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율곡의 호발설(互發說) 비판에 대한 성호의 반비판 - 사상사적 함의에 주목하여 - (Sungho's Anti-Criticism about Yulgok's Criticism of Theory of Mutual Issuance)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20.02
27P 미리보기
율곡의 호발설(互發說) 비판에 대한 성호의 반비판 - 사상사적 함의에 주목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유학연구 / 50권 / 27 ~ 53페이지
    · 저자명 : 박다진

    초록

    사단칠정에 대한 이해방식에서 퇴계와 율곡이 보인 입장 차이는 후대의 논의로 계승되는 과정에서 ‘비판과 반비판의 길항’을 통해 중요한 쟁점을 끊임없이 환기하였다. 그 중심에는 퇴계의 호발설(互發說)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의 문제가 있었다. 율곡은 ‘리기지묘(理氣之妙)’를 전제로 혼륜(渾淪)의 관점을 강조하면서 퇴계의 호발설이 가진 논리적 문제점들을 강하게 비판하였다. 율곡의 호발설 비판에서 제기된 논의 방식들은 17세기 이후로 율곡학파가 퇴계학파의 사단칠정론을 논박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논거로 활용되었다. 이는 퇴계학파에서 호발설을 옹호하기 위해서는 율곡의 비판을 극복할 수 있는 논리를 확립하는 것이 선결 과제로 주어졌음을 의미한다. 퇴계학파의 입장에서 퇴계의 사단칠정론을 옹호했던 성호는 자신의 초기 저술인 『사칠신편(四七新編)』에서 율곡의 호발설 비판을 ‘반비판’ 하는 형식을 통해 퇴계의 호발설이 가진 논리적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성호는 사단과 칠정의 가치론적 대비 구도를 통해 그 선악적 의미의 강조하는 퇴계의 호발설을 발전적으로 계승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리의 주재성을 강조하는 ‘리발일도설(理發一途說)’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성호의 논의는 본래의 의도와는 달리 율곡이 설정한 ‘기발리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의 구도에서 벗어나지 못하였으며, 또 다른 새로운 쟁점들을 만들어 내는 것으로 귀결되었다. 성호의 『사칠신편』에서 드러난 여러 가지 한계점들은 성호학파 내부에서 사단칠정에 관한 새로운 논의를 새롭게 촉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퇴계의 철학을 반성적으로 재해석하고 사단칠정에 대한 논의를 다기화(多岐化)하는 중요한 계기적 조건이 되었다.

    영어초록

    The differences in the ways of understanding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between Toegye and Yulgok kept raising important issues through "contention between criticism and anti-criticism" in the transmission process of the discussions to the following generations. At the center was the question about how to understand Toegye's theory of mutual issuance (互發說). Yulgok criticized strongly the logical problems of his theory by emphasizing the perspective of integration on the premise of "marvel of Li-Qi (理氣之妙)." The ways of discussion that Yulgok presented in his criticism of Toegye's theory of mutual issuance were used as essential grounds for arguments since the 17th century as the Yulgok School refuted the Toegye School's theory of Four-Seven, which means that the Toegye School's first task in their advocacy for the theory of mutual issuance was to establish logic to overcome Yulgok's criticism. Advocating Toegye's theory of Four-Seven in the position of the Toegye School, Sungho tried to supplement the logical problems of Toegye's theory of mutual issuance in the form of "anti-criticism" for Yulgok's criticism of the theory in his early work Siqixinbian (『四七新編』). Sungho inherited developmentally Toegye's theory of mutual issuance, which puts an emphasis on the meanings of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in good and evil through their confronting composition in value, and proposed "Lifayitu theory (理發一途說)," which stresses the governance of Li, in the process. His discussions, however, ended up creating new issues while failing to escape from the magnetic field of Yulgok's "qifalichengyitu theory (氣發理乘一途說)" contrary to his original intention. Many different limitations in Sungho's Siqixinbian raised new discussions about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within the Sungho School and eventually became important instrumental conditions to reinterpret Toegye's philosophy in a reflective manner and diversify the discussions about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