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비에로의 발돋움 ― 가나안 신자를 위한 영성수련 (Spiritual Outreach for Mystery: Spiritual Practice for Canaan Believer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24.04
27P 미리보기
신비에로의 발돋움 ― 가나안 신자를 위한 영성수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132호 / 173 ~ 199페이지
    · 저자명 : 이주형

    초록

    최근 가나안 신자의 뚜렷한 증가 현상은 한국교회의 목회와 영적 돌봄 사역에 근본적인 도전과 변화를 요구한다. 본 연구는 가나안 신자 현상을 영적 소외와 파편화 현상으로 이해하고, 경직되고 화석화된 신앙생활에 생명력을 불어넣기 위한 영적 돌봄 사역 모델의 이론적 체계를 구축하고자 시도한다. 기독교진리의 본래적 요소인 신비 혹은 신비로서 기독교 신앙을 체득하도록 안내할때, 가나안 신자들의 영적 필요와 갈망에 부응하는 영적 돌봄 사역을 제공할수 있다고 주장한다. 소고는 이를 위해 가나안 신자의 영성형성과 수련을 위한이론적 토대 구축을 시도한다. 첫째, ‘교회 내 가나안 신자’들에 주목하며, 그들의 종교적 가장(假裝, disguise) 현상과 영적 상황을 문화인류학적 기술을 통해파악하고 영적 갈망을 분석한다. 둘째, 가나안 신자들의 영적 갈망에 부응할수 있는 기독교 영성전통으로 무념적 영성을 탐색한다. 6세기 기독교 신비신학을 체계화한 위-디오니시우스(Psudo-Dionysius)의 무념적 영성 안에 내재된신비의 가치를 영적 경험과 성장의 대상으로 소개하여 영적 생명력을 회복할수 있는 가나안 신자를 위한 기독교 영성형성으로 소개한다. 셋째, 무념적 영성전통을 현대적으로 재구성한 기도수련인 향심기도를 실천한 가나안 신자의영적 여정을 기술하여 분석한다. 이를 통해 가나안 신자가 기독교 영성수련을통해 영적 생명력을 회복하고 교회 공동체로 돌아와 건강한 신앙생활을 이어갈지속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한국교회의 영적 돌봄 대상으로서 인식된가나안 신자들의 영적 갈망에 부응하는 무념적 영성을 통해 영성형성의 기틀을제공하고, 향심기도를 통해 영적 체험으로 안내하는 기독교 영성학 연구를지향한다. 이를 통해 기독교 내 목회와 영적 돌봄 사역으로부터 소외되어, 영적파편화와 분리 속에 있는 가나안 신자들이 영적 생명력을 회복할 수 있는 기독교 영성형성의 토대를 제시하여 한국교회의 영적 돌봄 사역의 역량을 향상시키는학문적 담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recent phenomenon of a distinct increase of Canaan Believers calls for fundamental challenges and changes in the pastoral and spiri tual care ministries within the Korean church.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Canaan Believer phenomenon as spiritual alienation and fragmentation, and to build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 spiritual care ministry model to revitalize a rigid and fossilized faith life. It ar gues that spiritual care ministries should respond properly to the spiri tual needs and longings of Canaan believers, when they are guided to experience the Christian faith as a mystery, an intrinsic element of Christian truth. To this end, this study attempts to build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spiritual formation and practice of Canaan Believers.
    First, it focuses on 'Canaans in the church' and analyzes their religious disguise and spiritual situation through cultural anthropological description to understand their spiritual longings. Second, it explores the Christian spiritual tradition of apophatic spirituality as a possible response to the spiritual longings of Canaans. It introduces the value of mystery inherent in the spirituality of Psudo-Dionysius, who systematized Christian mystical theology in the 6th century, as a Christian spiritual formation for Canaan believers that can restore spiritual vitality by introducing it as an object of spiritual experience and growth. Third, it describes and analyzes the spiritual journey of a Canaans who prac- ticed the Centering Prayer, a modern reconstruction of the tradition of apophatic spirituality. In doing so, it suggests a sustainable way for Canaans to restore their spiritual vitality through Christian spiritual practices and return to the church community to continue their holistic faith formation.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framework for spiritual formation through apophatic spirituality that responds to the spiritual longings of Canaan believers who are recognized as spiritual care objects of the Korean church, and guides them to spiritual experiences through Centering Prayer. In doing so, it pursues to provide a foundation for Christian spiritual formation that can restore the spiritual vitality of Canaan believers who are marginalized from Christian pastoral and spiritual care ministries and are in the midst of spiritual fragmentation and separation, and to present an academic discourse that enhances the capacity of the Korean church's spiritual care minis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기독교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