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韓國戰爭期 중국 동북 지역 학교의 반세균전 애국위생운동 (Anti-Bacterial Battle Patriotic Health Campaign in Northeast China during the Korean War at School)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3.06
37P 미리보기
韓國戰爭期 중국 동북 지역 학교의 반세균전 애국위생운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교육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역사교육 / 166호 / 45 ~ 81페이지
    · 저자명 : 이은주

    초록

    1952년 미국이 북한과 중국 동북지역에 세균에 감염된 독충을 살포하였다는 소식에서 시작된 반세균전 투쟁은 세균전에 대항하는 유효한 무기가 위생이라는 인식 하에 애국위생운동으로 이어졌다. 중국 정부의 주장과 달리 세균 살포로 인한 대규모 전염병이 발발하지 않았기에 이 운동에 대중을 동원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었다. 그래서 정부가 활용한 방법은 항일전쟁기 일본이 감행한 세균전으로 인해 전염병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하여 무수한 사람이 죽었던 기억을 소환하는 것이었다. 특히 동북민은 그 경험을 직접 겪은 당사자였기에, 그들의 목소리는 더 큰 울림을 낳을 수 있었다. 신문은 그들의 목소리를 지면에 실기 시작하였고, 이 목소리로 되살아난 과거의 끔찍했던 기억은 문자를 통해 재생산되었다.
    그리고 세균을 억제하는 과학적 방법이 위생이라는 주석과 총리의 호소가 전국 단위의 애국위생운동을 촉발시켰다. 이 운동에서 주요한 역할을 한 것이 바로 소년아동대였다. 소년아동대는 학교에서 선발된 소수의 모범 학생이었기에 또래 학생들 사이에서 선망의 대상이었다. 그리고 소년아동대는 隊-團-黨으로 이어지는 위계의 하위를 차지하고, 청년단이 조직적으로 관리하였다. 그래서 이들의 활동은 정치적 경향을 띨 수밖에 없었다. 대원들은 훈련일, 여름 훈련 캠프를 통해 위생 상식과 방역 운동을 학습하였고, 동학들을 선도하여 애국위생운동에 동참하였다. 이들은 학생들을 선도해 위생 방역을 선전하고, 독충 잡기 경쟁에 돌입하였다. 이렇게 정부는 소년아동대를 필두로 학교 안팎의 애국위생운동을 진행하였고, 대원들은 정부의 시책에 참여함으로써 청년단원이 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동학들 사이에서 위신을 높일 수 있었다.
    소년아동대의 활약만큼이나 중요했던 것이 학교의 역할이었다. 교사는 위생 상식을 가르칠 때, 이를 정치적 구호와 연결시켜 위생이 곧 미군을 격퇴하는 무기라는 인식을 학생들에게 심어주었다. 그리고 교내에 각종 위생(방역)조직을 만들어 이를 중심으로 교내 청결 운동, 개인위생 습관 검사 등을 진행하였다. 뿐만아니라 학교 밖의 애국위생운동에도 학생과 교직원이 참여하였다. 그들의 역할이 특히 강조되었던 부문은 선전과 전염병 매개체 잡기였다. 학생들은 거리에서, 마을 공터에서, 주민의 집에서 위생 상식을 선전하였고, 파리, 쥐, 구더기, 모기 등을 잡아 없애는 임무에 자신의 노동력을 제공하였다.

    영어초록

    The anti-bacterial battle, which began in 1952 with the news that the U.S. sprayed germ-infected poisonous insects in North Korea and northeastern China, led to the patriotic health campaign under the perception that hygiene was an effective weapon against bacterial warfare. Contrary to the Chinese government’s claim, it was not easy to mobilize the public to the campaign because there was no large-scale epidemic caused by bacterial spraying. Therefore, the method used by the government was to recall the memories of the outbreak of infectious diseases caused by the germ warfare carried out by Japan during the anti-Japanese war, resulting in the death of countless people died. In particular, since the Northeast people were the ones who experienced the experience firsthand, their voices resonated even more. Newspapers began to put their voices on the paper, and the terrible memories of the past revived by these voices were reproduced through text.
    And the chairman and the premier appeal that the scientific way to control germs is hygiene sparked a national patriotic health campaign. It was the Young Pioneers that played a major role in this campaign. The Young Pioneers were a few model students selected at school, so they were envied among their peers. In addition, the Young Pioneers occupied the bottom of the hierarchy leading to 團‒黨‒隊, and the Communist Youth League of China was systematically managed. Therefore, their activities were bound to take on a political trend. On the training day, the members learned hygiene common sense and quarantine movements through summer training camps, and led other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patriotic health campaign. They led the students to promote hygiene and quarantine and entered the competition to catch poisonous insects. In this way, the government carried out patriotic health campaign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led by the Young Pioneers, and the members were not only able to gain an opportunity to become members of the Communist Youth League of China by participating in the government’s policies, but also to increase their prestige among other students.
    It was the role of the school that was as important as the performance of the Young Pioneers. When teaching hygiene common sense, the teacher linked it to political slogans and instilled in students the perception that hygiene is a weapon against the U.S. military. In addition, various hygiene (quarantine) organizations were established on campus, and cleanliness exercises and personal hygiene habits tests were conducted around this. In addition, students and faculty members participated in the patriotic health campaign outside the school. The sectors where their roles were particularly emphasized were propaganda and catching infectious disease carriers. Students promoted hygiene common sense on the streets, in village open spaces, and in residents’ homes, and provided their own labor to catch and eliminate flies, mice, maggots, and mosquito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