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文章指南跋」의 작자와 주제의식 (The research of Munjangjinam(文章指南) Author and Subject consciousness)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16.12
20P 미리보기
「文章指南跋」의 작자와 주제의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 / 90권 / 45 ~ 64페이지
    · 저자명 : 강동석

    초록

    이 글은 「文章指南跋」의 작자와 작품의 내용, 주제의식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어 작성된 것이다.
    「문장지남발」은 柳夢寅의 문집 『於于集』 권6과 金宇顒의 문집 『東岡集』 권16에 각각 실려 있다. 두 글을 대조해 보면 글자의 차이가 다소 있으나 내용이 통하거나 특별히 없어도 되는 정도이다. 그러나 세 부분, 즉 ‘星雨’, ‘胡廣失其姓’, ‘漢儒述禮記’ 등을 봤을 때 유몽인의 글이다. 또 ‘適因流徙西湖, 與崔上舍有淵爲隣竝.’라고 했으니 『문장지남』의 편찬자가 崔有淵임을 알 수 있다. 그의 생년은 1587년으로 밝혀져 있고, 유몽인이 1608년에 西湖로 퇴거했으며 당시 옆집에 살던 최유연에게 이 책을 받아 봤기 때문에 1603년에 생을 마친 김우옹과는 무관함을 알 수 있다. 어떻게 해서 김우옹의 문집에 유입되어 전해지고 있는지 알 수는 없지만 「문장지남발」은 유몽인의 글이다.
    「문장지남발」은 유몽인의 사상과 주제의식이 또렷하게 담겨있는 글이다. 그는 노자와 불가의 허무함을 지적하는가 하면 장자의 허탄함 또한 약점으로 지적하고 있다. 사상뿐 아니라 문장에 있어서도 사마상여를 비롯하여 사마천, 한유, 소동파에 이르기까지 당대 내로라하는 명문장가임에도 묘처를 깨닫지 못한 폐단을 지니고 있음을 언급하였다. 결국 「문장지남발」은 孔孟의 유가사상을 천발함과 동시에 박학보다는 一家만을 전공하여 오묘한 곳을 터득하거나, 다른 서적의 중요한 글만을 선하여 봐야 한다는 문학론이 담겨 있는 글이다. 이러한 문학론과 선집 경향은 그의 選集 『大家文會』에서도 또렷하게 드러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written with the aim of revealing the author of the Munjangjinam(文章指南), the content of the work, and the subject consciousness.
    Munjangjinambal is a collection of Yumongin's poetry and a collection of Kim Wooong's poems. In contras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s, but the content is either inbuilt or specifically absent. But the three parts, ‘Starry(星雨)’, ‘Hokwang losed Family name(胡廣失其姓)’, ‘Chinese Confucians are anticipating(漢儒述禮記)’, etc are the writings of the Yumongin. And when he went to exile in the West Lake, he became a neighbor and Choi was able to understand the repetition of the sentence. His birth year is known as 1587, and the Yumongin moved to the West Lake in 1608. Since then, he received this book from Choi yuyeon who lived next door. It is not possible to know how it is transmitted to Kim Woong's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Munjangjinambal sentence is the article of the Yumongin.
    Munjangjinambal is a well-known text of Yumongin's thought and subject consciousness. He points out the vanity of the Noza(老子) and Buddhism(佛家) and the weakness of the Jamgja(莊子) is also pointed out as weakness. He mentioned that not only the ideology but also the sentence, including the Samarcheon(司馬遷), Hanyu(韓愈), Sodongpa(蘇東坡). In the end, Munjangjinambal is an article containing the literary theory that the Confucian and Mencius ideology should start at the same time as learning Confucianism and Mencius, and at the same time, learn more than just knowing one expert and mastering a subtle place. This literary theory and selective tendency is clearly shown in his 『Taegamoonhwoi(大家文會)』.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