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군밤타령」의 신해석 - ‘바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 (A New Analysis of 「Gunbam Taryeong」 - Based on the Comprehension of Wind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16.08
32P 미리보기
「군밤타령」의 신해석 - ‘바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요학 / 47권 / 2호 / 207 ~ 238페이지
    · 저자명 : 정상홍

    초록

    <국문초록> 「군밤타령」은 한국 국민이면 누구나 다 알 정도로 유명한 신민요이다. 그러나 대개는 그 곡조와 가사를 따라 부를 뿐 그 내용에 대해서는 깊이 생각하지 않는다. 그래서 「군밤타령」은 군밤 장수가 군밤을 팔면서 관중을 모으기 위한 전략이거나 스스로 흥에 겨워 생활 주변의 일을 주섬주섬 주워다 노래한 것이라는 방향으로 주제가 모아졌었다. 앞 부분에는 거의 군밤과는 무관한 내용이며, 제창 부분에 와서야 군밤에 관련되는 내용이 있기 때문이었다.
    노래가 불러지는 근본 매력은 곡조에 있기는 하지만 가사의 일차적인 전달력을 무시할 수 없다. 가사의 기본적인 내용을 위시한 언어문자 속 은밀한 의미나 이미지, 또는 그 반복되는 가사의 중독성 있는 전달력 등은 물론 나아가 예술적 기교면에서의 문자유희적 요소를 배제할 수 없다. 민요나 신민요는 일반 대중을 상대로 일차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기 때문에 그리 깊고 폭이 큰 비유나 상징 수법 및 예술적 문학적 기교가 사용될 리는 거의 없어 보인다. 그리고 이 「군밤타령」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그러나 「군밤타령」에는 다른 민요와는 또 다른 느낌의 그 무엇이 있다. 교묘하게 사용한 은유적 화법 뒤에 주제의식이 은닉되어 있기 때문이다.
    전수린 작곡의 신민요 「군밤타령」과 「횡성 군밤타령」, 황해북도 「군밤타령」 등 세 「군밤타령」을 비교하고 교차 검토하면서 분석한 결과 핵심 단어는 지극히 당연하게도 ‘군밤’이었다. 여기에서 해석 방향이 달라졌다. 이 군밤은 단적으로 말해서 곧 여성의 대체물이다. 밤이 생태적으로 지니고 있는 특징들이 바로 여성과의 성적 문제로 적용되었고 나아가 노래의 대상이 되었다는 것이다. 그 내용이 야하고 노골적인지라 그 대체물인 군밤을 활용해서 제목으로 삼은 것으로 보인다. 황해북도 「군밤타령」에 조각밤과 삶은 밤과 생율밤과 군밤 등이 낙엽 위에 있다고 하면서 여러 종류의 밤이 출현하는 것도 여인과의 접촉 과정에서 발생하는 난이도나 감수성 측면에서 분류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모든 경우에 대한 ‘좋지!’일 수도 있다. 그 다음의 중요 단어는 ‘바람’인데, 비록 ‘연평 앞바다의 돈바람’으로 한 겹 덧씌워 놓았지만 그 속에는 음양의 천지 사이를 자유롭게 흘러다니는 바람기와 성충동(리비도)과 풍류와 노래 등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이 점은 특히 「횡성 군밤타령」에서 ‘바람[風]-밤[栗]-노파람(새끼)’의 쌍성 첩운 현상을 교묘하게 작동한 것으로 뛰어난 수사법을 활용한 것이다. 결국 「군밤타령」 세 작품은 ‘군밤’과 ‘바람’의 두 단어를 중심으로 에로티시즘의 일단을 펼쳐낸 매우 흥미로운 민요이다.
    그래서 신민요 「군밤타령」은 밤을 구워서 파는 장사행위이기보다는 어쩌면 군밤을 손에 쥐고 까먹으면서 여인과의 그 은밀한 행위 과정을 빗대어 연상하고, 바람기 있고 풍류 있는 유사한 사설들을 두루 모아 부르면서 함께 즐기는 노래일 것이다.

    영어초록

    「Gunbam Taryeong (A roast chestnut ballad)」 is a New Folk Song(sinminyo) which any Korean nation knows. However, they usually sing in the fashion of a melody and words and don't think deeply of its contents. Therefore, theme is collected as a method that 「Gunbam Taryeong」 is a strategy for his gathering crowd as a roast chestnut dealer sells roast chestnuts or singing by finding things of living surroundings overwhelmed with mirth by themselves. The forepart is almost contents unrelated to a roast chestnut. There being contents related to a roast chestnut at a chorus part, it is difficult to agree.
    Though the basic appeal that a song is sung is a melody, a primary delivery of lyrics can't be ignored. The elements of playing with letter in artistic technics aspect as well as secret meaning or image in linguistic scripts including a basic contents of lyrics, or addictive delivery of repeated lyrics can't be excluded. As a folk song or new one conveys a primary message, it seems that deep and wide metaphor, a symbol method, and srtistic literary technics can's be used. Perhaps, the same can be said of 「Gunbam Taryeong」. However, there is something of feeling other than a different ballad or new one in 「Gunbam Taryeong」.
    The key word is naturally ‘a roast chestnut’ by analysis comparing and crossingly reviewing a new ballad, 「Gunbam Taryeong」 composed by Jeon Su-rin, 「Hoengseong Gunbam Taryeong」, Whanghaebukdo 「Gunbam Taryeong」, etc. Previous many scholars seem to have missed these respects. This roast chestnut a substitute for women. The features a chestnut has ecologically applied to sexual issues with women and became the object of song by extension. Its contents was so gaudy and explicit that they couldn't annex title, ‘Women Taryeong’, which made them take up a title utilizing a substitute for a chestnut. A variety of chestnuts like a slice chestnut, a boiled chestnut, a raw chestnut, and a chestnut, etc in Whanghaebukdo 「Gunbam Taryeong」 appear, which can be assorted in the degree of difficulty or sensitivity aspect that occurs in contact process with women or be good for every case.
    A subsequent important word is ‘wind’. Though it is hidden beneath a thin layer of ‘a money-wind of Yeonpyeong sea’, it includes factors of flowing wind between sky and ground, fickleness, a sexual impulse(libido), elegance(pungnyu), and song in it. This respect especially is to artfully operate binary folded rhyme phenomenon of ‘baram(風)-bam(栗)-noparam’ in 「Hoengseong Gunbam Taryeong」 and utilize excellent rhetoric. After all, three works of 「Gunbam Taryeong」 is a very interesting folk song which spreads a group of eroticism centering on two words ‘a roast chestnut(gunbam)’ and ‘wind’.
    Therefore, a new folk song 「Gunbam Taryeong」 may be a song enjoyed by all gathering flirtatious, elegant, similar editorials holding, peeling, and eating chestnuts associating furtive action process with woman rather than business behavior of selling by roasting chestnu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요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