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잔티움 회화의 하데스(Hades): 그리스도의 발아래 짓밟히는 하데스 도상과 그 의미 (Hades of Byzantine Art: Iconological Study on Hades Trampled by Christ)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22.09
32P 미리보기
비잔티움 회화의 하데스(Hades): 그리스도의 발아래 짓밟히는 하데스 도상과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양중세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양중세사연구 / 50호 / 1 ~ 32페이지
    · 저자명 : 조수정

    초록

    본 연구는 비잔티움의 <아나스타시스>를 중심으로 그리스 신화의 하데스가 그리스도교 도상의 구성요소로 자리를 잡게 되는 과정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하데스가 그려진 <아나스타시스>는 그리스도교 신학이 반영된 상징적이고 추상적인 도상이다. <예수의 탄생>이나 <예수의 세례>처럼 그리스도의 생애에 해당하는 일련의 사건 중 하나가 아니라 인류 구원사업 전체의 윤곽을 드러내고 그 의의를 설명하기 때문이다.
    <아나스타시스>를 구성하는 모든 시각적 요소들은 그리스도의 십자가상 죽음으로 가능했던 ‘인류구원’과 ‘대속(代贖)’이라는 의미를 드러내기 위해 모여진 상징들이다. 하데스는 비잔티움 신학의 강조점에 따라 도상의 변화를 보이기도 하였다. 초기에는 선조들이 갇혀있는 죽음의 세계의 상징으로서 아담의 발밑에 그려졌으나, 마케도니아 왕조 시기에는 그리스도의 죽음과 인류의 구원을 강조하기 위해 그리스도의 발아래 짓밟히는 표현방식을 따랐다. 헬레니즘의 전통을 간직한 하데스는, 외경, 전례서, 부활 강론 등의 영향으로 비잔티움의 <아나스타시스> 도상에 접목되어, 죄의 결과인 죽음과 저승의 세력을 상징하게 되었다. ‘짓밟힌 하데스’는 <아나스타시스> 도상의 부가적 요소이면서도,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의 최종목적과 의미, 즉 아담과 하와로 상징되는 인류의 구원, 그리고 구원자인 그리스도의 승리라는 주제를 드러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centered on Byzantine <Anastasis>, examined how Hades of Greek mythology was established as a component of the Christian art, and tried to reveal its meaning. <Anastasis> with Hades, is a symbolic and abstract image reflecting Christian theology. This is because it is not one of a series of events that correspond to the life of Christ like <The Birth of Jesus> or <The Baptism of Jesus>, but outlines the entire work of Salvation for mankind and explains its significance.
    All the visual elements that compose <Anastasis> are symbols gathered to reveal the meaning of ‘the Salvation of mankind’ and ‘Atonement’ that was possible through Christ’s Death on the Cross. Hades also showed a change in iconography according to the emphasis of Byzantine theology. In the early days, it was painted at Adam's feet as a symbol of the world of the dead, in which the ancestors were imprisoned. However, during the Macedonian dynasty, it was portrayed as being trampled under the feet of Christ to emphasize the death of Christ and the Salvation of mankind. Hades, retaining the tradition of Hellenism, was drawn in Byzantine <Anastasis> under the influence of the Apocrypha, liturgical books, and sermons on the Resurrection, and came to symbolize death as a result of sin and the power of the underworld. 'Hades trampled' is an additional element of <Anastasis>, but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vealing the final purpose and meaning of Christ's Death and Resurrection, that is, the Salvation of mankind, symbolized by Adam and Eve, and the victory of Christ as the Savio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양중세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