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민속연희 <발탈(足탈)>의 총체예술성에 대한 논의 (A Study on the Total Art's Character of , Folk Puppet play)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08.02
30P 미리보기
민속연희 &lt;발탈(足탈)&gt;의 총체예술성에 대한 논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연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공연문화연구 / 16호 / 33 ~ 62페이지
    · 저자명 : 김수남

    초록

    1980년대부터 한국 공연예술계에서도 총체예술의 용어에 대한 개념 정의와 총체예술로 소개된 토탈아트(총체예술)가 종합예술과는 어떻게 다른가 하는 논쟁이 시작되었다. 이후 총체예술을 표방하는 공연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고 오늘날 다양한 총체예술을 지향하는 퍼포먼스들이 일반 공연장보다 축제의 장에서 공연자와 관객의 혼연일체를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성격의 공연 특성은 정통적인 공연양식에서 벗어나기 위한 대안으로서 전통적인 민속연희의 공연양식을 현대화하는 과정에서 시도되었다. <발탈>은 가면극과 인형극의 종합적인 연희의 양식을 지니고 있는 전통연희로 본 연구는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지 않은 <발탈>의 공연양식을 총체예술의 관점에서 서구의 총체예술론을 적용시켜 고찰하였다. <발탈>의 연희를 총체예술로서 읽어 내는 과정에서 타데우즈 코브잔 Tadeusz Kowzan의 “연극의 기호 The Sign in the Theatre”에서 발췌한 연극구조 도표의 공연논리와 아리스토텔레스의 ‘모방의 매재’인 세 가지 요소, 시문(언어), 율동, 해음(가락)의 총체예술론적 종합방식을 <발탈> 연희의 분석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언어와 율동, 가락은 배우기술이요 삼현육각의 연주와 무대 장식은 무대기술로 해석하였다. 동시에 대본과 삼현육각의 연주와 다양한 소리는 언어와 가락으로 청각기호이요 배우의 육체적 표현인 동작과 탈 등 어릿광대의 배우장식과 무대장식은 시각기호로 분류하였다. 배우기술과 무대기술이 총체적으로 만나는 ‘언어 + 율동 + 가락’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주장하는 바, 비극으로 본 논문에서는 연희를 말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처럼 연희의 각 요소가 연희가 진행되는 동안 적절히 삽입되어 극적인 최대 효과를 완성하기 위해 종합되어지는 것이 총체예술이 추구하는 목적이다. 따라서 적절히 삽입하는 방법을 어떻게 구상할 것인가의 창조적 작업이 총체예술성의 논의 대상이 된다.김수남*攀 * 청주대 공연영상학부 교수攀攀<발탈>의 총체예술론적 고찰은 세 가지 관점에서 정리된다. 첫째, 드라마터지의 특별한 구조에 대한 분석이론적 논의 둘째, 연희의 각 요소(언어, 율동, 가락)가 극적인 최대 효과를 완성하기 위해 적절히 삽입되는 총체예술론적 분석이론의 고찰 셋째, 연희자와 악사 그리고 관객과의 극적인 일체감을 추구하는 연희형식의 분석이론이다.

    영어초록

    In the world of Korean performance they have discussed the problems of adoption of Total Art from 1980's. And they actually have tried to make new style performance from to mordenize of traditional play's form. The masked play and the puppet play were known to us famous Korean traditional plays. But there is different style puppet play which is called <Baltal>(in the term "Bal" meaning "foot" and "Tal" meaning "mask").It is not known to Korea until 1976. But on July 1979 Sunam Kim restored <Baltal> and performed at the Space Theatre in Seoul Korea. The <Baltal> is unique form of puppetry in the world. The <Baltal> is performed by one operator of puppet "Baltalkkun" and a performer, clown(called Eoritgwangdae) and six musicians of Samhyeonyugkag such as a Daegum(flute), two Piri(pipe), a Haegum(string), a Bug(drum), a Janggu(double drum). The Baltalkun operator his foot covered with mask(man's face) on the neck of the puppet's body(torso) and two arms of the puppet and at the same time he sings various folk songs, the part of Pansori, ritual song and final song etc. With dialogue and dance and exchanges the snappy repertory With the clown. He also engages in the snappy repertory Baltalkkun and tries to address to the musicians or audience. They co-exist in the same area, frontside of puppet's stage. The Baltalkkun performs behind the curtains made by four erected pillars and the puppet stands before the curtains.This thesis will study on the the style of perform and stage of the<Baltal> by the view of total art. In the thesis I analysis a new style of dramaturgy and performance form and the triangle relations with performer and musicians and audi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연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