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의 선사 및 고대 초기예술과 반구대암각화 (Early Art in the Prehistoric Age and Ancient Times in Korea and the Bangudae Petroglyphs)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2.12
47P 미리보기
한국의 선사 및 고대 초기예술과 반구대암각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경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경계 / 85호 / 1 ~ 47페이지
    · 저자명 : 전호태

    초록

    울산 대곡리 반구대암각화는 크게 4개의 작업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작업층은 화면 구성 방식과 표현 기법에서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전체적으로는 한국 선사 및 고대예술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대상의 특징을 간결하게 표현해내는 전통과 닿아 있다.
    반구대암각화는 신석기시대 후기부터 청동기시대 중기에 걸쳐 반구대 바위 절벽 일대를 신성한 제의의 공간으로 삼던 사람들에 의해 제작되었다. 각 작업층에 투사된 주술적 의도는 차이가 있지만 암각 작업이 주술적 효과를 가져 오리라는 믿음이 암각화 제작의 동기로 작용하였다는 점에서는 차이가 없다.
    반구대암각화 각 작업층의 제작집단은 태화강 중상류지역을 생활권으로 하였으며 수렵․채집을 기본 생계수단으로 삼던 사람들이었을 것이다. 신석기시대 후기 울산 태화강 중상류지역을 떠돌며 수렵․채집으로 생계를 이어가던 반구대암각화 제1작업층 제작집단은 태화강 상류의 지류인 대곡천의 계곡 안쪽으로 깊숙이 들어오면서 성스러운 제의의 공간으로 적합한 곳을 찾았다. 이들은 반구대 바위 절벽 일대에 성스럽고 강력한 주술적 힘이 어렸음을 보았고 이곳의 큰 바위에 처음으로 암각화를 새겼다.
    신석기시대 말기부터 청동기시대 초기 사이에 울산 태화강 중상류일대를 생활권으로 삼았던 반구대암각화 제2작업층 제작집단은 조직적인 수렵에 능했지만 집단의 규모를 유지하기 위해서도 사슴류의 수렵이 늘 순조롭도록 바위 절벽에 강력한 주술을 걸 필요가 있었다. 이들은 수렵 제의를 정기적으로 행하면서 반구대 바위 절벽에 새로운 암각화를 지속적으로 새겨 넣었다.
    반구대암각화 제3작업층 제작집단도 수렵․채집이 기본 생계수단이었지만 수렵의 주된 대상은 대형 해양동물이었다. 청동기시대 전기를 전후하여 울산 태화강 중하류지역에서 마을을 이루고 살던 이들은 해양어렵에 능했으며 생계 활동과정에 동해안에서 태화강, 대곡천으로 이어지는 수로를 적극 활용하였다. 샤먼이 주도하는 고래 제의 과정에 새겨진 고래 암각화는 제3작업층 제작집단의 자존감을 극대화 시켰다.
    반구대암각화 제4작업층 제작집단은 앞 시기의 작업층을 부분적으로 훼손하고 있으며 이전과는 다른 표현 기법을 사용한 것으로 보아 제3작업층 제작집단과 구별되는 존재였음이 확실하다. 청동기시대에 많이 쓰이던 깊은 선 새김과 갈아 넣기 기법에 매우 익숙한 것으로 볼 때 제4작업층 제작집단도 청동기시대 전기에서 중기 사이의 한 시기에 태화강 중상류지역을 생활권으로 삼던 사람들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e Bangudae petroglyphs at Daegok-ri of Ulsan Metropolitan City are composed largely of four working layers. Each layer adopted different techniques in pictorial composition and representation. As a whole, however, the petroglyphs show the simple representation tradition in expressing the traits of objects that is discovered commonly in art of the Prehistoric Age and Ancient Times in Korea.
    The Bangudae petroglyph is seen to be produced in between the late Neolithic and Bronze Era, and by the group of people who used the Bangudae rock cliff area as the place of holy rituals. Although the shamanistic intention on each working layer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common motive of production must have been their belief that rock carving should bring shamanistic effects.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production group of each layer selected a tributary of the Taehwa River as a life zone and had hunting and gathering as basic means of living. The production group of the first working layer of the petroglyphs that lived with hunting and gathering, wandered around the middle and upper stream of the Taehwa river in Ulsan in the late Neolithic era and found a divine place appropriate for ritual activities as they came into the deep valley of Daegok stream which was the branch stream of the upstream of Taehwa river. They engraved petroglyphs for the first time on the large rock feeling divine and powerful ritual power around the rock cliff of Bangudae. The production group of the first working layer represented animals in figures with outline engraving as they believed to have controlling power over the animals.
    The production group of the second working layer of the Bangudae petroglyphs was bigger and more organized than the production group of the first working layer, and almost accepted the religious concepts and ritual behaviors of them about the Bangudae cliff and the surrounding region. They were skillful in organized hunting as they lived around the middle and upper streams of the Taehwa River in Ulsan in the late Neolithic era and the early Bronze Age. They conducted the ritual ceremony for hunting with periodic and constant engraving of new objects on the rock cliff at Bangudae.
    The production group of the third working layer of the Bangudae petroglyphs also had hunting and gathering as basic means of living but the targets were usually large sea animals. They were good at fishing as they lived in a village in the middle and under stream of the Taehwa river in Ulsan since the late Neolithic era through the early Bronze Age and actively used the waterway from the east coast to the Taehwa river and Daegok stream.
    The producers for the fourth working layer were surely different from those for the third working layer as they partially damaged the objects that were engraved in the former period and made use of different representation techniques. Using deep outline engraving with grinding and not putting symbolic patterns which are seen in the Bronze Age, the members of the production group of the fourth working layer were people who were unfamiliar with expressing concepts related to agriculture and ranching.
    The production group of the third working layer that was occupied with fishing and the production group of the fourth working layer that was occupied with hunting and gathering are seen to be absorbed into the production group of the geometrical rock drawing petroglyphs at Cheonjeon-ri. Judging from the unearthed remains from villages in the Bronze Age in Ulsan, it is concluded that when the Middle Bronze Age came with the emergence and growth of a new social group with a priority on agriculture and ranching, the groups for hunting and gathering in the upper and middle areas of Taehwa River as main means of living seemingly disappeared consecutively. This must be the reason why the Bangudae petroglyphs were no longer produc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경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