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세변혁-내세지향-사회정의-사회영성 - 가톨릭교회가 한국사회에 새긴 발자취를 따라서 (Reform of This World - Orientation to That World - Social Justice - Social Spirituality - Along with the Trace of the Catholic Church in Korean Society)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11.12
34P 미리보기
현세변혁-내세지향-사회정의-사회영성 - 가톨릭교회가 한국사회에 새긴 발자취를 따라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50호 / 331 ~ 364페이지
    · 저자명 : 박일영

    초록

    한국의 가톨릭교회가 오랜 기간 견지하던 내세 위주의 개인 구복적인 선교 방침으로부터 민중과 사회의 실제 삶에 대한 관심으로 본격적인 방향 전환을 시작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한국의 가톨릭교회는‘사회 복음화’라는 우선적 선택을 통하여 인간 삶의 구체적인 영역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하였다. 구체적인 인간을 구원하기 위하여봉사하는 공동체가 교회라는 인식을 가톨릭교회는 새삼 가지게 된 것이었다. 이러한 한국사회 내에서 가톨릭교회의 발자취에 맞추어, 본연구에서는 한국 가톨릭교회를 4시기로 나누어 고찰해 본다.
    우선, 한반도에 가톨릭이 전래된[1784] 이후 프랑스 선교사들이 입국[1836]하기 전까지의 첫 시기이다. 가톨릭은 전래 당시부터 권력에서 밀린 남인파 양반들과 의식이 깨인 민중의 주도로 현세변혁적인 사회운동의 성격을 띠게 된다. 한국 가톨릭교회의 역사가 처음부터 피로얼룩지게 되는 이유 중의 하나가 바로 변혁을 바라는 계층과 기득권층의 충돌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두 번째로는, 외국인 선교사들이 입국[1836]하기 시작한 이후부터제2차 바티칸공의회[1962-1965] 이전까지 이어져 온, 내세의 구원에집중한 시기의 교회 모습을 살펴본다. 초창기의 교회 모습과는 달리,어떠한 사회적이고 사상적 배경이 한국의 가톨릭교회로 하여금 내세문제에 치중하면서 소극적인 태도로 세상을 바라보게 되었는지 천착해 보기로 한다. 물론, 이 시기에도 주류 교회의 태도와 달리 사회문제에 적극적인 자세를 보여준 이들이나 단체들도 있었다. 같은 시기에활동하였으면서도 이들이 전혀 다른 모습을 갖게 된 원인도 함께 고찰한다.
    다음으로는, 제2차 바티칸공의회 이후 확연히 달라진 한국 가톨릭의 모습에 대하여 살펴본다.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한국 가톨릭교회는 김수환 추기경이라는 인물로 대표되던 시기였다. 김추기경은1968년부터 1998년까지 꼭 30년 동안 서울대교구장을 역임하면서 명실 공히 한국 가톨릭을 대표하고 이끌어간 인물이다. 그와 더불어 동시대 한국 가톨릭 성직자로서 최초의 가두시위를 벌였던 지학순 주교,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 등의 활동에 초점을 맞추어‘사회정의’를 키워드로 접근한다.
    마지막으로는, 현재와 미래의 가톨릭교회에 대하여 전망하고자 한다.‘ 고도의 과학기술 시대에 걸맞은 고도의 감성과 영성’[High Tech,High Touch]을 현대 사회의 요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합하는 인간과 세상의 의미 찾기라는 맥락에서‘사회영성’(Social Spirituality)을 제대로 계발할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은 것이 사실이다. 이와 같은 연구는 결국 가톨릭교회가 한국사회에 새긴발자취를 사회적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따라가는 작업이다. 이러한 연구를 시도하는 배경에는 우선 가톨릭교회가 이제 진정한 한국인의 종교로 자리 매김하고, 한국 사회 속에서 상호 존중과 이해를 기반으로삼아, 올바른 대 사회 관계를 설정하는데 기여하기를 바라는 의미를담고 있다.

    영어초록

    It is a recent concern that the Catholic church of Korea has turned seriously from the orientation of that world to the real life of people. The Catholic church began to be interested in the concrete human life by this preferential option of‘ social evangelization.’The church has got that kind of perception newly, i. e., the church as a serving community for concrete salvation of human being. Along with the trace of the Catholic church in Korean society,this research is carried out with four periods.
    The first period corresponds the entrance of Catholic church into Korea.
    From the very beginning, social reformation movement characterized the Catholic church by a group of aristocrats who were alienated from power and by common people who had been awakened. The clash between two different classes was inevitable, namely between conservative elite group who wanted to keep their power and people who want to reform the old social order. This is the main reason why the early history of the Catholic church was soaked with blood.
    The second period covers from the illegal entry of French missionaries to the Second Vatican Council. In this era, the ecclesial activity was centered to the otherworldly salvation. It is tried to dig out what kind of background made the Catholic church concentrate her mind on the otherworldly affairs and have passive attitude about this world. Such changed attitude is quite opposite to the features of the early church. But there were a few exceptions that have shown active position on social problems contrary to the main stream.
    The third period comes under the time between the Second Vatican Council and the retirement of Stephen Cardinal Kim as diocesan bishop of Archdiocese Seoul. The Catholic church is transformed radically in this period. Cardinal Kim represented and lead the church of this period. At the same time, bishop Daniel Tji protested against the corrupted regime on the street for the first time as a high level cleric. The Priests’Corps for the Realization of Justice was organized after the arrest and detention of bishop Tji. Social justice is the key word of this period.
    At l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of the Catholic church is put into perspective. “High tech, high touch”is an earnest needs of contemporary people. In this context of highly developed technology and highly demanded spirituality, ortho-practical improvement of ‘social spirituality’meets the demands of the times. That is also the aim of this research to find out the path of the Catholic church as a genuine religion for Korean people, and establish a harmonious relationship with Korean society based on mutual respect and understand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