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승옥 단편소설에 나타난 ‘야행’의 의미 연구 -낮과 밤의 대립구조 및 폭력과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a Night-trip in Kim, Seung-Ok’s Short-stories)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11.12
25P 미리보기
김승옥 단편소설에 나타난 ‘야행’의 의미 연구 -낮과 밤의 대립구조 및 폭력과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소설연구 / 48호 / 485 ~ 509페이지
    · 저자명 : 곽상순

    초록

    본고에서는 ‘대낮의 광장’과 ‘밤거리’의 이원적 대립구조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김승옥의 단편소설들, 즉 <차나 한 잔>과 <서울 1964년 겨울>, <역사>, <야행> 등을 중점적으로 분석했다. 특히 이들 작품 속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야행’이 갖는 기능과 의미에 주목했는데, 이러한 ‘야행’의 문제를 중심으로 그의 단편소설들에서 낮과 밤의 대립적 상상력이 어떤 양상으로 구체화되는지를 검토하고 그것의 의미는 무엇인지를고찰해 보았다.
    김승옥의 문학세계는 구조적 폭력과 명시적 폭력 사이의 확연한 대립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그것은 ‘낮’과 ‘밤’의 대립의 내용적 실체를 형성한다. 주로 ‘밝음’과 ‘빛’이 지배하는 ‘낮’의 시간대를 배경으로 하는 구조적 폭력은 구체적인 실체를 결여한 형식적 리얼리티만을 제공한다. 탈사회적인 개인적 영역조차 결코 순수한 즐거움이 존재하는 자유로운 영역으로기능하도록 놓아두지 않는 공허한 “정식의 생활”에 대한 강박, 예의바른 완곡어법을 통해 서로에게 상처를 주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 등이 타인에 대한최고의 모욕이자 폭력적 억압이 되는 것이다. 반면 가시적 폭력은 그 폭력의 주체를 외관이 전부는 아닌, 그 이면에 우리의 환상을 자극하는 무언가를 간직하고 있는 “다면체”적인 인간으로 만들어준다. 외설적이고 잔인한폭력뿐만 아니라 일련의 비정상적인 외설적 행동들은 하나의 개체를 풍부하고 복합적인 내면을 간직한 인격체로 만들어주는 생명력의 원천이 된다.
    그리하여 그의 소설에서 ‘야행’은 대상과 세계의 다면체적 실체를 확인하기 위한 반복되는 시도의 성격을 띤다. 김승옥적 주체들이 격렬하고 가시적인 폭력과 외설적 행위가 자행되는 ‘밤’의 거리로 나서는 것은 삶의 가상성을 뚫고 그것의 실재로 되돌아가기 위한 필사적인 전략을 상징한다고할 수 있다. ‘야행’은 자기 스스로를 비-존재로 인식할 수밖에 없는 대낮의참을 수 없는 불안에 맞서, 생동하는 삶에 단단하게 자아를 토대하려는 급진적인 시도를 대표한다는 것이다. 또한 ‘야행’은 구조적 폭력의 상황에 대한 명시적이고 가시적인 폭력의 시도로 기능한다. 이런 의미로써의 ‘야행’은 외형적으로 평온하고 완벽하게 유지되는, 그러나 “빈껍데기”에 불과한 ‘광장’의 질서에 작은 균열이나마 일으키고자 하는 시도와 유사한 것이라 할 수있다. 그리고 이러한 시도가 의도하는 바는 구조적 폭력의 세계에 일종의 균열을 일으켜 그러한 폭력적 상황에 놓인 구성원들을 각성시키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look into aspects of the theme as a night-trip in Kim seung-ok’s short-stories. He is a novelist who had especially concentrated on opposition structure. Some stories dealing with this structure have exposed an opposition of day and night.
    According to <Ya-haeng(야행)>, <Yeok-sa(역사)>, <Cha na han-jan(차나 한잔)>, this opposition has two aspects. First of all,structural violence is broken out in day and brutal violence is in night. Kim seung-ok’s subject believes that structural violence is negative because it is more brutal and criminal than brutal violence. So brutal violence has more positive meaning in spite of it’s brutal appearance because it is a token of one’s affection as usual in his stories. A night-trip in his stories must be understood in this structure and opposition of day and night. A night-trip makes it possible that we in loving with actually love each other.
    Or we can have a sense of living at night because of it’s brutal violence. In Kim seung-ok’s short-stories, the purest love is love with brutal viol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