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종전/해방 직후 최재희의 인격 중심적 자유주의와 반(反)봉건적 근대성 (Choi Chae-hŭi’s Personalist Liberalism and Its Anti-feudal Modernity in the Immediate Post-War & Post-Colonial Days)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4.06
46P 미리보기
종전/해방 직후 최재희의 인격 중심적 자유주의와 반(反)봉건적 근대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학연구 / 154호 / 143 ~ 188페이지
    · 저자명 : 임종명

    초록

    해방 직후 최재희(1914∼1985)는 대학의 철학 교수로, 또 미군정청 교과서 편수관으로 활동하였다. 그는 자유주의가 사회적 진보성과 유용성, 그리고 사상 체계에 있어 여타 이념보다 우수성을 가지고 있다고, 심지어 그것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전체주의를 이겼다고 생각하고, 자신의 자유주의를 체계화하는 한편 당대 담론공간에서 그것을 선전하였다.
    먼저, 최재희는 개인을 계기로 한 당대 자유주의 비판 앞에서, 자신의 ‘개인’을 자주적·독립적·주권적 주체로 정체화하는 등 자신의 자유주의를 이론적으로 체계화하면서, 자신의 자유주의를 ‘인격 중심의 자유주의’라고 규정하였다. 그리고 그는 휴머니즘에 기초한 토지 개혁과 미신 철폐 등의 반봉건적 개혁을 주장하면서, 자신의 자유주의가 가진 반봉건적 근대성을 시위하고, 한국에서 자유주의의 필요성을 실증하고자 하였다. 이점에서, 그의 자유주의는 근대 기획이었다. 하지만, 그 자유주의에는, 예컨대, ‘경험적 실재로서의 개인’과 ‘이념적 실체로서의 개인’이라는 두 개 이상의 ‘개인’이 상충하고 있었다.
    최재희의 자유주의는 종전/해방 전후 역사 변화의 지표였다. 즉, 그의 자유주의는 그 직전과는 ‘정반대’로 나타난 자유주의와 서구 근대주의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동시에, 반봉건의 근대 기획이었던 최재희 자유주의는 권력적으로 위계적인 서구 근대주의가 한국화 하는 계기로 기능하였다. 바로 이것들이 그 자유주의의 종전/해방 직후 역사적 의미였다.

    영어초록

    In the immediate post-War & post-colonial days, Choi Chae-hŭi, worked as a professor of Western philosophy and also as an official in charge of editing civic school textbook. Based upon his thought that liberalism had the superiority over other ideologies in terms of social progressiveness and systematic organization, he articulated the theory of his liberalism, and propagated it in the contemporary South Korean discursive space.
    While developing his own theory of liberalism, Choi identified individual as a modern sovereign subject, defining his liberalism as personalist liberalism. And he argued for the contemporary anti-feudal reforms as in land reform and superstition abolition, which was geared to represent the anti-feudal modernity of his liberalism, and thus to substantiate his claim for liberalism in the contemporary Korean society. In this way, he constructed his own personalist liberalism. This shows that his liberalism was a modernist project. Despite of his theoretical articulations, however, he had to face the implosions of his theory of liberalism, for an example, the mutual conflict between imagined individuals such as ‘empirical individual’ on the one hand and as ideationary one on the other.
    Choi’s liberalism was a kind of index of historical change between the time of the World War Ⅱ, and the post-War period. That is, the liberalism showed that, in the post-War days, unlike in the preceding ones, liberalism and Western modernism got rehabilitated. At the same time, Choi’s liberalism worked as a momentum which promoted the Koreanization of politically hierarchical Western modernism. These constituted the historical implications of Choi’s liberalism in the post-War and post-colonial South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