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원사대가(元四大家)에 대한 이해와 실제-방작회화(倣作繪畵)를 중심으로- (Understanding and Reality of Late Joseon Dynasty about the Four Masters of Yuan Dynasty-Focused on ‘Bangjak painting’-)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23.09
30P 미리보기
조선후기 원사대가(元四大家)에 대한 이해와 실제-방작회화(倣作繪畵)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미술사학 / 17권 / 141 ~ 170페이지
    · 저자명 : 김경은

    초록

    본 논문은 원사대가 방작회화를 중심으로 조선후기 화단에서 원사대가를 이해한 방식과 작품에서의 반영 양상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이라는 시기에 제작되고 원사대가를 방고대상으로 삼은 방작회화와 동시기 중국과 조선의 회화를 종합적으로 비교하고, 문헌에서의 서술 양상을 검토하는 연구방식을 사용하였다.
    17세기 전반 『고씨화보』의 전래를 통해 원사대가와 그들의 회화에 대한 인지가 시작되었으며, 이후 허구서의 작품과 문헌 기록을 통해 적어도 18세기 후반 원사대가의 작품과 화가적 면모에 대한 인식이 화단에 자리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전반의 작품 경향에서 화가에 대한 이해와 방작의 양상이 확연히 변화하는 것이 주목된다.
    원명웅, 정수영 등의 작품을 통해 18세기 후반에는 원사대가의 방작에 산거의 도상이 채용되는 것이 확인되며, 이는 원사대가를 은사로 인식하였던 화단의 공통된 인식과 은일 주제의 다양한 회화를 제작했던 화단의 시의성에 기반한다. 원사대가에 대한 집합적 인식은 동기창의 화론과 방고화첩의 유입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19세기 전반에는 원사대가 방작회화와 함께 방원인산수도라는 새로운 유형의 작품이 등장한다. 김정희와 허련의 작품을 통해 동일한 화제 아래 각기 다른 화면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적이며, 이는 화단 내 선화의 보편적 가치와 기준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예황이라는 병칭이 나타나고 원인이라는 용어로 개념을 확장한 것에 기인한다. 이에 당대 화단에서 추구하는 좋은 화풍은 원인이라는 보편적 개념 아래 모두 수용되었고 방원인산수도는 이를 모두 아우르는 하나의 화제로 자리하게 되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late Joseon art scene interpreted and reflected the concept of “The four masters of Yuan dynasty (元四大家, from this out I’ll mark it as a Yuan-sadaega)” into landscape paintings during the late 18th to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This study employs a comparative approach, analyzing paintings created during this period in Korea and China, particularly those featuring Yuan-sadaega, while also investigating written records.
    The understanding of the Yuan-sadaega and their paintings began through the early 17th century Gosi's painting manuals(顧氏畵譜). Through Heo Guseo(許九敍)'s works and literary records, It can be observed that the perception of Yuan sadaega's artworks and artistic aspects during at least the late 18th century was established within the art community. Notably, a distinct shift in the understanding of painters and the composition of Yuan-sadaega is observed in the trends of the late 18th and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In the late 18th century, the use of dwelling in the mountain(山居) image into landscapes in Yuan-sadaega compositions is evident, particularly in works by artists like Won Myeong-ung(元命雄) and Jeong Su-yeong(鄭遂榮). This trend is rooted in the contemporaneous significance of the art scene that produced a variety of paintings with the theme of ‘benevolence and daily life and in the shared understanding of the Yuan-sadaega as recluse(隱士) within the artistic community. This collective perception of the Yuan-sadaega seems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influx of theories and writings on painting by Dong qi chang(董其昌) and by the circulation of painting manuals.
    The early 19th century, a new a new type of painting emerged alongside Bangjak(倣作, paintings of creative imitation) about the Yuan-sadaega, known as ‘Bangjak about Yuan dynasty painters(倣元人山水圖). Through the works of Kim Jeong-hee(金正喜) and Heo Ryeon(許鍊), it is noteworthy that various scenes are depicted under the same theme. This reflects the establishment of universal values and standards for literary painting within the art community. This process led to the term ‘Ni-hwang(倪黃, abbreviation of Ni zan and Hwang gong wang)’ emerging and the concept expanding under the term ‘Yuan-in’ (元人, the symbol of Yuan art scean). As a result, the desired artistic style pursued by the contemporary artistic community was encompassed under the universal concept of ‘Yuan-in,’ and ‘Bangjak about Yuan dynasty painters’ came to embody this comprehensive the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