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반공의 로컬과 동아시아 지역냉전 - 대만 반공르포 <여비간>과 남한 반공극 <여당원> (Regionality of Anti-Communism and the Cold War in East Asia : Taiwanese Anti-Communist Reportage ‘The Woman Thief(女匪幹)’and South Korean Anti-Communist Play ‘The Woman Communist(女黨員)’)

5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21.02
51P 미리보기
반공의 로컬과 동아시아 지역냉전 - 대만 반공르포 &lt;여비간&gt;과 남한 반공극 &lt;여당원&gt;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상허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허학보 / 61권 / 183 ~ 233페이지
    · 저자명 : 김옥란

    초록

    이 글은 대만 반공르포 <여비간>(1950)과 남한 반공극 <여당원>(1952)을 중심으로 반공극을 냉전기 심리전 텍스트로 다시 읽고자 하였다. 반공극 <여당원>은 1952년 한국전쟁 피난지 대구에서, 그리고 1961년 국립극장에서 두 차례 공연되었다. <여당원>은 대만 반공르포 <여비간>을 각색한 작품이다. <여비간>은 중국이 공산화되는 1949년 중국 본토를 배경으로, 젊고 똑똑한 여대생 공산당원 나읍분의 실화를 통해 공산당의 악행과 실상을 고발하고자 하는 르포르타주이다. 저자 성철오는 당시 중국혁명 공산당 지도자들을 전설적인 영웅으로 보도하고 있었던 범장강, 에드거 스노, 아그네스 스메들리의 책을 비판하며, 반공주의를 주장하기 위해 이 책을 썼다. 성철오의 <여비간>은 대만에서 크게 인기를 끌었으며, 국영 영화 <악몽초성>(만다린어, 1951), 대만 전통극 가자희 <여비간>(현지어, 1951), 대만 인형극 포대희 <여비간>(현지어, 1951) 등으로 만들어져 국민당 선전전에 적극 활용되었다. 그리고 이 작품은 남한의 냉전 검열기구인 문교부 의뢰에 의해 서항석 각색 공연으로 한국전쟁기 피난지에서 초연되었고, 1961년 재공연되었다. 1952년과 1961년은 각각 한국전쟁기와 5ㆍ16 군사 쿠데타 직후이다. 대만 반공 르포르타주, 가자희 공연, 반공극 공연 <여비간>과 <여당원>은 각각 다른 언어, 다른 매체, 다른 수용자층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 세 작품을 비교 분석하여 1949년 중국 공산화와 1950년 한국전쟁 시기 동아시아 지역냉전에서 활용된 심리전 텍스트들의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ttempted to re-read the anti-communist propaganda as a text of the Cold War psychological warfare, focusing on the anti-communist reportage ‘The Woman Thief(女匪幹)’(1950) in Taiwan and the anti-communist drama ‘The Woman Communist(女黨員)’(1952) in South Korea. The anti-communist drama ‘The Woman Communist’ was performed twice in Daegu, the refuge of the Korean War in 1952, and at the National Theater in 1961. ‘The Woman Communist’ is an adaptation of the Taiwanese anti-communist reportage ‘The Woman Thief’. This work is a reportage that attempts to accuse the evil actions of Communist Party and facts through the true story of a young and smart female college student, Luo Yifen(羅挹芬), in the background of China’s mainland in 1949 when the Soviet Revolution broke out in China. Author Cheng Tie-wu(成鐵吾) wrote this book to assert anti-communism, criticizing the books of Fan Chang-jiang(范長江), Edgar Snow, and Agnes Smedley, who reported that the leaders of the Communist Party of the Chinese Revolution were legendary heroes. Cheng Tie-wu’s ‘The Woman Thief’ was very popular in Taiwan, and this work was made into the national film ‘Wake up from a Nightmare(惡夢初醒)’(in Mandarin, 1951), Taiwan Gezai Opera ‘The Woman Thief’(in local language, 1951), and Taiwan glove puppet theater Potehi ‘The Woman Thief’(in local language, 1951). And it was aggressively exploited for the propaganda of the Nationalist Party in Taiwan. In addition, this work was premiered at the refugee site during the Korean War at the reques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 South Korean Cold War censorship organization, as an adaptation of Seo Hang-seok(徐恒錫), and re-performed in 1961. 1952 and 1961 were the period immediately after the Korean War and the 5.16 military coup. Taiwanese anti-communist reportage, Gezai Opera, and anti- communist drama ‘The Woman Thief’ and ‘The Woman Communist’ target different languages, different media, and different audiences. In this article, I compared and analyzed these three works to examine specific aspects of psychological warfare texts used in the Cold War in East Asia during the 1949 Chinese War and the 1950 Korean War.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허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