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울 ‘인수마을밥상’ 운영과 도시 공동체문화의 재인식 (The Operation of Seoul ‘Insu Village Table’ and Re-recognition of Urban Community Culture)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23.09
40P 미리보기
서울 ‘인수마을밥상’ 운영과 도시 공동체문화의 재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경국대학교 민속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공동체문화와 민속 연구 / 6호 / 85 ~ 124페이지
    · 저자명 : 박선미

    초록

    이 연구는 서울의 한 마을공동체에서 운영하고 있는 마을밥상의 공동체적 원리를 파악하고, 마을밥상이 도시 공동체 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조사ㆍ분석한 것이다. 마을밥상을 운영하고 있는 공동체인 밝은누리의 역사와 함께 마을밥상이 태동한 당대 배경과 과정이 무엇인지, 마을밥상을 운영하는 데는 어떠한 공동체적 원리가 작동하고 있는지, 마을밥상이 지향하는 가치와 목표가 무엇인지, 이로 인해 공동체 구성원들의 일상생활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났는지를 분석하였다.
    마을밥상은 밝은누리의 공동식사, 공동밥상, 마을밥상의 형태로 바뀌면서도 밥상 나눔이라는 문화 속에서 지속되고 있다. 마을밥상은 단순한 공동식사 의미 이상으로 공동체 구성원들이 서로소통하고 관계 맺는 매개체로서 존재한다. 공동체 구성원들은 마을밥상을 이용의 대상으로만 생각하지 않고 울력으로 일손을 보탰다. 그리고 마을밥상 운영주체의 급여에는 공동체의 형평성 원리가 작동하고 있다. 또한 마을밥상 운영 원리에는 생명ㆍ순환ㆍ생태라는 가치 지향점이 분명하게 자리하고 있다. 친환경유기농산물을 사용하고, 수입과 가공된 식품 사용을 배제하며, 제철 식재료를 이용함으로써 토박이 씨앗을 살리고 불필요한 에너지를 절약하면서 건강한 먹거리와 생태환경을 중요하게 고려한다. 이는 마을밥상을 비롯한 마을 곳곳의 부산물을 텃밭의 거름으로 보내어 자연으로 순환시키는 실천으로도 이어진다.
    아울러 마을밥상 문화와 먹거리에 대한 인식 전환이 공동체 구성원들의 일상생활 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보수적인 입맛의 변화에 따라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생기고 이는 식재료의 관심으로도 이어져 하늘땅살이의 실천으로 확장되었다. 이를 통해 생명 순환과 살림에 대한 인식의 지평이 더 넓어지면서 온 가족의 먹거리 체계가 변화되었다. 또한 마을밥상에서는 대규모 육아 품앗이가 선순환 구조를 이루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교육 현장으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이처럼 밝은누리는 인수마을밥상을 통해 도시라는 자연ㆍ지리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생명ㆍ순환ㆍ생태의 가치 실천을 위한 다양한 공동체 운동을 펼쳐오고 있다. 무엇보다 마을밥상 운영을 통해 대안먹거리에 대한 고민과 실천을 해 오고 있으며 농촌의 생산문화의 중요성도 강조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dentifies the communal principle of a village table operated by a village community in Seoul and investigates and analyzes how the village table has influenced urban community life. This research analyzes the history of Bargn Nuri, the community that operates the village table, and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the village table’s birth, what communal principles are working to operate the village table, what values and goals that the village table pursues, and what changes have been shown in the daily lives of the community members.
    The village table has continued within the culture of table sharing while being changed into the forms of Bargn Nuri’s communal meal, communal table, and village table. The village table exists as a medium for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to communicate and relate to each other beyond having simple meaning as a communal meal. Community members assist through cooperation not merely regarding the village table as an object of use, and the principle of communal equity is operating in the salaries of subjects operating the village table. Also, the orientation towards the values of life, circulation, and ecology is clearly positioned in the principle of operating the village table. It uses eco-friendly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excludes the use of imported or processed foods, utilizes seasonal ingredients to preserve native seeds, prevents the use of unnecessary energy, and considers healthy food and ecological environment to be precious. This also leads to the practice of sending byproducts from all over the village including the village table to manure in the garden and circulating them within nature.
    Furthermore, the change of recognition on village table culture and food has influenced the everyday culture of the community members. Interest in food arose as conservative tastes changed, which led to interest in food ingredients as well, and it came to be extended to the practice of sky and ground-based life. Through this, the whole family’s food system became changed as the horizon of awareness about the life cycle and living got broader. Moreover, through the village table, large-scale childcare support forms a virtuous cycle, and it also functions as the various fields of education. As mentioned above, Bargn Nuri has been carrying on various communal movements to practice the values of life, circulation, and ecology despite the natural and geographical limitations of a city through Insu Village Table. Above all, it has been considering and practicing alternative foo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village table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rural production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동체문화와 민속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