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공’의 알리바이와 젠더 노스탤지어 - 신경숙의 『외딴방』을 중심으로 (The Alibi of ‘Factory Girl’ and Gender Nostalgia: - Sin Kyŏngsuk’s Oettanbang)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22.12
25P 미리보기
‘여공’의 알리바이와 젠더 노스탤지어 - 신경숙의 『외딴방』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세계문학비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세계문학비교연구 / 81호 / 77 ~ 101페이지
    · 저자명 : 서은주

    초록

    이 글은 신경숙 문학의 정체성을 탐색하려는 의도에서 작가의 자전적 체험이 담긴 『외딴 방』(1995)을 대상으로, 1970년대 ‘여공’의 시공간과 노스탤지어의 관계를 고찰한다. 『외딴 방』의 노스탤지어가 무엇을 향해 어떤 방식으로 재현되는지를 검토하고, 그것이 ‘성찰적’ 성 격을 지님을 탐색한다. 덧붙여 그 노스탤지어의 주체가 여성이라는 사실에 주목하여 노스탤 지어 개념을 둘러싼 젠더 이분법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그동안 신경숙 문학의 노스탤지어는 주로 전근대적 농촌공동체와 온정적 가족주의를 향한 것으로 규정되어 왔고, 훼손되고 타락한 현실에 대한 거부라는 긍정적 시선과 몰역사적 퇴행 이라는 부정적 평가가 공존해 왔다. 그런데 『외딴방』을 보면, 1990년대의 화자가 가장 고 통스럽게 과거의 기억으로부터 소환해내는 대상은 1970년대 말에서 1980년대 초에 걸쳐 있 는 ‘여공’의 시공간이다. 노스탤지어는 과거를 이상화하는 방식으로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과거의 결핍과 비극적 상황조차도, 기억하는 주체의 정서적 갈망과 현재를 신문(訊問)하려는 윤리의식에 의해 노스탤지어의 대상으로 소환된다. 산업화 시기의 여성노동자들은 경제성장 과 노동운동의 주체였지만, ‘여공’이라는 기표를 통해 문화적으로 소외되고 폭력적으로 재현 되어 왔다. 신경숙에게 ‘여공’의 시공간은 은폐와 억압의 대상이면서도, ‘나’의 정체성을 찾아 떠나는 길에서 반드시 대면해야 하는 대상이기도 했다. 『외딴방』에서는 노스탤지어 패러다 임의 남성중심주의와 젠더 고정관념을 거스르는 의식적 시도들이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한 편으로 ‘여공’의 섹슈얼리티를 억압함으로써 ‘여공’을 향한 사회의 폭력적 시선에 그녀가 여 전히 강박당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외딴방』은 주어진 사회경제적 조건 속에서 자기 능력의 임계점까지 소진하며 살았던 발전주의 시대의 하층계급에 대한 노스탤지어라 할 수 있다. 『외딴방』을 대면하는 고통은, 환멸과 죄책감이 공존하는 1990년대 한국사회가 가장 필요로 했던 ‘통과제의’였다. 이렇게 ‘여공’의 시공간은 작가에게도, 독자에게도 현재의 존재증명을 위한 알리바이가 되었던 것이 다.

    영어초록

    This essay explores the identity of Sin Kyŏngsuk’s literary work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ostalgia and the space-time of factory girls in 1970s South Korea. I focus my analysis on Sin Kyŏngsuk’s autobiographical novel Oettanbang (The Girl Who Wrote Loneliness, 1995). First, I examine the potential objects of nostalgic longing in the novel and how they are represented, while both complementing and challenging existing interpretations. Subsequently, I focus on the status of women as the subject/object of nostalgia in the novel as an opportunity to critic a binary understanding of gender which surrounds the concept of nostalgia.
    Nostalgia in Sin Kyŏngsuk’s works has generally been interpreted as directed towards the space of the premodern countryside community and compassionate familialism. Her work has also been praised as a rejection of a depraved and corrupted society as well as criticized as ahistorical and regressive. However, I argue that the object which is summoned from painful memories by the speaker in Oettanbang is the space-time of the factory girl in late 1970s and early 1980s South Korea. Nostalgia is not simply an idealization of the past. The remembering subject’s emotional longings for and ethical interrogation of the past can transform past hardship and tragedy into an object of nostalgia. Female workers during Korea’s industrialization were the agents of both economic growth and labor activism, however, it was through the signifier of ‘the factory girl’ that they were culturally alienated and violently represented. For Sin Kyŏngsuk, the space-time of the factory girl is an object of concealment and repression, as well as that which must be faced along the road to discovering one’s identity. Oettanbang can be interpreted as a conscious attempt to work against the gender stereotypes and male-centric thinking contained within the paradigm of nostalgia. It also reveals how through the repression of the factory girl’s sexuality, the author is still confined by society’s violent gaze directed at the factory girl.
    Oettanbang is a nostalgic reflection on the working class during Korea’s developmentalist period, a time when people had no choice but to work themselves to exhaustion under the existing socioeconomic conditions. It can be claimed that coming face to face with Oettanbang was a “rite of passage” desperately needed by South Korean society in the 1990s—a society defined by disillusionment and a sense of guilt. Therefore, the space-time of the factory girl became an alibi to verify for both the reader and the author the existence of the pres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세계문학비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