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어고방(御考榜)」으로 살펴본 정조대 도과시험 고찰 (A Study of Special Examinations of King Jeongjo based on 「Eogobang」)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21.02
31P 미리보기
「어고방(御考榜)」으로 살펴본 정조대 도과시험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가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가문화연구 / 47호 / 99 ~ 129페이지
    · 저자명 : 김희태

    초록

    광주역사민속박물관 소장 「어고방(御考榜)」은 1798년(정조 22) 광주목에서 설행된 과거시험 도과의 합격자 명부로 정조가 직접 내려 ‘어고(御考)’라는 첨지가 있다. 광주목 도과의 시(詩) 과목 시제가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 1493∼1582)의 회방연(1579년, 선조 12)과 관련이 있는 ‘하여면앙정(荷輿俛仰亭)’이다. ‘하여면앙정’의 시해(詩解)를 통하여 송순은 20세에 과거에 급제하였고 문장력은 당세 으뜸이라는 점, 네 분 임금을 섬기면서 정도를 실행하였고 관직에서도 엄정하게 임했다는 점, 고향 면앙정에서 우주를 두루 살피면서 유상 강학하였다는 점 등 임금을 사랑하는 충성심이나 60년 관직의 공정함 등을 강조하였다. 이같은 면앙의 생평을 축하하고자 문인 제자와 인근고을의 수령들이 참여하였고 모두가 감탄하면서 광영의 자리가 되었고 죽여(竹輿)를 메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처럼 호남 선비의 기개를 기리면서 노래하게 한 뜻이 시제에 내포되어 있었다.
    정조 임금이 지역 인재 선발을 내건 것이라 전라도 각지에서 유생이 참여하여 다섯 과목 중 세 과목을 객사인 광산관(光山館)에서 치렀다. 합격자 명부인 「어고방」은 69명의 호남 유생들의 과거 시험에 대한 기록으로 당시의 제도사는 물론 향촌사회사를 알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어고방」에 수록된 69명 가운데 합격자는 53명이다. 가장 점수가 높은 2명(高廷鳳, 任興源)에게는 직부전시(直赴殿試) 자격을 주고 급분(給分) 14푼을 인정하였다. 다음 단계 성적을 받은 사람 2명(朴宗民, 鄭冑煥)은 경기전과 조경묘의 참봉(종9품) 벼슬을 주고 급분 12푼을 인정하였다. 16명의 차상(次上) 유생들에게는 『사기영선』, 『주서백선』, 『오륜행실』 등의 서책과 붓과 먹과 종이를 하사하였다.
    「어고방」 등재자 69명의 직역을 보면, 유학(幼學) 49명(33명, ( )는 합격자 수 , 이하 같다), 생원(生員) 7명(7), 진사(進士) 12명(12), 통덕랑(通德郞) 1명(1)이다. 통덕랑은 정5품 문신의 품계이다.
    연령을 보면 최연소 25세부터 최고령 78세까지이다. 20대는 2명, 30대는 12명(7), 40대 20명(11), 50대 21명(21), 60대 12명(12), 70대 2명(2) 등이다.
    성씨별로 보면 반남박씨 4명(4), 하동정씨 4명(3), 순천박씨 3명(2), 전주이씨 3명(3), 함평이씨 3명(1), 영일정씨 3명(3), 고령신씨 3명(1), 광주김씨 3명(2), 나주임씨 2명(2), 남원양씨 2명(1), 남원윤씨 2명(1), 연안이씨 2명(2), 풍천노씨 2명(1), 울산김씨 2명(2), 의령남씨 2명(2), 장택고씨 2명(2), 행주기씨 2명(2) 등이다. 1명을 낸 성씨는 25개(19) 성씨이다.
    거주지별로 보면, 광주 23명(16), 순창 12명(6), 나주 6명(6), 창평 6명(5), 남원 4명(2), 보성 2명(2), 영광 2명(2), 장성 2명(2), 장흥 2명(2), 고부(1)·고창(1)·능주(1)·담양(1)·동복(1)·익산(1)·함평(1)·해남(1)·화순(1)·흥덕(1) 각 1명이다.
    「어고방」은 고정봉에게 사급되었던 문서인데 원래 전하던 문서와 떨어져 있다가 지금은 광주역사민속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관련 문서인 수촌 고정봉 고문서도 조사를 통하여 확인되었다. 광주 과거시험을 주제로 특별 기획전이 열렸고 고문서 해설 도록도 간행되었으며 고문서도 기증되었다. 그리고 김재박의 ‘하여면앙정’ 시권, 김치복에게 내린 내사본 『사기영선』등 원본 문서가 조사된 바 있다. 기학경의 ‘하여면앙정’ 시는 문집을 통해서 확인되었다. 최근에는 책(策) 과목의 ‘어제책문’ 으로 전하는 문서도 소재가 확인되었다. 보다 더 자세한 조사와 연구를 진행하면서 공유화의 길도 모색해 갔으면 한다.

