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 시기 국민과 시민 개념의식민성과 반(反)식민성 (The Colonial and Anti-Colonial Nature of Concepts like ‘State Citizen’ and ‘Citize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8.06
33P 미리보기
일제 시기 국민과 시민 개념의식민성과 반(反)식민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 수록지 정보 : 개념과 소통 / 21호 / 5 ~ 37페이지
    · 저자명 : 김정인

    초록

    일제 시기 식민지 조선에서 국민은 일본제국의 신민, 천황의 신민으로서의 황국신민의 정체성을 지닌 주체를 뜻했다. 다시 말해 황국신민은 일본 천황에 대한일방적 복종과 희생을 강요받는 국민을 의미했다. 이와 같이 일제 시기에 통치적·정치적 맥락에서 나온 국민이라는 개념에는 신민으로 상징되는 식민성이 내재되어 있었다. 반면 독립운동에서 국민은 독립의 주체를 뜻하는 개념으로 쓰였다. 신민으로서의 국민에 담긴 식민성과 정반대로 독립운동에 등장하는 국민에는 저항이라는 반식민성이 드리워져 있었다.
    한편 식민지 조선에서 시민적 가치와 함께 국민으로서의 신민적 가치를 품은 공민이 존재했다. 공민은 반(半)시민이자 반(半)신민을 뜻했다. 신민적 가치를 강요당하면서 입헌자치의 권리를 누리지 못하는 공민 역시 식민성을 지닌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조선인사회에서의 시민은 시민계급, 시민사회, 시민주의, 시민의회를 비롯하여 시민대회와 같은 합성어 안에 존재하면서 참여와 대안의 주체라는 의미를 품고 있었다. 또한 시민은 상설적인 시민 조직이 허락되지 않는 상황에서 시민대회라는 형식으로 식민권력에 대응하는 시민운동을 펼쳤다. 그것은식민체제 내에 똬리를 튼 반식민성을 상징적으로 보여 주는 역사였다.
    국민과 시민은 오늘날 정치적 주체를 대표하는 개념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게다가 시민운동에서 종종 운동 주체로서 시민과 국민을 혼용해 쓰듯이 두 개념이호명하는 주체로서의 대상이 분명히 나뉘질 않는다. 하지만 일제 시기에 국민과시민은 완전히 의미가 다른 개념이었다. 또한 식민 상황에 있었던 만큼 국민과시민 개념은 모두 식민성과 반식민성을 동시에 품고 있었다. 개념이 시대를 반영한다는 것을 국민과 시민만큼 잘 보여 주는 개념은 없을 듯하다.

    영어초록

    In colonial Joseon, there was a term ‘citizen of the state (國民, gukmin),’which referred to a concept of an individual who was essentially a subject ofthe Japanese empire and of its emperor. It had the same meaning as theterm ‘imperial subject’ used to denote state citizens, who were obliged tooffer absolute obedience and to endure unending sacrifice for the emperor.
    Clearly the term ‘citizens of the state’ as used in this period was a politicalone, coined by the Japanese imperial authorities as part of their oppressiverule of the Joseon people, and it succinctly symbolizes the reality of colonialJoseon. Meanwhile, however, those struggling for Joseon (Korean)liberation also used the very same term but with a different meaning:itreferred to entities who would eventually obtain liberation and freedom for themselves. This appropriation and repurposing of a word which wascentral to the Japanese occupation of Joseon epitomized the Koreanpeople’s resistance against their colonial oppressors.
    During the same period, there was also a concept ‘public citizen (公民,gongmin),’ which seems to have meant individuals who embodied thequalities of an ordinary citizen while also simultaneously the possessing theidentity of an imperial subject. One might say the nature of such conceptwas half-citizen, half-subject. It was used to refer to individuals in situationswhere they were obligated to embrace colonial values and were notallowed to enjoy the right to constitutional self-determination. Thus, the‘Gongmin’ concept was also inherently colonial. Another relevant termfrom the Joseon society of that time is ‘citizen (市民, shimin),’ which is seenin various phrases such as ‘citizen class,’ ‘citizen community,’ ‘citizenship,’‘citizen mass,’ etc., and even ‘house of citizen representatives.’ The termitself signified participating in something, with an implied alternative ofsomething else. At the time, permanent civilian organizations were ofcourse not permitted, so citizens had to oppose the imperial authoritiesthrough mass organization instead, and such activities thus gave rise to antiandsemi-colonial aspirations, prompted by the situation of colonization.
    The terms ‘Gukmin (State citizen)’ and ‘Shimin (citizen)’ are the ones mostcommonly used today to refer to political entities, and even social activistsoften use these two terms indiscriminately. Indeed, no clear distinction isusually made nowadays between these two concepts, but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these two words referred to two distinctidentities. In the colonial environment, however, both of these conceptsalso had embedded connotations which encompassed colonial, anticolonialnatures, all at the same time. One could not ask for any betterexamples of concepts which reflect the reality of that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