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친영과 반친영의 문화적 含意 (Cultural implicative meaning of Chinyeong and Ban-Chinyeo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1.11
38P 미리보기
친영과 반친영의 문화적 含意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민속학 / 37호 / 103 ~ 140페이지
    · 저자명 : 송민선

    초록

    조선 건국 초 주자의 『가례(家禮)』가 도입된 이후 ‘혼례(昏禮)’의 절차적 수용을 둘러싸고 사대부들간 지난한 논의가 지속되어 왔다. 제반 논의대상 중 ‘혼례’ 친영의 행례가 가장 치열하였다. ‘친영’은 사대부들에 의해 확대 재생산되면서 대표적인 의례서에 수록되었다. 그러나 여러 상황으로 인해 민간에서의 행례가 어려워지자 사대부들은 적어도 ‘외설스러운’ 혼속을 가졌다는 비난만은 면할 행례를 도출하고자 ‘반친영’을 도입하게 된다.
    그간 선진 연구는 친영을 하지 않고 반친영을 했다는 주장과, 친영을 변형한 반친영과 ‘가관친영’의 시도가 있었을 뿐 고유 혼례가 끈질기게 존속했다는 주장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친영과 반친영은 여전히 모호한 개념이 혼재하며 행례의 절차와 주도적 집행자, 그리고 행례 장소의 중요성 등이 충분히 검토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 글은 이러한 한계에 관심을 두고 친영과 반친영의 구성요소와 행례 절차를 파악하여 전반적 이해를 도모하고, 행례 장소를 중심으로 행례 절차와 시기 간의 상관관계를 통해 행례적 특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위의 분석과정을 기반으로 ‘남귀여가’ 행례와 상호 비교 고찰하여 친영과 반친영의 진정성을 살펴보고, 혼인 의례의 변천과정을 통해 친영과 반친영의 문화적 의미를 파악해 보았다.
    친영과 반친영의 공통점은 명일 현구고례를 치룬다는 점이고, 반친영과 남귀여가의 공통점은 신붓집에서의 본례 행례이다. 따라서 반친영은 친영과 현구고례 일정을, 남귀여가와 본례 장소를 공유하고 있다.
    남귀여가는 조선총독부가 제정한 『의례준칙』과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실시한 『한국인의 일생의례』에서도 잔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초행과 초야는 대개 신붓집에서 치러졌으며 신부가 신랑집으로 들어가는 신행은 당일신행, 3일신행, 달묵이, 해묵이 등 다양하였다. 재행은 신행 후 3일만에 치러져 3일 도배기 등으로 불리었다. 이와 같이 혼례에 있어 속례는 조선 시기부터 현장조사 자료까지 유지되고 있는 속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Since the introduction of Family Rites of Zhu Xi (Juja-Garye, 朱子家禮)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 fierce discussion concerning the procedural acceptance of Honrye (Marriage Ceremony) was emerged continuingly amongst Sadaebu (Noblemen, 士大夫). Particularly, the procession of Chinyeong in Honrye was the most fierce argument among the subject of debate. As Chinyeong was extensively accepted by Sadaebu, it was inscribed on the representative publication of Rites of Passage. However, a number of circumstances were emerged that make the procession difficult in the midst of common people, Sadaebu instituted Ban-Chinyeong to evade the criticism of Korean traditional marriage ceremony recognised obscenely by Chinese hierarchy.
    Previously, a couple of researches were carried out that only Ban-Chinyeong was conducted in Joseon Dynasty, while traditional marriage ceremony was continuingly subsisted in spite of attempts of Ban-Chinyeong that is the modification of Chinyeong, and Gaguan-Chinyeong. Nevertheless, the cardinal notion of Chinyeong and Ban-Chinyeong was still ambiguous; and the procedure, the leading executor, and the importance of procession space of Honrye were not examined thoroughly.
    Concerning the limitation of previous researches depicted above, this article will promote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constituent and procedure in Chinyeong and Ban-Chinyeong, and will demonstrate the features of procession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ime and procedure of procession in priority of the space. Moreover, on the basis of this analytic process, the authenticity of Chinyeong and Ban-Chinyeong will be examined by the mutual comparison with the procession of ‘Namgui-Yeoga (男歸女家)’.
    The similarity of Chinyeong and Ban-Chinyeong is to conduct Hyeongugorye (greeting parents-in-law) in the next day, and the similarity of Ban-Chinyeong and Namgui-Yeoga is to conduct the procession in the house of bride. Therefore, Chinyeong is sharing the time of Hyeongugorye with Ban-Chinyeong, while Namgui-Yeoga is sharing the space of procession with Ban-Chinyeong.
    The existence of Namgui-Yeoga can be found in 『Regulation of Ritual Rites(儀禮準則)』 enac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Joseon Chongdokbu), and in the research of 『Korean Rites of Passage』 conducted by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Chohaeng and Choya tend to be held in Sinbut-jib (house of bride), and Sinhaeng in which the bride goes to the house of Sinrang (groom) was varied such as Dang-il Shinhaeng, Sam-il(three days) Shinhaeng, Dalmugi, and Haemugi. Jaehaeng was called as Sam-il Dobaegi as it was held three days after Shinhaeng. In this sense, general elements of Namgui-Yeoga in Honrye are deemed to hold attributes that retain continuingly from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to the juncture of current fieldwork research of 『Korean Rites of Pass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