    영어초록

    「Eogobang」 in the collections of Gwangju History and Folk Museum is the list of candidates who passed the special examination that took place in Gwangju-mok in Jeolla-do in 1798 (22nd year of King Jeongjo) and includes the stamp of ‘Eogo (king's decision)’ as it was bestowed by King Jeongjo himself. The title of the poem that was tested in Gwangju-mok was ‘Hayeomyeonangjeong’ related to the 60th anniversary ceremony (1579) of Song, Soon (1493∼1582, pen name: Myeonangjeong) as a government official. By interpreting the poem, ‘Hayeomyeonangjeong,’ it was stressed that Song, Soon passed the examination when he was 20 with the greatest excellence in composition skills at that time, followed the righteous way and was always dedicated to his post while serving four generations of kings, and served his hometown in Myeonangjeong while educating the Confucian scholars. He was particularly recognized for his loyalty to the kings and fairness to the post for 60 years. To celebrate his life, his literary pupils and the governors of neighboring towns gathered together to praise him and carry the bamboo carriage. The poem was written to cherish his spirit as a scholar of Honam.
    King Jeongjo scheduled a special examination to select gifted minds in the local region, so the scholars came from all over Jeolla Province to attend three out of five tests at Gwangsangwan, a pavilion for guests. 「Eogobang」, the list of candidates who passed the examination, is a record of an examination taken by 69 scholars in Honam and an invaluable resource of the systems and rural societies of that time.
    Among the 69 students listed in 「Eogobang」, 53 passed the examination. Two of them with the highest scores (Goh, Jeong Bong and Yim, Heung Won) were qualified for the final examination and received 14 puns as rewards. The students with the next highest scores (Bak, Jong Min and Jeong, Joo Hwan) were assigned to the Chambong (9th class) position of Gyeonggijeon and Jogyeongmyo and received 12 puns as rewards. The 16 students with lower scores were bestowed books such as 『Sagiyeongseon』, 『Juseobaekseon』, and 『Oryunhaengsil』 along with brushes and ink bars.
    The positions of 69 scholars listed in 「Eogobang」 were 49 [34] in Yuhak, seven in Saengwon, 12 in Jinsa, and one in Tongdeongnang. Tongdeongnang is a 5th-class literary position.
    Considering the family names, there were four from the Bak Family of Bannam, four from the Jeong Family of Hadong, three from the Bak Family of Suncheon, three from the Yi Family of Jeonju, three from the Yi Family of Hampyeong, three from the Jeong Family of Yeongil, three from the Shin Family of Goryeong, three from the Gim Family of Gwangju, two from the Yang Family of Namwon, two from the Yoon Family of Namwon, two from the Yi Family of Yeonan, two from the Noh Family of Pungcheon, two from the Gim Family of Ulsan, two from the Nam Family of Euiryeong, two from the Goh Family of Jangtaek, and two from the Gi Family of Haengju.
    Considering the place of residence, 23 students were from Gwangju, 12 from Sunchang, six from Naju, six from Changpyeong, four from Namwon, two from Boseong, two from Yeonggwang, two from Jangseong, and two from Jangheung.
    「Eogobang」 was first bestowed to Goh, Jeongbong and it was separated from the original letter until it was collected by Gwangju History and Folk Museum. The old document of Goh, Jeong Bong (Pen Name: Suchon) has been confirmed through research and a special exhibition was held on the government examination of Gwangju. An interpretation of the old document has been published and the document has been donated. The authenticity of Gim, Jae Bak's ‘Hayeomyeonangjeong’ and 『Sagiyeongseon』, the government document bestowed to Gim, Chi Bok, has been surveyed. Gi, Hak Gyeong's ‘Hayeomyeonangjeong’ was found in a collection. Recently, the document of 'Eojechaekmun' stating the test questions has also been found. It is hoped that more studies and researches would take place to explore the ways to share the find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가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