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반구대 암각화 편년에 대한 비판적 검토 (A Critical Review of the Chronology of the Bangudae Petroglyphs in Korea)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2.08
28P 미리보기
반구대 암각화 편년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상고사학보 / 117권 / 117호 / 5 ~ 32페이지
    · 저자명 : 강봉원

    초록

    본고는 반구대 암각화 제작 시기가 ‘청동기시대~초기철기시대’(BC 300-100 AD)라는 기존 편년을 비판하고 ‘신석기시대’(대략 BC 4000-BC 3000)에 조성되었을 것이라는 견해를 제시한 것이다. 1980년에 도출된 반구대 암각화의 편년 안은 학계에서 대세를 이루고 있으며 적지 않은 연구자들에 의해 여전히 지지를 받고 있다. 특히, 이 편년은 현금 고등학교 각종 국사 교과서에 실려 있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다. 그간 이 암각화가 ‘신석기시대’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여러 가지 물증이 출토되었고 이를 토대로 다수의 연구자들이 기존 편년을 수정해야 한다는 주장을 해 오고 있다.
    본고에서 반구대 암각화의 편년사를 일별하고 문제점을 검토하여 새로운 편년을 수립함에 있어 필요한 몇 가지 변수와 고고학적 맥락에 초점을 맞추었다. 첫째, 반구대 암각화에 새겨진 물상 판독과 그에 따른 고고학적 해석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둘째, 새 편년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필요한 고고학적 맥락과 관련하여 반구대 암각화가 위치하고 있는 울산과 우리나라 동/남 해안지역에서 출토된 각 종 자연 및 인공 유물(예: 고래 뼈, 고래사냥 도구, 배와 노, 흑요석) 등을 고고학적 맥락에서 검토하였다. 나아가 신석기 및 청동기시대 생업경제와 관련하여 각 시대의 패총 빈도수를 비교하여 보고 유물로써 수렵⋅어로 및 농경 관련 석재 도구 등 실증적인 자료를 토대로 반구대 암각화는 최초로 신석기시대에 제작되었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reexamine the chronology of the Bangudae petroglyphs established in 1980 and generate a new chronology. This paper argued that the chronology of the rock art should be dated to the ‘Neolithic.’ According to the old chronology of the Bangudae rock art formulated in 1980, the date ranges between the Korean Bronze and Early Iron Ages (BC 300-100 AD). This chronology is still playing a critical role in Korean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societies and supported by a number of rock art researchers.
    In particular, since the Korean National History text books are adopting the old chronology, almost all the Korean students have been significantly influenced by it. In the mean time, various material evidence discovered at different archaeological sites suggests that the rock art may have been engraved much earlier than ‘the Bronze and Early Iron Ages.’ Based on newly collected materials, many researchers have been arguing that the rock art may have been manufactured during the Korean Neolithic (ca. 4000-3000 BC).
    This paper pointed out some problems that the old chronology has and focused on a few variables and archaeological context necessary to formulate a new chronology of the Bangudae petroglyphs. This paper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interpretation and appropriate archaeological explanation of the motifs in which we are interested. To testify the new date of the rock art, ecofact and artifacts such as whale bone, whaling gears, oceangoing vessels and oars, obsidian discovered in Ulsan and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were examined in conjunction with archaeological context. This paper focused on the subsistence patterns and frequency of shell midden of both the Neolithic and Bronze Ages, hunting-fishing and stone tools related to agricultural practi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상고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