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술 서사에 나타난 페니스의 절대화와 신화화–구전이야기 ‘처녀 병 고친 소금장수’와 ‘첫날밤에 신랑 재촉한 신부’를 중심으로 (Absolutization and Mythicization of the Penis in Korean Oral Narratives)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19.06
50P 미리보기
구술 서사에 나타난 페니스의 절대화와 신화화–구전이야기 ‘처녀 병 고친 소금장수’와 ‘첫날밤에 신랑 재촉한 신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53호 / 45 ~ 94페이지
    · 저자명 : 김시연

    초록

    일상적이고 가벼운 ‘성적 농담’ 가운데에는 절대화된 페니스의 권위와 ‘남성’ 섹슈얼리티의 신화를 핵심으로 하는 것들이 많다. 이 글에서는 그러한 ‘성적 농담’의 역사성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구전이야기에 나타난 페니스의 절대화와 신화화가 서사적으로 드러나는 양상에 집중한다. 이러한 관념을 담은 이야기들이 다분히 여성혐오적인 시각을 내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편’의 유머로 무리 없이 받아들여지고, 나아가 일상의 문화적 코드로 스며드는 양상에 주목하였다. 결국 시대의 흐름에 따라 모습을 달리하면서도 그대로 유지되는 이들 ‘성적 농담’의 관습이 지닌 역사성을 따져보았다.
    대상으로 삼는 이야기는 구전이야기 ‘처녀 병 고친 소금장수’와 ‘첫날밤에 신랑 재촉한 신부’로, 모두 ‘성행위’와 ‘성적 쾌락’을 핵심으로 하는 성적 농담이다. 이들 이야기는 각각 낯선 총각이 처녀를 겁탈하는 사건과 신랑과 신부가 ‘첫날밤’을 치르는 사건을 소재로 하는데, 인물과 관계 설정이 상이하나 ‘남성’ 인물의 과장된 성적 능력과 그것을 더욱 부각하는 방식으로 묘사되는 ‘여성’ 인물의 반응을 통해 웃음을 이끌어낸다는 점에서 궤를 같이 한다.
    이들 이야기에서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핵심 대목, 즉 가장 ‘재미있는’ 부분들은 일일이 ‘남성’ 페니스의 절대화된 위치와 ‘남성’ 섹슈얼리티의 신화화된 위상에 근거한다. 이성애적 성기 성교 상황에서 ‘여성’ 인물이 먼저 ‘남성’ 인물에게 성교하기를 (은근히) 조르고 재촉하는 대목, 그 결과로 이루어진 성기 성교 상황에서 ‘여성’ 인물이 성적 쾌락을 과장되게 표현하는 대목이 그렇다. 이러한 장면들의 핵심은 섹슈얼리티의 측면에서 ‘결핍된’ 여성과 그것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능력을 지닌 ‘남성’이라는 구도이다. 이때 ‘남성’ 인물이 그와 같은 위치에 있을 수 있는 것은 그가 ‘페니스’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며, 그런 점에서 ‘여성’ 인물의 결핍은 페니스의 결핍이나 다름없다.
    두 이야기가 취하는 담론 전략은 크게 두 가지이다. 먼저 ‘여성’ 인물이 성욕을 ‘스스로’ 표현한다는 의외성에서 비롯된 부조화를 통해 웃음을 이끌어 내는 것이고, 다음으로 위계의 상위에 있는 ‘남성’ 인물의 시점에서 다른 이들을 조롱하며 웃음을 유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담론 전략은 이들 이야기를 ‘성적 농담’으로 만들 뿐 아니라 그것이 내포한 관념을 자연화하는 효과를 지닌다. 이들 이야기는 페니스의 유무로 구분되는 성별에 대한 믿음, 그리고 페니스의 상징성을 통해 규정되는 ‘남성성’의 속성과 ‘남성’ 섹슈얼리티에 대한 신화화된 믿음으로부터 태어나, 거꾸로 그것을 강화하는 담론으로도 기능하는 것이다.

    영어초록

    A number of ordinary “sexual jokes” are based on the authority of the penis and the myth of “male” sexuality. This thesis is an attempt to capture the historical aspects of the “sexual jokes” and absolutization of the penis in Korean oral narratives. The narratives, despite their misogynistic views, are easily accepted as “universal” humor by people. The way sexual jokes permeate the cultural code of everyday life has to be analyzed. The tradition of sexual jokes is historical and different from the current of the times but is still maintained. The stories “A salt seller who cure a girl of a disease” and “A bride who pushes her bridegroom to have sex on their wedding night” contain sexual jokes about “sexual intercourse” and “sexual pleasure” as their key narrative points. These stories are about a stranger raping a virgin and a newly married couple having “sex for the first time.” Although the characters and relationships are different in each story, they provoke laughter through the exaggerated sexual abilities of the “male” character and the reaction of the “female” character, who are depicted in a way that highlights these abilities. The key common points in these stories—namely, the most “funny” parts—are based on the absolutized position of the penis and the mythical status of “male” sexuality. Note the scenes where a “female” character quietly pushes a “male” character to have sex in a heterosexual way and where the “female” character exaggerates her sexual pleasure in the subsequent sexual intercourse. At the heart of these scenes is the composition of a “starved” woman in terms of sexuality and a man who can satisfy her needs. The very reason a man can be in the superior position here is that he has a penis. And the “female” character’s problems arise because of her lack of a penis. There are two discourse strategies that the two stories use: first, to provoke laughter through the irony that a “girl” plainly expresses sexual desire and, second, to provoke laughter by mocking others from the viewpoint of the “male” character. These discourse strategies not only make these stories “sexual jokes” but also have the effect of naturalizing the ideas they contain. Thus, these stories are born out of a mythical belief in “male” sexuality defined through the symbolism of the penis, and they also serve as a discourse that strengthens the belie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