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燕石山房未定藁》와 간본 《石亭集》의 문헌학적 검토 (A Comparative Philological Research between the Manuscript 《Yeonseoksanbangmijunggo》 and a Published Edition of 《Seokjeongjip》)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21.09
44P 미리보기
《燕石山房未定藁》와 간본 《石亭集》의 문헌학적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동문화연구 / 115호 / 39 ~ 82페이지
    · 저자명 : 김영진

    초록

    본고는 이정직(1841~1910)의 시문 자료에 대한 연구로 크게 다음 두 부분으로 나뉜다. 하나는 석정 이정직의 필사본 《연석산방미정고》(후손가장본)와 간본 《석정집》(6권 3책)에 대한 비교이다. 필사본에는 한시 927제 1,279수와 문 273편이 수록되어 있고, 간본 《석정집》에는 한시 512수와 문 123편이 수록되어 있어 필사본에서 간본으로의 선택율은 대략 절반 가량된다. 다만 간본은 ‘잡저’를 전혀 수록하지 않았다. 또 하나는 석정 이정직의 시문, 잡저, 편서 등을 추가 발굴하여 자료의 輯逸 작업을 진행한 것이다. 금번 자료조사 과정 중에 《연석산방미정고》가 현재 통용되는 권질(20책)보다 더 많은 분량(최소 30책 이상)이 있었음을 추정・확인하게 되었고, 그 중 새로 발굴한 고려대 육당문고본(新舊折衷內篇, 外篇)은 석정의 제자 송기면의 《裕齋集》에 잡저 「망언(妄言)」으로 잘못 편입되었다는 중요한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정직의 잡저 논설들은 송기면의 「망언」 1, 2에 거의 다 수록되었음을 확인하였다(다만 「망언」 1의 가장 마지막 글인 <금일동서> 한편만은 송기면의 글임). 요컨대 향후 석정 이정직의 자료 휘집의 필요성이 전면적으로 대두된다 하겠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divided into two parts: the one is a comparative philological research between the manuscript 《Yeonseoksanbangmijunggo》 and a published edition of 《Seokjeongjip》 by Seokjeong Lee Jung-jik (1841~1910). The manuscript contains 1,279 Chinese poems and 273 proses, while the published edition contains 512 Chinese poems and 123 proses. So the selection rate from manuscript to a published edition is about half. However the 《Seokjeongjip》 did not adopt “Essays” at all. The other is to conduct additional excavation of poems, essays, and compilation of Seokjeong Lee Jung-jik and to collect scattered and lost materials. During the current data survey, it was confirmed that the manuscript of 《Yeonseoksanbangmijunggo》 was much larger than the current quality. Also the newly discovered manuscript of 《Yeonseoksanbangmijunggo》 in YukdangMungo of Korea University was incorrectly incorporated into 《YuJaejip》 by Songgi-myeon, a disciple of Seokjeong. The essays of Lee Jung-jik is mostly included 「Mang-un 1,2」 at 《YuJaejip》. We need to collect scattered data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8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