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반파국 위치 재론 (Re-discussion of Banpa(伴跛) loc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0.03
30P 미리보기
반파국 위치 재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전북사학 / 58호 / 87 ~ 116페이지
    · 저자명 : 백승옥

    초록

    반파는 가야의 한 나라이다. 『일본서기』와 『양직공도』에 등장한다. 주로 6세기 전반 대에 활약하는 모습이 보인다. 『일본서기』가 전하는 백제의 주장에 의하면, 원래 자신들의 땅이었던 기문의 땅을 반파가 빼앗았다고 하고 있다. 이에 왜(=일본)는 기문과 대사지역을 백제에 준다. 이는 『일본서기』의 과장과 날조에 의한 것이다. 그 실상은 6세기 전반 백제가 가야지역으로 진출함에 따라 반파가 맞서 싸우는 것이다.
    이러한 반파의 위치에 대해서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경상북도 성주설, 전라북도 남원설 등이 있었지만, 현재 고령설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고령설은 6세기 전반 백제에 맞서 싸울 수 있는 가야세력은 가라국일 수밖에 없다는 생각을 기반으로 한다. 반파를 곧 가라라고 보는 것이다. 최근에는 전라북도 장수설이 대두되어 주목을 받고 있다. 장수설은 장수 주변에서 성(城)과 봉수시설이 확인된다는 점을 근거로 하고 있다. 반파가 일본의 침입에 대비하여 성을 쌓고 봉수시설(烽堠)과 군사창고(邸閣)을 설치했다는 『일본서기』의 기록과 부합된다는 것이다. 고고(考古) 자료와 문헌자료의 일치점을 강조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설들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했다. 그리고 관련 사료들을 바탕으로 반파를 성주지역에 비정했다. 나아가 반파는 521~529년 사이에 고령의 가라국에 복속된 것으로 보았다. 반파를 가라국으로 볼 수 있는 여지의 사료들은 이러한 점 때문에 남아 있는 것으로 본 것이다.

    영어초록

    Banpa(伴跛) is a country in Gaya(加耶). It appears in 『Nihonshoki(日本書紀)』 and 『Yangjikgongdo(梁職貢圖』. It is mainly seen in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According to Baekje(百濟)'s insistence in 『Nihonshoki』, Banpa had taken over the land of Gimun(己汶), originally their land. And Wae(倭= Japan) gives Gimun and Daesa(帶沙) area to Baekje. This is due to the exaggeration and fabrication of 『Nihonshoki』. The fact is that Banpa fought as Baekje advanced into Gaya region in the first half of the sixth century.
    Various views exist on the location of this Banpa. There were a theory of Seongju(星州), Gyeongsangbuk-do, and a theory of Namwon(南原), Jeollabuk-do. But a thoery of Goryeong(高靈) is now prevalent. The theory of Goryeong is based on the idea that the Gaya forces that could fight Baekje in the first half of the sixth century must be Garaguk(加羅國). It is to see Banpa as Gara. Recently, a thoery of Jangsu(長水), Jeollabuk-do has been emerging and attracting attention. The theory of Jangsu is based on that castles(城) and signal-fire(烽堠) facilities are found near Jangsu. This theory is in line with the record of the 『Nihonshoki』 that Banpa built castles and set up military warehouses(邸閣) in preparation for Japanese invasion. The theory emphasizes the correspondence between archaeological sources and literature sources.
    This article critically examines these theories. And based on the related feed, Banpa is determined in Seongju. Furthermore, Banpa is regarded as subjugated to Garaguk of Goryeong between 521 and 529. This article considered the margin of historical records for which Banpa can be seen as Garaguk remains because of th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전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