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반도체 공장과 게임기 시장 간 합선과 저류:1970-80년대 디지털 기술 순환의 이종사 (Short Circuits and Undercurrents between Semiconductor Factories and Video Game Copying Markets: A Heterodox History of the Circulations of Digital Technologies in the 70s-80s South Korea)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23.12
33P 미리보기
반도체 공장과 게임기 시장 간 합선과 저류:1970-80년대 디지털 기술 순환의 이종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과학기술학회
    · 수록지 정보 : 과학기술학연구 / 23권 / 3호 / 106 ~ 138페이지
    · 저자명 : 조동원

    초록

    이 글은 1970년대 한국 내 미국 공장에서 제조된 반도체 제품의 유출, 그리고 이를 핵심 부품으로 한 비디오 게임기의 저렴한 복제 간 긴밀한 연결을 추적하면서, 비공식적 반도체 유통에 따른 디지털 매체 기술의 초기 확산 과정을 조명한다. 이를 위해 당시 반도체 공장과 게임기 시장의 20여 증언자와 심층 면담하였고, 그 연결·유통·확산의 양상을 회로의 절연, 합선, 저류로 분석하면서, 초기 국내 디지털 기술의 도입을 기술 순환 과정으로 해명한다. 보세 공장으로서 한국 내부에 있으면서 역외적 성격을 띠었던 미국 반도체 공장, 국내 소비가 아닌 해외 수출만을 위해 수입된 원자재, 가공 중 손실을 대비한 원자재의 초과 수입량에서 남아돌아 유용된 잉여품, 보세이면서 흠이 나 불량품으로 판명돼 국내 시장으로 유출된 보세품, 유출된 불량품을 양품으로 재생해 복제품 제조에 활용하는 식의 이중적이고 이면적인 기술(물)의 유통과 순환이 이루어졌다. 공장과 시장에서 이러한 흐름을 통제하는 여러 절연 지점이 있었으나(공장 출입구, 수출검사소, 세관), 그것들이 역설적으로 지역적 비공식 회로로 단락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고, 각 단계마다 회로의 흐름을 차단하고 걸러내는 검사만이 아니라 불량을 재생하고 끊어진 흐름을 다시 잇는 검사도 있었다(반도체 불량 검사, 노동자 몸수색, 수출 기준 부합 검사, 그리고 유출 불량품의 재생 검사, 반도체 시제품을 복제 게임기에서 가동해 보기도 했던 실장 검사). 이러한 공식적 회로와 비공식 회로가 상호 결합하는 혼종적 형태도 나타났고, 한국과 대만 각각의 반도체 공장과 게임기 복제 사업이 상호 교차해 연결되는 초국적 기술 순환도 활발했다. 이와 같이 저류는 지구적 반도체 제조 공장과 지역의 게임기 복제 시장 간 합선으로서 제품 제조·유통 상의 하자, 무단 유출의 횡류, 완제품 수입을 대체한 무단 복제로 전개하였고, 게임기 복제 사업의 역공학으로 축적된 기술력이 다시 반도체 공장의 반도체 개발·제조 공정을 개선하는 데로 환류하기도 했다. 1970-80년대 첨단 기술이 도입되고 디지털 매체가 대중화하는 주요 방식이었던 이 저류의 디지털 기술 순환을 추적하는 이종사 연구는 오늘날 기술 산업·문화의 지배적 제도와 역사 이해가 자리 잡으면서 배제된, 우연적이면서도 불가결한 계기들을 발굴하고 대질하면서 역사적 현실의 입체적이고 다면적인 규명과 비판에 기여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sheds light on the early history of informal semiconductor circulation by tracing the close connection between the outflow of cutting-edge semiconductor products manufactured in U.S. factories in South Korea and the cheap copying of video game circuit-boards that used them as key components in the 1970s. Th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about two dozen witnesses from factories and markets, and used the concept of the circuit as an analytical framework to deconstruct the process of informal technology circulation in terms of insulations, short circuits, and undercurrents. There was a double-sided circulation of technology: the U.S. semiconductor factory in South Korea as an outsider in; raw materials imported not for consumption but for export only; surplus products that were left over from excess imports of raw materials to cover losses during processing; bonded goods that were found to be defective and leaked into the domestic market; and leaked defective products that were reclaimed as good products and used to manufacture game clones. So the insulating points that controlled the circulation of this technology (artifacts) in factories and markets paradoxically became points of short-circuiting into local informal circuits (factory gates, export inspection stations, customs), and at each step there were not only inspections that cut off and filtered the flow of the circuit, but also inspections that regenerated defects and reconnected the broken flow (semiconductor defect inspection, body searches of workers, inspection of compliance with export standards, inspection of reclamation of leaked defective products, mounting inspection of semiconductor prototypes into replica gaming machines), and hybrid forms of formal and informal circuits that combine with each other also emerged. Furthermore, transnational technology circulation was also active, with semiconductor factories and game machine copying businesses in South Korea and Taiwan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These undercurrents were a short circuit between the global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lants and the local game machine copying market, which developed into defects in product manufacturing and distribution, lateral flows of unauthorized outflows, and unauthorized replication that replaced imports of finished products, and a technological cycle in which semiconductor technological skills were transferred to the game machine replica business and back to semiconductor factories to improve their semiconductor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processes. This heterodox historical study tracing the undercurrents of digital technology circulation, which was also a specific historical process of the introduction of advanced technology and the popularization of digital media in the 1970s and 1980s, contributes to the multifaceted understanding of historical reality by unearthing and confronting the contingent but indispensable factors that have been excluded from the dominant system and historical understanding of the technology, industry and culture tod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과학기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