제사에는 천자문 자호 天, 地, 玄, 黃, 宇, 宙 중 한 글자가 기재되었다. 그런데 이 천자문 자호의 의미에대해서는 이전까지 언급되거나 연구된 바가 없었다. 따라서 본고는 16세기에서 18세기 사이 한성부에 제출된 소지의 제사에 기재된 천자문 자호의 의미를 규명하는 데의의를 두었다.
    한성부 입안신청 소지를 검토한 결과 제사에 기재된 천자문 자호와 소지를 처분한방장의 관직 사이에 한 가지 일정한 규칙성이 발견되었다. 특정한 시기, 동일한 방장이 처분한 소지의 제사에 같은 천자문 자호가 기재된 것이다. 이것은 한 명의 동일한방장에게 하나의 천자문 자호가 부여되었음을 의미한다.
    『경조부지』에 따르면 조선후기 한성부의 낭청은 관직의 품계 서열 순으로 6방의 장을 담당하였다. 그런데 16세기에서 18세기 사이 발급된 소지를 검토한 결과 방장의관직 품계 서열이 높을수록 천자문 여섯 글자 중 앞쪽에 위치한 글자를, 서열이 낮을수록 뒤쪽에 위치한 글자를 기재하는 경향을 보였다. 더불어 한성부의 6방인 이방· 호방·예방·병방·형방·공방을 각각 천·지·현·황·우·주로 간주하고, 여기에 방장의관직을 낭청의 서열 순으로 대입해보면 소지에 기재된 한성부 낭청의 직제와 실제 한성부의 직제가 서로 상당히 부합한다. 결과적으로 한성부 소지의 제사에 기재된 천자문 자호는 입안 발급 업무를 담당한 부서, 즉 한성부 내 6방을 나타낸 것이다.

    영어초록

    Different from Jesa (題辭) of local government offices, those of Soji (所志) used to apply for Iban ( 立案) submitted to Hanseongbu ( 漢城府) contained one character among Jaho of the Thousand-Character Classic, such as Cheon (天), Ji (地), Hyeon (玄), Hwang (黃), U (宇) and Ju (宙). There have been no previous studies referring to or examining the meaning of Jaho.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in that it elucidates the meaning of Jaho of the Thousand-Character Classic (千字文), stated in Jesa of Soji used to apply for Iban submitted to Hanseongbu, from the 16th to the 18th century.
    By reviewing Soji used to apply for Iban submitted to Hanseongbu, which has been discovered,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as a consistent regularity between Jaho of the Thousand-Character Classic stated in Jesa of Hanseongbu between the official position of chief (房掌) who treated Soji. The same Jaho of the Thousand-Character Classic was stated in the Jesa of Soji treated by the same chief in a certain period. This means that a single Jaho of the Thousand- Character Classic was given to the same chief.
    According to Gyeongjobuji (京兆府誌), Nangcheong (郎廳) in Hanseongbu could serve as the heads of Six Rooms (六房) by their rankings of the official positions in the late Joseon. Soji issued from the 16th to 18th century were examined to show that relatively front characters tended to be stated, as chiefs’ rankings were higher, while relatively rear characters stated, as they were lower.
    Moreover, if Six Rooms in Hanseongbu, such as Ibang (吏房), Hobang (戶房), Yebang (禮房), Byeongbang (兵房), Hyeongbang (刑房) and Gongbang (工房) are regarded as Cheon, Ji, Hyeong, Hwang, U and Ju, respectively, the organization set up of Nangcheong in Hanseong (漢城) seems to be substantially consist with the actual one in Hanseong, when the official positions of chief are substituted by the order to Nangcheong’s rankings. In conclusion, Jaho of the Thousand- Character Classic stated in Jesa of Soji in Hanseongbu represented Six Rooms in it, which were responsible for issuing Ib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藏書閣”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