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연암 박지원의 <서이방익사(書李邦翼事)>를 통해 본 조선후기 해외인식 (A Study about Yeonam Park Ji-won’s , Focusing on Awareness of Overseas in Late Chosun Dynasty)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13.06
30P 미리보기
연암 박지원의 &lt;서이방익사(書李邦翼事)&gt;를 통해 본 조선후기 해외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古典硏究 / 27호 / 297 ~ 326페이지
    · 저자명 : 신상필

    초록

    동아시아의 한편에 위치한 한국의 지정학적 조건은 중국을 통한 정보의 수집이라는 일정한 한계를 갖고 있었다. 이는 육로를 통한 대외 교류라는 측면에서 비롯된 전통시기의 고질적인 문제였다. 따라서 조선은 해외에 대한 정보를 갈구하고 있었다. 이때 우연한 기회로 표류에서 살아남은 귀환자들의 대외 정보는 당대 지식층의 비상한 관심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연암 박지원이 정조(正祖)의 명으로 저술하게 된 <서이방익사>는 그 대표적 사례의 하나이다. 이방익이라는 인물이 표류를 당해 대만으로부터 중국의 강남과 북경을 거쳐 귀환한 경로는 얻기 어려운 새로운 견문에 다름 아니었다. 다만 박지원은 이를 문체반정과 연계된 정조의 어명, 혹은 이문(異聞) 차원의 흥미로운 기록에 그치지 않았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는 이방익이 경험한 조선후기 중국의 강남 지역과 그 주변의 상황을 통해 당대의 현실을 읽고자 하였다. 또한 이방익의 귀환 경로를 통해 조선조 사대부 계층의 북벌에 대한 헛된 바람에 다시 한 번 문제를 제기한 것이다. 이는 박지원을 비롯한 박제가, 이서구, 유득공, 서호수 등 북학파(北學派)의 지적 관심이 표류 귀환자의 생환 과정과 결합된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선후기 지식인들의 대외 인식과 상호 교섭의 현장을 재확인해 보았다.

    영어초록

    Korea is located at the perimeter of East Asia and its geopolitical condition had certain limitation, which was that Korea should collect all information through China. It was a chronic issue at the time caused by exchange with foreign countries only through land route. Exchange through sea route was required to overcome this limitation; however, it was very difficult in reality. Therefore, Joseon was yearning for information on overseas. During such period, information on foreign countries carried by the returnees, who survived a drift by chance, attracted keen interest of the intellectual class at the time.
    Seoyibangiksa (書李邦翼事) is one of such books, which was written by Yeonam Park Ji-won by the order from King Jeongjo. A person named Yi Bang-ik had met a storm on the sea and drifted to Taiwan. He came back to Korea through Jiangnan (South China) area and Beijing (North China). The route took by Yi Bang-ik in returning to home was quite new knowledge for Joseon intellects. At the time, King Jeongjo had given a royal command called Munchebanjeong (which was kind of downgrading the importance of writings on practical matter); however, Park Ji-won did not write Seoyibangiksa in accordance with royal command or took it as a simple interesting story.
    Park Ji-won tried to read contemporary reality through the situation in Jiangnan and surrounding area in China experienced by Yi Bang-ik. He raised the issue again toward the vain wish of ‘Bukbeol’ (expedition to conquer the north) by some Joseon nobilities through the return route of Yi Bang-ik. It can be understood as the combination result of intellectual interest of Bukhak School scholars, such as Park Ji-won, Park Je-ga, Yi Seo-gu, Yoo Deuk-gong and Seo Ho-su, with the return process of a drift survivor. Further,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it as a reconfirmation process of overseas awareness of intellects in late Joseon Period and the site of mutual exchan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