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항응고제 투여중인 다발성 전신질환자에서 과도한 발치창 출혈부의 진정요법과 국소마취 시행하에 창상주위 봉합과 배농술 통한 출혈과 감염조절 (Bleeding & Infection Control by the Circumferential Suture & Drainage on Active Bleeding Extraction Socket under Sedation And Local Anesthesia in a Multiple Medically Compromised Patient with Anticoag)

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11.12
6P 미리보기
항응고제 투여중인 다발성 전신질환자에서 과도한 발치창 출혈부의 진정요법과 국소마취 시행하에 창상주위 봉합과 배농술 통한 출혈과 감염조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치과마취과학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11권 / 2호 / 177 ~ 182페이지
    · 저자명 : 유재하, 김종배

    초록

    발치나 구강내 수술 시행 후 발생된 출혈이 빠르게 계속되면 우선 혈액이 입안과 인두 부위에 고이게 되어 상기도 폐쇄의 위험이 있고, 고인 피를 뱉어내면 주위환경을 오염시킴은 물론 피를 본다는 것(sight of blood) 자체로 불안과 공포가 가중되어 실신 가능성도 있으며, 피를 삼키는 경우 위장관 자극이 과도해 오심과 구토의 가능성이 높아지는 등 심각한 응급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Conley, 1979; Laskin, 1985; Falace, 1995). 또한 계속되는 출혈로 인한 순환 혈류량의 감소는 완서 관류조직 (내장, 근육, 피부)의 혈액이 급서 관류조직(심장, 폐, 뇌, 신장)으로 이동되는 혈역학의 변화로 심신의 약화가 초래되며, 과도한 출혈은 저혈량성 쇼크의 발생으로 생명의 위협을 가져올 수 있다(김진복 등, 1987). 따라서 구강내 과다출혈을 신속 정확하게 지혈시키고 후처치를 제대로 시행함은 환자의 전신건강 관리에 매우 중요하며, 이런 점에서 치과임상에서 발치를 시행할 때는 사전에 환자의 병력과 신체검진을 철저히 시행해서 발치 후 출혈의 원인들에 대한 파악을 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관리를 신속 정확히 시행함이 매우 중요하다.발치 후 초기 단계에서 과도한 출혈의 주요 원인들에는 (1) 창상 감염, 괴혈병, 화학물질에 의한 혈관벽 취약 (2) 유전, 아스피린 같은 약물, 자가면역질환에 의한 혈소판 기능 장애, (3) 방사선, 백혈병 같은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4) 혈우병, 크리스마스 질환 같은 선천성 응고장애, (5) 간장 질환, 비타민 결핍, 쿠마린, 헤파린, 아스피린, 플라빅스(plavix) 같은 항응고 약제 등에 의한 후천성 응고장애들이 있다(Patton & Ship, 1994; Rodgers, 1999; Little et al, 2002). 만약 발치창 출혈이 매우 과도해서 전신 탈수와 기도 문제가 위협된다면 발치창상은 통상적으로 봉합술을 시행하거나 트롬빈(thrombin)을 적신 젤라틴 스폰지(gelfoam) 등으로 채워서 창상봉합과 압박지혈을 시도하게 된다. 트롬빈은 신속한 지혈을 형성하려고 피브리노겐을 직접 응고시킨다. 그러나 발치된 치조와 내부에서 젤폼은 구강 내 미생물을 흡수해서 발치와 골염(감염)을 야기해 창상 치유를 지연시키는 동통과 2차적 출혈을 더 야기할 수도 있어 사용에 신중을 기해야 하며, 2차적 후출혈 발생시 대책도 마련되어 있어야 한다(Kruger, 1984; Bonoliel et al, 1986; Falace, 1995).이런 면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치과임상에서는 충치나 치주염증이 과도한 경우에 발치의 적응증이 될 정도의 치성감염 치아들도 가능한 한 발치보다는 약물요법, 근관치료, 절개 배농술 같은 출혈이 적은 술식을 구사해서 치성감염을 감소시키고, 관련의학과의 협진과 임상병리검사(흔히 CBC, P.T.P.T.T. 등)를 통해 발치후 출혈문제를 확인한 후에 발치를 시행하게 된다(Kelly, 1990; Steinberg & Moores 1995; Sonis et al, 1995).이 원칙에 따라서 본과에서는 고혈압, 협심증, 뇌졸중, 위장관 질환 등으로 항응고제를 투여하던 환자에서, 관련의학과(심장내과 등)의 협진으로 국소마취하에 충치와 치주염이 과도한 상악대구치에서1차 근관 치료를 계획했다. 그러나 근관치료 도중 치아가 발치되면서 과도한 출혈이 계속되어, 응급으로 습윤거즈 압박지혈하에 진정요법과 에피네프린 함유 국소마취 보강후에, 발치창상 테두리 봉합과 요오드포름 거즈 배농술 및 수액약물(항생제 등)요법으로, 창상출혈과 감염을 힘들게 조절한 증례를 체험해 이를 보고한다.

    영어초록

    There are five principal causes for excessive bleeding in the immediate postextraction phase ; (1) Vascular wall alteration (wound infection, scurvy, chemicals, allergy) (2) Disorders of platelet function (genetic defect, drug-aspirin, autoimmune disease) (3) Thrombocytopenic purpuras (radiation, leukemia), (4) Inherited disorders of coagulation (hemophilia, Christmas disease, vitamin deficiency, anticoagulation drug-heparin, coumarin, aspirin, plavix). If the hemorrhage from postextraction wound is unusually aggressive, and then dehydration and airway problem are occurred, the socket must be packed with gelatine sponge(Gelfoam) that was moistened with thrombin and wound closure & pressure dressing are applied. The thrombin clots fibrinogen to produce rapid hemostasis. Gelatine sponges moistened with thrombin provide effective coagulation of hemorrhage from small veins and capillaries. But, in dental alveoli, gelatine sponges may absorb oral microorganisms and cause alveolar osteitis (infection). This is a case report of bleeding and infection control by the circumferential suture and iodoform gauze drainage on infected active bleeding extraction socket under sedation and local anesthesia in a 71-years-old male patient with anticoagulation dru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