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일전쟁기(淸日戰爭期) 일본 신문연재소설 속 이순신(李舜臣) ―무라이 겐사이(村井弦斎)의 『조선정벌(朝鮮征伐)』과나카라이 도스이(半井桃水)의 『고사후쿠카제 속편(続胡砂吹く風)』을 중심으로― (The image of Yi Sun-sin in a Japanese newspaper serial novel at the time of the Sino-Japanese War ─Focusing on 『the Conquest of the Joseon』 and 『The Wind Blowing Yellow Sand sequel』─)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8.05
23P 미리보기
청일전쟁기(淸日戰爭期) 일본 신문연재소설 속 이순신(李舜臣) ―무라이 겐사이(村井弦斎)의 『조선정벌(朝鮮征伐)』과나카라이 도스이(半井桃水)의 『고사후쿠카제 속편(続胡砂吹く風)』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아시아인문융복합연구소
    · 수록지 정보 : 日本學硏究 / 54권 / 367 ~ 389페이지
    · 저자명 : 김준배

    초록

    청일전쟁(淸日戰爭) 시기 『미야코신문(都新聞)』과 『도쿄 아사히신문(東京朝日新聞)』에는 이순신(李舜臣)이 등장하는 두 가지 신문연재소설이 연재되었다. 그 중 하나는 임진왜란을 다룬 무라이 겐사이(村井弦斎)의 『조선정벌(朝鮮征伐)』이었으며, 다른 하나는 청일전쟁 전후 시기를 다룬 나카라이 도스이(半井桃水)의 『고사후쿠카제 속편(続胡砂吹く風)』이었다.
    『조선정벌』에서 이순신은 작품 내내 자신의 입을 통해 아군인 명군을 격하하고, 적군인 일본군을 칭송하는 등의 우호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그로인해 결국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로부터 조선이 일본과 화친하면 명을 칠 선봉장으로 세우기에 적격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청일전쟁이 한창 중이던 때, ‘훌륭한 조선인이 명보다 일본을 높이 평가’한 것, 또한 이순신의 측근 곽상(郭祥)이 ‘조선의 독립’을 희망하는 부분은, 청일전쟁에서의 일본에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한 장치였다고 생각된다. 저널리스트였던 겐사이는 분명한 정치적 목적을 갖고 『조선정벌』을 저술하고 있었음에 틀림없으며, 이순신은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고사후쿠카제 속편』에서의 이순신은 비록 작중 인물로서 등장하지는 않으나, 참언으로 인해 옥에 갇히어 그 소식을 들은 어머니가 죽게 되는 비극적 인물로서 그려진다. 조선에서 ‘유일하게 싸울 줄 아는’ 인물이었던 이순신의 이러한 비극은, 결국 조선인에 대한 비난과 현 상황을 더욱 비판적으로 만드는 장치로 사용된다. ‘유일한 인재’가 조선인 동포의 참언으로 고통 받는 것을 통해 조선의 인재대우를 묘사하며, 현재 조선에 ‘한명의 이순신도 없음’으로 연결짓는다. 인재가 한명도 없어서 겨우 좀도둑떼를 치는 데에 이웃나라의 군사를 빌린다는 전개로 이어지는 이순신의 일화는 결국 ‘조선은 반망국(半亡國)’이라는 결론을 이끌어낸다. 즉, 『고사 속편』에서 이순신의 일화는 철저히 조선을 비난하기 위한 장치로 이용된 것이다.

    영어초록

    In the 『Miyako Newspaper』 and the 『Tokyo Asahi Newspaper』 during the Sino-Japanese War, there were two series of newspaper novels in which Yi Sun-shin appeared. One of them was 『the Conquest of the Joseon』of Murai Gensai, which dealt with the Imjin-War. The other was the 『The Wind Blowing Yellow Sand sequel』by NakaRai tosui, who dealt with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Sino-Japanese War.
    In the 『the Conquest of the Joseon』, Yi Sun-sin shows favorable attitude toward Japan, such as downgrading his friendly Ming army and praising the enemy Japanese army through his mouth. When the Sino-Japanese War was in full swing, a great Korean Yi appreciated Japan better than Ming, and Yi’s friend Kwak Sang hopes to become independent of Korea. This is a device for giving legitimacy to Japan in the Sino-Japanese War. Gensai, a journalist, must have been writing 『the Conquest of the Joseon』 with a clear political purpose, and Yi Sun-sin is being used as a means to achieve such a goal.
    Yi Sun-sin at the 『The Wind Blowing Yellow Sand sequel』 is depicted as a tragic person, because he is imprisoned due to his colleague and his mother who heard the news dies. This tragedy of Yi Sun-sin, who was the only person to fight in the Joseon Dynasty, is finally used as a criticism against the Korean people and a criticism of the current situation. The story of Yi Sun-sin ultimately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Joseon is a half-ruined 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日本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