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귀명 「좌준」의 방고적 창작방식과 현실적 주제의식에 관하여 (Emulatitive Writing and Realistic Implication of Cho Kwimyŏng’s Chwajun)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24.08
44P 미리보기
조귀명 「좌준」의 방고적 창작방식과 현실적 주제의식에 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91호 / 271 ~ 314페이지
    · 저자명 : 박희수

    초록

    본고는 『좌전』에 빠져 있다고 판단되는 사령을 재구하는 방식으로 창작된 조귀명의 「좌준」의 방고적 창작방식과 현실적 주제의식을 분석한 연구이다. 일반적인 擬作의 사륙체가 아니라 『좌전』의 문체를 재현하여 창작된 「좌준」은, 경전으로 인식된 전범인 『좌전』을 문학화하면서 허구적 장면을 연출하는 등의 소설적 감각을 발휘하면서도, 최대한 역사적 상황과 당대의 언어에 부합하는 어구‧구문을 구사하는 등 역사적 사실성을 함께 추구한 측면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좌준」의 방고적 창작 방식은 문체와 내용 사이의 괴리를 내포하는 의고문과 구별된다. 한편 「좌준」이 창작된 1730년은 무신란의 여파를 살피면서 충의와 올바른 상하관계의 도리에 대한 조귀명의 고민이 깊어진 시기였는데, 역사의 교훈성을 강조하는 역사관을 지녔던 조귀명은 이러한 의식 하에서 당대에 권계를 줄 내용들을 뽑아 「좌준」을 창작했던 것으로 보인다. 무신란이라는 변란에 처해 충의를 지킨 하층의 덕성을 인식하게 된 일은 「좌준」에서 하층의 인물이 상층의 인물에게 올바른 도리를 간언하는 구도로 이어졌으며, 하층과 상층이 조화롭게 어울려 사는 사회상을 지향하는 주제의식으로 구체화되었다. 또한 무신란과 마찬가지로 상하의 질서를 어지럽힌다고 본 청나라에 대한 문제의식은 이적의 토벌을 긍정하는 원칙론과 현실적 대처를 중시한 변통책 양자를 긍정하는 양상으로 작품화되면서, 경직된 명분론과 타협적 순응주의 양자를 止揚하는 中庸을 지향하는 주제의식으로 귀결되었다. 이를 통해 볼 때 「좌준」은 전범을 방고하는 문학적 방법론에 대한 복합적이면서도 깊이 있는 인식을 보여주는 텍스트이자, 당대 현실을 타개할 수 있는 올바르면서도 유연한 방책을 모색하는 현실적 주제의식을 보여주는 텍스트로 평가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d Cho Kwimyŏng's Chwajun, comprised of reconstructed dialogues and discourses of Zuo Tradation that was absent in the original work, to understand its emulative nature of writing and its realistic implication. Chwajun demonstrates novelistic approach toward the solemnly-regarded classic of Zuo Tradition as one of its chapters changes the plot of the original text in fictitious manner. However, Chwajun also displays rigid adherence toward historic contexts and correct reconstruction of language of the time in its emulation of the original text. In this aspect, Chwajun can be differentiated from imitative literature of Ming dynasty's Wang Shizhen(王世貞), which Cho regarded as presumptuous and fabricated for the author tries to become more than a pupil of classical masters, and for the work shows discrepancy between the contemporary setting and the archaic style. Meanwhile, Chwajun is also a work with realistic implication which handles contemporary socio-political matters, considering Cho Kwimyŏng's understanding of meaning of history as a giver of moral lessons and his serious attention toward Musin Rebellion of 1728 and aftermath of it. Cho's finding that many lower class people died guarding the values like loyalty which many upper class people betrayed during the rebellion resulted in Chwajun often displaying character composition in which a lower class person persuades an upper class person with the right way. His new positive perception toward the lower class also led Cho to portray a harmonious picture of a society where the upper and the lower get along and respectiong each other. Furthermore, in regard to the problematic international relations of Chosŏn and Qing China, Chwajun affirms foundational righteousness of Spring and Autumn's approach to Hua-yi relations, but also recognizes importance of flexible response toward the changing world without being restricted by ideological stiffness, in doing so also warns that the flexible response can only succeed when it is based on reliable reality and right value. In conclusion, Chwajun can be understood as a text which shows deep insight on the right methods of emulating classics and seeks valid ways to solve predicaments of the 18th century Chosŏ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