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위험의 일상화와 재난투어 서사 — 『밤의 여행자들』, 「므레모사」, 「재해지역 투어버스」를 중심으로 — (The Routinization of a Risk and Disaster Tour Narratives — With a focus on The Disaster Tourist, Mremosa, and The Tour Bus to a Disaster Area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23.12
32P 미리보기
위험의 일상화와 재난투어 서사 — 『밤의 여행자들』, 「므레모사」, 「재해지역 투어버스」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문학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이론연구 / 94호 / 33 ~ 64페이지
    · 저자명 : 엄미옥

    초록

    재난투어는 전쟁이나 대학살처럼 비극적인 참사의 현장이나 대규모 재난 재해가 일어났던 장소를 돌아보며 교훈을 얻는 여행이다. 근대화의 결과가 글로벌 위험사회로의 귀결이라는 역설적인 상황이 되면서 위험이 상품화되고 재난의 장소가 새로운 관광목적지로 부상한다.
    본고는 위험사회 혹은 액체근대에 일상화된 재난이 발생한 장소를 여행하는 작품에 나타난 재난의 양상과 인물이 그 장소와의 교감을 통해 발생하는 정동을 살피고, 나아가 텍스트가 제기하는 재난의 윤리를 밝히고자 한다.
    『밤의 여행자들』에서 해고의 위기에 처한 요나는 재난여행 상품을 점검하기 위해 무이로 향한다. 무이는 폴로 상징되는 글로벌 자본주의에 의해 철저하게 재난 관광지로 구성된 장소이다. 요나는 현지인 럭과의 만남을 통해 무이의 진정한 장소성을 경험한다. ‘맹그로브숲’으로 대표되는 원주민이 거주하는 이 생태적인 장소는 글로벌 위험사회의 위험과 기후위기의 공포에 대한 대안공간으로서 기능한다. 하지만 작품 말미에 요나의 죽음마저 폴이 기획한 인공 재난상품의 한 요소가 되면서 「밤의 여행자들」은 글로벌 자본의 폭력성을 다시 한번 입증한다.
    「므레모사」에서 유안은 유독성 화학물질 유출사고로 한때 봉쇄되었던 므레모사를 관광한다. 므레모사의 회복과 재건을 기대하는 관광객들의 시선은 장애를 극복하고 재기에 성공한 유안을 통해 감동을 얻고자 하는 주변의 기대와 일치한다. 이는 온갖 위험과 공포가 개인화되면서 더욱 강요받는 액체근대의 자기계발 문화를 반영한다. 하지만 유안은 환지통과 의족에 의한 통증이 없는 세계, 정상성에 대한 집착도 없는 세계를 꿈꾼다. 따라서 도약과 정지의 위계가 전도된, 므레모사의 진정한 장소성을 발견하자 그곳에 남기로 한다. 므레모사를 유토피아로 전유하는 유안의 모습은 개인에게 부과된 위험의 개인화가 역설적으로 개인을 얼마나 불안하고 고통스러운 주체로 만드는가를 보여준다.
    「재해지역 투어버스」에서 ‘나’는 카트리나가 발생한 뉴올리언스를 여행하면서 한국의 재난을 떠올리는데, 이는 기후위기와 산업재해 그리고 도시 재개발로 인한 참사 등이 파편화된 이미지로 제시된다. 그 중에서 광우병 촛불시위 광장에서 방언처럼 들렸던 대중의 함성으로부터 촉발된 정동은 뉴올리언즈 재난지역의 장소성과 연결되어 카트리나의 피해를 가장 크게 입은 흑인들의 분노와 고통에 공감하는 정동으로 확장된다. 이러한 재난의 정동은 불안과 불확실성의 위험사회에 균열을 내고 위험을 통제하는 지배적인 정동을 탈영토화하는 생성적인 힘이 될 수 있다.
    이상으로 살펴봤듯이 재난 투어서사는 재난이 발생한 장소와의 교감을 통해 글로벌 위험과 파국에 대한 성찰을 도모한다. 파국으로 인한 고통을 목격하고 나아가 타자와 연대하고 공감하는 정동을 생성하는데, 여기서 재난의 정치적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 이는 바로 타자에 대한 공감과 책임이 글로벌 위험사회의 위험을 극복할 수 있는 재난의 윤리라는 것을 증언한다.

    영어초록

    Disaster tourism offers a chance to travel to a scene where a tragic disaster happened such as a war and massacre or a large-scale catastrophic disaster took place and get a lesson from the travel. In a paradoxical situation where the outcome of modernization results in a global risk society, danger is commercialized with disaster places emerging as new tourist destinations.
    This study aims to examine disaster patterns in works where characters take a trip to places where routinized disasters happened in a risky society or liquid modernity along with the affect between characters and their communion with such places, further shedding light on the ethics of disasters raised by the texts.
    In The Disaster Tourist, Yona at risk of being dismissed from her work heads for Mui to check a disaster tour package. Mui has been thoroughly created as a disaster tourist destination by global capitalism represented by Paul. She experiences true placeness through her encounter with a local named Luck. This ecological place resided by natives and represented by the “mangrove forest” functions as an alternative space against the danger of the global risk society and the horror of the climate crisis. At the end of the work, however, even Yona’s death becomes an element of the manmade disaster tour package planned by Paul. The Disaster Tourist once again testifies to the violence of global capital.
    In Mremosa, Yuan goes sightseeing to Mremosa which was once under blockade after the leakage of a toxic chemical. The viewpoint of tourists expecting the restoration and reconstruction of Mremosa matches the expectation of people around her who wish to be moved by her case of overcoming her disability and succeeding in a comeback. This reflects the self-development culture of liquid modernity in which people are further forced by the personalization of all kinds of risk and terror. Yuan, however, dreams of a world free of phantom limb pain, the pain caused by a prosthetic leg, and obsession with normalcy. She thus decides to remain in Mremosa after discovering its true placeness in which the hierarchy of leap and suspension is overturned. The way that she appropriates Mremosa as a utopia shows how the personalization of risk imposed on individuals paradoxically turn individuals into anxious and painful subjects.
    In The Tour Bus to a Disaster Area, “I” travel to New Orleans hit by Hurricane Katrina and think of disasters that affected South Korea. The novel presents the climate crisis, industrial disasters, and disasters due to urban redevelopment in fragmented images. The affect triggered by the roar of the public heard like a dialect at the square where they held a candlelight vigil against meat infected with the mad cow disease expands into the affect of empathize with the anger and pain of black people who suffered the heaviest damage from Hurricane Katrina, being connected to the placeness of disaster areas in New Orleans. Such affect of disaster can be the generative force to deterritorialize the dominant affect that causes a crack in the risk society of anxiety and uncertainty and control danger.
    As these stories show, A disaster tour narrative promotes a self-examination of global risks and catastrophes through communion with places where disasters struck. People witness suffering due to a catastrophe and further create the affect of banding together and sympathizing with others. Here, one can discover the political possibilities of a disaster. This testifies that sympathy and responsibility for others is the ethics of disasters to overcome risks in the global risk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이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