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포스트 발전국가론과 여성주의적 개입 (A Feminist Intervention into the Post-developmental State Theory)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11.03
38P 미리보기
포스트 발전국가론과 여성주의적 개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여성학 / 27권 / 1호 / 117 ~ 154페이지
    · 저자명 : 허성우

    초록

    이 글은 최근 무한 경쟁과 경제성장을 추구하는 이명박 정부의 발전주의 헤게모니가 여성적인 몸을 ‘새로운 전쟁터’로 만들고 있는 현실에 주목하며 여성주의에게 국가란 무엇인가, 특히 발전주의적 국가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으로부터 출발한다. 이명박 정부의 발전주의 정책이 여성의 몸과 섹슈얼리티를 경제 발전이라는 목적을 위해 억압하며 도구화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이 논문은 현재 한국 국가의 성격을 설명하는 ‘포스트 발전국가론’이 여성주의 관점을 누락하고 있다는 점을 비판하고 이를 포함하기 위한 이론적 개입 지점들을 밝힘으로써 그것의 여성주의적 재전유를 시도한다. 이를 위해, 첫째 ‘발전국가론’과 이에 대한 비판과 재구성으로서의 ‘포스트 발전국가론’의 등장과 전개과정을 살펴본다. 둘째, 포스트 발전국가론의 주요 논자인 사회학자 조희연의 텍스트들을 근거로 하여 이에 대한 여성주의적 비판과 개입지점들을 분석한다. 조희연의 논의에 등장하는 ‘국가-시민사회’ 프레임은 다분히 서구중심적, 남성중심적이며 계급중심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포스트 발전주의 국가의 동원체계와 헤게모니의 구성/균열과정에서 전반적으로 젠더-섹슈얼리티 권력관계를 누락·단순화하고 있다는 점을 비판한다. 이런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서는 이 글은 포스트 발전국가론이 국가의 시민사회의 내장성(embeddedness)테제, 포스트 발전국가 헤게모니의 젠더화된 전지구적 성격, 그리고 발전주의 국가 헤게모니의 가부장성이라는 세 가지 이론적 지점들을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포스트 발전국가 헤게모니에 대한 여성주의 연구는 현재 신자유주의적 발전주의 정책에 비판적이지만 이것을 넘어서는 대안을 내놓지 못하는 여성주의 진영의 ‘전략적 딜레마’를 풀어낼 수 있는 여러 가지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실천적 함의를 찾는다.

    영어초록

    The paper begins with the questioning of what the state, in particualr, the hegemony of the post-developmental state, means to feminist theory and activism, facing "the new war" in where women's bodies and sexuality are controlled and oppressed in the name of achieving national economy growth and stronger global competitive edge. Social scientists seem to explain the distinctive feature of the state via post-developmental state theory. None the less, the theory tends to extensively overlook the specific aspect of gender- sexuality power relations. This paper argues the limit of the post-developmental state thoery to explore women's inclusion/exclusion from the developmental hegemony and puts forward the new theoretical agendas to re-appropriate and reconstruct the theory in feminist perspectives. It firstly depicts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al state theory and the post-developmental state theory as a critique of the developmental state theory. Then it brings out the critical feminist points of the post-developmental state theory. Finally, it creates the three theoretical elements for reconstructing the gendered theory; the theme of the embeddedeness of the state in society, the gendered nature of globalization impacted the post-developmental state and patriarchal nature of the developmental state hegemony. This femninist approach to the post developmental state may contain a potential to open up a new space dealing with a strategic dilemma that S. Korean feminists are fac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여성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