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反兴与反衬的中国古代修辞学史研究 (A Study on the Ancient Chinese Rhetoric History of "Fanxing" and "Fanchen")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4.12
24P 미리보기
反兴与反衬的中国古代修辞学史研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수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수사학 / 51호 / 7 ~ 30페이지
    · 저자명 : 갈효우

    초록

    "반흥(反興)"과 "반츤(反襯)"은 아주 많이 사용하고 매우 중요한 수사법으로 "반대 기흥(起興)", "반대 친탁(襯托)", "반대 부각"이라는 뜻이다. 그 사상의 연원은 『역경(易經)』의 음양 사상에 이미 함축되며, 역사가 유구할 뿐만 아니라 우주의 모든 사람과 일의 철학을 포함하고 있다. "반흥"은 "반츤"의 기원이지만 여태까지 "반흥" 연구가 아주 적은 편이다. "반흥"은 주로 『시경(詩經)』의 예술 수법의 비평에 사용되고 본 연구에 의하면 가장 먼저 원(元)나라 때 나타났다. 명(明)부터 청(淸)까지, 심지어 현대에 이르러 각 『시경』의 주석 평가에서 보인다. "반츤"은 명(明), 청(淸)소설의 평론에서 비롯되었고 20세기 이후 지금까지 중국의 국민 교육에서 대량으로 사용해 왔다. 현재는 당시(唐詩)· 송사(宋詞) 등 고시(古詩)를 평가할 때 가장 많이 쓰다. 또한, 1930년대부터 비약적으로 발전한 중국 현대 수사 연구에서도 비교적 풍부한 성과가 있었다. 하지만 있는 연구가 연구자의 수의적 선택과 이해로 해석한 용례 연구나 대비 수사법과의 구별 연구 등에만 집중되었다.
    필자가 2022년에 지도 교수님 안남일을 교신 저자로 연구한 「중국 고전 시가 수사법으로 본 <동경 이야기>」의 학술대회 논문 외에 현재 한국, 일본 학계는 "반흥"과 "반츤" 연구가 전혀 없는 상태이고 중국 학계는 "반흥"과 "반츤"의 수사학적 역사 연구가 완전히 공백 상태이며 심지어 "츤(襯)" 자의 유래와 의미를 언급하지 않고 있다. 이에 본문은 이 두 가지 수사법의 중국 고대 수사 평론 역사의 개척적인 연구를 진행하여 발전의 역사적 원형을 그려낸다. 중국 고대는 청(淸)과 청(淸) 이전 시대를 가리킨다. 고대 수사는 고대 문체나 백화문으로 평론되어 이해에 어려움이 있어 현대문으로 해석하였다. 그리고 고대의 평론은 간결해서 생략된 것이 많고 특히 고소설 평론에서 앞뒤 줄거리를 아주 간단히 언급만 하는 것에 대해 비교적 상세한 해석을 보충하였다.

    영어초록

    "Fanxing" and "Fanchen" are very common and extremely important features of rhetoric, which means "reverse qixing" , "oppositely set off" and "reverse characterization". Its ideological origin can be traced back to the Yin-Yang thought of the Book of Changes. It not only has a long history, but also contains the philosophy of all people and things in the universe. "Fanxing" is the origin of "Fanchen". However, there has been very little research on “Fanxing” so far. "Fanxing" is mainly used to criticize the artistic techniques of the Book of Songs.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of this paper, it was first seen in the Yuan Dynasty, and it was scattered in the annotations of the Book of Songs in the Ming, Qing Dynasty and even in modern times. The "Fanchen" was born in the commentary of Ming and Qing novels. It has been widely used in the Chinese national education since the 20th century and is currently used most often to evaluate ancient poems such as Tang poetry and Song poetry. There are also relatively rich studies of "Fanchen" in the modern rhetoric research in China. However, existing research has focused only on use-case studies made by the researcher's voluntary choice and understanding or studies that distinguish them from contrast rhetoric.
    Except the academic conference paper titled “<Tokyo 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Chinese classical poetry rhetoric” that I studied with my advisor, Professor Nam II An, as a correspondence author in 2022, Currently South Korea and Japan academia have no "Fanxing" and "Fanchen" studies at all. And China have no any research on the history of rhetoric of "Fanxing" and "Fanchen", and even the origin and meaning of the word "chen" are not mentioned. Therefore, this article has conducted a pioneering study on the history of ancient Chinese rhetoric criticism of these two figures of speech, outlining the historical original appearance of their development. "Ancient China" refers to the Qing Dynasty and before the Qing Dynasty. Ancient rhetoric criticism are in classical Chinese or vernacular Chinese, which is not easy to understand. This article has explained them in modern Chinese. And ancient criticisms are often omitted because they are concise. In particular, relatively detailed interpretations were supplemented for only mentioning the plot before and after concise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수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