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부지방 구석기공작의 지역성 고찰 (Regionality of the Paleolithic Industry in Central Kore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18.08
40P 미리보기
중부지방 구석기공작의 지역성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부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고고학 / 17권 / 2호 / 5 ~ 44페이지
    · 저자명 : 이정철

    초록

    중부지방의 구석기 유적을 수계망에 따라 영동하천, 북한강, 남한강, 한강본류, 임진-한탄강, 안성천의 6개 권역으로 구분한 후, 기존 연구 가설을 기반으로 각 권역 내 석기공작의 전개와 층서 편년을 파악하고, 비교를 실시하여 중부지방 구석기공작의 지역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최하층인 C퇴적층에서 구석기시대의 시작은 권역간 시간적 차이가 있으며, 대형석기인 주먹도끼류는 영동하천권역, 북한강권역, 한강본류권역, 임진-한탄강권역, 찍개류는 남한강권역에 집중된다. 특히 임진-한탄강권역과 한강본류권역의 주먹도끼류는 타 권역에 비해 기술형태적으로 여러 형식이 존재하며 일부 숙련된 공정이 나타난다. 이밖에 임진-한탄강권역과 북한강권역에서는 대하천과 지류하천에 위치하는 유적간 석기공작의 차이가 보인다. B2퇴적층에서는 권역간 대형 및 소형 석기의 점유에서 차이가 있다. 그리고 임진-한탄강권역과 한강본류권역에서는 주먹도끼류의 기술 변용이 관찰되며, 밀개는 남한강권역의 지류와 북한강권역, 영동하천권역, 안성천권역의 일부 유적에 집중된다. B1퇴적층에서는 대형석기가 감소하고 소형석기가 급증하지만, 북한강권역에서는 그 변화가 거의 없고, 영동하천권역과 안성천권역에서는 대형석기의 감소가 불분명하다. 대형석기 중 주먹도끼류는 안성천권역, 북한강권역, 영동하천권역의 지류하천에 위치하는 일부 유적에만 집중된다. 돌날 및 좀돌날 기법은 안성천권역과 영동하천권역을 제외한 모든 권역에서 순차적으로 나타난다. 돌날 기법의 경우 권역별 출현 시기의 차이가 큰 편이나 좀돌날 기법은 시기 차이가 적다. 또한 석영계 소형석기는 영동하천권역과 안성천권역을 제외하고는 후반부에 소형화되고 있다. 최상층인 A퇴적층에서는 안성천권역을 제외하면 석영계 소형석기의 소형화가 뚜렷하며, B1퇴적층에서 출현한 돌날 및 좀돌날 기법은 권역에 따라 유지되지만 한강본류권역에서는 돌날 기법이 보이지 않으며, 영동하천권역에서는 좀돌날 기법이 뒤늦게 나타난다. 한편 신석기시대까지 연속되는 화살촉, 석부 등의 새로운 석기가 영동하천권역과 임진-한탄강권역을 중심으로 확인된다.
    이러한 시공간적인 지역성의 차이는 주로 석기제작에 이용하는 돌감의 선별과 취득, 유적의 기능 등에 따른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동일 권역 내에서도 석기공작의 차이가 관찰되므로 구석기시대의 석기공작을 단순히 이해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

    영어초록

    In order to understand regionality of the Paleolithic industry in Central Korea, it was divided into 6 areas mainly in the river system. After analyzing the development of the stone industry and stratigraphic chronology by area, the spatiotemporal regionality was examined through comparison.
    As a result, the beginning of the Paleolithic in the lowest C layer has a regional time difference. The hand-axes classified as large tools are concentrated in the river area of Youngdong, the Bukhan river area, the main stream of Han river area, the Imjin-hantan river area. The chopper-chopping tools are concentrated in the Namhan river area. In particular, the morphological technique of hand-axes in the Imjin-hantan river area and main stream of Han river area has many types and skillful process than other areas. In addition, the Imjin-hantan river area and the Bukhan river area show differences in stone industry between the sites of main stream and the branch of stream.
    In the B2 lay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occupancy of large and small tools between the areas. The technical transfiguration of hand-axes is observed in the Imjin-hantan river area and main stream of Han river area. End-scrapers are concentrated in the sites of the river area of Youngdong, the Anseongcheon area, the Bukhan river area and the branch of Namhan river area.
    In the B1 layer, the large tools are decreasing and small tools are increasing rapidly. However, there is little change in the Bukhan river area and decline of large tools is unclear in the river area of Youngdong and the Anseongcheon area. The hand-axes are concentrated in the some sites of the Anseongcheon area, the river area of Youngdong and the Bukhan river area. The blade and micro-blade technique appear sequentially in all areas except Anseongcheon area and river area of Youngdong. In the case of blade technique, there is a very difference in appearance by region. But the case of micro-blade technique, there is a little difference in appearance by region. Also, quartz-quartzite small tools have been miniaturized in the latter period except the river area of Youngdong and the Anseongcheon area.
    In the A layer, which is the top layer, except for the Anseongcheon area, quartz-quartzite small tools are miniaturized obviously. In the B1 layer, the blade and micro-blade technique are maintained according to the area, but the blade technique is cut off in the main stream of Han river area and the micro-blade technique is appearance in the river area of Youngdong. Meanwhile, new tools such as arrowheads and stone axes continuing to the Neolithic Age are confirmed in the river area of Youngdong and the Imjin-hantan river area.
    This difference in spatiotemporal regionality can be attributed to the selection and acquisition of raw materials used in stone tools making and the function of the sites. However, differences in the stone industry are also observed within the same area, it should be avoided to simply understand the stone Industry from the Paleolith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