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분단 인식의 확장과 진보적 연극의 분단 재현— <한씨연대기>와 <통일밥>을 중심으로 — (Expanding the awareness of division and the reproduction of the division of a progressive play — Focused on and )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19.03
26P 미리보기
분단 인식의 확장과 진보적 연극의 분단 재현— &lt;한씨연대기&gt;와 &lt;통일밥&gt;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문학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이론연구 / 76호 / 215 ~ 240페이지
    · 저자명 : 이승현

    초록

    남북의 분단 상황은 오랫동안 우리 민족의 화두로, 일찍부터 희곡 작품의 소재로서 다루어져 왔다. 그 중에서도 <한씨연대기>와 <통일밥>은 민주화운동이 활발히 전개되었던 1980년대의 시대적 상황을 바탕으로 하여, 분단에 대한 인식에 있어 기존의 분단 문제를 다룬 작품들과 다소 차이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시대적 배경을 두고 창작된 이 작품들은 서로 유사한 측면이 두드러지지만, 작품의 특성에 집중하여 살펴보자면 두 작품의 연극적 효과나 연극의 지향은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씨연대기>와 <통일밥>은 분단의 원인을 구체적이고 국제적인 시선에서 바라봄으로써 분단 문제를 보다 주체적으로 인식하게 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진다. 또한 서사극의 형식을 활용함으로써 분단의 원인에 대한 보다 확장된 인식이 무대에서 형상화되도록 했다는 점에서도 닮아있다. 그러나 <한씨연대기>는 배우들의 역할바꾸기나 해설자의 활용을 통해 극에 대해 관객이 거리감을 가짐으로써 분단에 대한 이성적인 접근이 가능하게 한 반면, <통일밥>은 <한씨연대기>와 마찬가지로 극중 인물이 해설자의 역할을 수행하지만 연극 주체의 주장을 전달하며 관객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존재로 기능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한씨연대기>와 <통일밥>이 유사한 창작 배경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연극적 효과와 연극의 지향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는 것은 두 작품을 창작하고 연출했던 당시 상황 및 연극관에 영향을 받은 것이라 할 수 있다. <한씨연대기>는 분단 문제를 무대화하고 공연정지라는 상황을 돌파하기 위해 고전 비극과 브레히트 서사극을 참고한 반면, <통일밥>은 민족극의 현실을 돌파하기 위해 마당극과 서구 무대극의 이상적인 결합을 추구한 경향에 영향을 받았다.

    영어초록

    The division of the two Koreas has been an important issue for our people, so it has been the subject of plays since early times. It should be noted that <Hanssiyeondaegi> and <Tongilbob>, among them, show their perception of division, which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works dealing with the division of the country, based on the period of the 1980s when democracy was active. Created at a similar time with a similar period background, these works stand out in similar aspects, but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reveals that the two works have different theatrical effects or orientations.
    <Hanssiyeondaegi> and <Tongilbob> are meaningful in that they have made the division more subjective by looking at the cause from a concrete and international perspective. It is also similar to the fact that the use of epic-style performance techniques has led to broader perceptions of the causes of division being shaped on the stage. However, the difference is that <Tongilbob>, like <Hanssiyeondaegi>, plays the role of narrator but actively communicates with the audience, while <Hanssiyeondaegi> has made it possible for audiences to have rational access to division by having distance from the play.
    <Hanssiyeondaegi> and <Tongilbob> have similar creative backgrounds, but their differences in theatrical effects and direction are often attributed to the circumstances and theater of the time when they were created and produced. <Hanssiyeondaegi> refers to classical tragedies and Brecht epic dramas to stage the division problem and break through the situation of the suspension of performances, while <Tongilbob> was influenced by the tendency to seek the ideal combination of Madang-theatre and western stage plays to break through the reality of the national dram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이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