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세기 후반 잉글랜드 국교도의 계시적 서사와 반가톨릭 담론 (Anglican Apocalyptic Narratives and Anti-Catholicism in Later Seventeenth-Century England)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8.12
35P 미리보기
17세기 후반 잉글랜드 국교도의 계시적 서사와 반가톨릭 담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영국연구 / 40호 / 35 ~ 69페이지
    · 저자명 : 박정규

    초록

    본 논문은 17세기 후반 잉글랜드 국교도의 반가톨릭 담론과 계시적 서사의 관계를 다룬다. 잉글랜드 프로테스탄트교회는 종교개혁 이후 전통적인 계시적 언어를 통해 가톨릭교회에 대한 적대적 태도를 드러내었다. 반가톨릭 정서는 17세기 후반에도 지속되어 국교도 저술가들의 반가톨릭 담론의 근간을 이루었다. 국교도들은 성서의 예언서에 등장하는 절대 악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가톨릭교회와 교황을 ‘적그리스도’와 동일시하고 가톨릭교회의 권위를 부정하려 했다.
    당시 반가톨릭 담론은 1660년 왕정복고 이후 정치적·종교적 상황의 변화와 함께 다양한 함의를 갖고 있었다. 국교도들은 가톨릭교회를 종교적 우상숭배와 미신, 정치적 압제와 박해의 개념과 연결 지어 가톨릭교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강조하는가 하면, 잉글랜드 국교회를 종교적 합리성과 진리의 종교로, 세속권력자를 정치적 자유와 평화를 지킬 신의 대리자로 서술하여 잉글랜드 프로테스탄트교회와 기존 정치질서의 권위를 정당화하려는 담론을 발전시켰다. 이러한 반가톨릭 담론은 단순히 상대 종교에 대한 심리적 혐오감의 수준을 넘어서 17세기 지적 담론에서 국교회의 종교적·정치적 기반을 지탱하는 핵심 사상이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surveys the use of apocalyptic language in Anglican anti-Catholic discourses in later seventeenth-century England. From the Reformation, the English Protestants expressed anti-Catholicism through conventional apocalyptic terms. The apocalyptic tradition of anti-popery continued to influence conformist attitudes toward Catholicism throughout the seventeenth century. Many Anglican polemicists employed apocalyptic terms like Antichrist to identify the Roman Catholic church with Satan and to deny her authority.
    Anti-Catholicism was adapted to the religious and political situations during the Restoration so that its implications were transformed. Conformist writers understood the Roman church through a series of binary oppositions, and all negative terms imputed to the Catholic church and pope revealed the positive characteristics of the Protestant church and civil magistrate. Popery, for them, brought idolatry and superstition into religion, and tyranny and persecution into politics. The conformist view of popery also associated Protestantism with rationality and truth, and the English monarchy with the agent of divine providence to protect the liberty and peace of England from the Antichristian enemy. Therefore, Anti-Catholicism was not an emotional prejudice but a fundamental idea which contributed to the justification of the Church of England and the English constitu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국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