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화 <쿨레 밤페>(1932) 속 자연의 매체적 변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Kritische Betrachtung der medialen Transfiguration der Natur im Film Kuhle Wampe (1932))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21.02
25P 미리보기
영화 &lt;쿨레 밤페&gt;(1932) 속 자연의 매체적 변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일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일언어문학 / 91호 / 371 ~ 395페이지
    · 저자명 : 이호성

    초록

    본고는 1929년 대공황 이후 독일 노동자의 생활을 묘사한 영화 <쿨레 밤페>(1932)에 드러나는 자연 상징들을 고찰하며, 더불어 동시대의 다른 영화 및 예술들과의 비교를 통해 그 의미를 분석한다. 이 영화의 제목으로 내건 쿨레 밤페, 베를린 사투리로 “텅 빈 배”라는 이 단어는 노동자의 신체와 관련이 있다. 이 신체는 그 내부와 외부의 자연, 그리고 마치 자연처럼 변하는 문명이 서로 만나는 지점이다. 이 영화는 한편 문명이 어떻게 자연을 예속하는지 보여주지만, 역설적으로 또한 어떻게 자연이 문명의 자연화를 통해 이 통제를 벗어나고 새로이 계속 자신을 주장하는지 보여준다. 노동자의 신체, 즉 자연/문명의 매체를, 시간과 속도, 위치와 방향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 시대에 새로이 발전해가는 남녀관계와 모성에 대한 새로운 관점에서도 살펴본다. 본고의 매체에 대한 분석은 더 나아가 1930년대 초반 당시 널리 퍼지기 시작한 유성영화의 기술을 주목한다. 이 영화에서 매체로 활용되는 사운드는 ‘침묵하는 자연’에 대항하는 ‘소리로 일깨우는 새로운 문명’이라는 점을 명확히 한다. 영화에 등장하는 상호이미지적인 몽타주들과 소리의 몽타주들, 특히 영화의 마지막에 등장하는 다양한 목소리들의 불협화음적 충돌은 해석의 빈 공간들을 만들어내며 이 영화가 다른 동시대 노동자 영화들과 차별되는 점을 만들어낸다. 이런 차이들로 생겨나는 무형적 공간성은 자기반영적으로 영화 <쿨레 밤페>, 즉 “빈 공간” 자체를 지시하며 수용자로 하여금 적극적인 해석을 하게 한다.

    영어초록

    Im vorliegenden Beitrag werden die Natursymbole im Film Kuhle Wampe (1932), in dem das Leben der deutschen Arbeiter nach der Weltwirtschaftskrise 1929 beschrieben wurde, betrachtet und die Bedeutung der Symbole durch den Vergleich mit zeitgenössischen Filmen bzw. Kunstwerken analysiert. Der Filmtitel Kuhle Wampe, im Berliner Dialekt “leerer Bauch”, bezieht sich auf den Körper der Arbeiter, ein Ort, an dem sowohl die Natur von innen und außen sowie die Zivilisation, die sich stetig wie die Natur verwandelt, aufeinandertreffen. Der Film zeigt einerseits, wie die Zivilisation über die Natur herrscht, aber paradoxerweise auch, wie die Natur sich ihrer Unterordnung durch die Naturalisierung der Kultur entzieht und weiter behauptet. Der Körper der Arbeiter, ein Medium von Natur/Kultur, wird unter den Aspekten von Zeit und Geschwindigkeit, Position und Richtung analysiert und unter den Gesichtspunkten der sich in dieser Zeit neu entwickelnden Beziehung zwischen Mann und Frau und der neuen Sicht auf die Mutterschaft näher betrachtet. Die Medienanalyse dieses Beitrags geht noch darüber hinaus und macht dabei auf die Technik des Tonfilms aufmerksam, die sich Anfang der 1930er Jahre auszubreiten begann. Der Ton wird in diesem Film als Medium eingesetzt, das “die durch Geräusche aufgeweckte neue Zivilisation” im Gegensatz zum “Schweigen der Natur” verdeutlicht. Die im Film auftretenden interpiktorialen Montagen und die Tonmontagen, insbesondere die Kakophonie in der letzten Sequenz des Films, in der eine Kollision vieler verschiedener Stimmen auftritt, schaffen einen leeren Raum der Interpretation, was den Film von anderen zeitgenössischen Arbeiterfilmen abweichen lässt. Der Aspekt der formlosen Räumlichkeit durch solche Differenzen weist selbstreflexiv auf den Film Kuhle Wampe, den leeren Raum selbst hin und veranlasst den Rezipienten zur aktiven Interpret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일언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