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경(國境) 안과 밖의 여성들 ―‘K–’의 곤경과 한국의 가족주의 (Problematizing the “K” Prefix : Marriage Mmigration Narratives, Kim Jiyoung, born 1982, and Korean Familialism)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1.12
23P 미리보기
국경(國境) 안과 밖의 여성들 ―‘K–’의 곤경과 한국의 가족주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문학연구 / 54호 / 284 ~ 306페이지
    · 저자명 : 강지윤

    초록

    이 글은 2000년대 중후반에 나타난 결혼이주 서사들과 2010년대 중후반 ‘페미니즘 리부트’를 대표하는 『82년생 김지영』을 같이 읽으며 이 두 가지 여성서사들이 한국의 외부와 연결되고 있는 다른 양상이 보여주는 변화를 신자유주의와 함께 작동해온 한국 가족주의에 내포된 문제성을 보여주는 지표로 독해해보고자 한다. 2000년대 중후반 다수 창작된 결혼이주 서사들은 1990년대부터 확대되어온 여성서사를 이어받아 한국 사회의 결혼이주 여성들의 현실을 조명한 작품들로 이해된다. 이 시기 결혼이주 서사들은 글로벌한 차원에서 관찰되는 이주의 젠더화 현상 속에서 여성의 돌봄노동이 저개발 국가 출신의 여성에게 이월되는 현상을 한국의 가족주의 이데올로기가 은폐하는 기제를 보여준다. 이러한 문제의식과 더불어 2010년대 중후반 ‘페미니즘 리부트’를 주도했던 여성서사인『82년생 김지영』이 결혼이주 서사가 축소된 자리에 한국사회의 ‘내부 식민자’로서의 여성 이미지를 재등장시키면서 페미니즘의 동아시아적 확대를 추동했다는 사실을 지적하는 것은 중요해 보인다. 이 글은 2010년대 중후반 페미니즘의 글로벌한 확대를 가져온 『82년생 김지영』이 앞선 시기의 결혼이주 서사가 맥락화했던 여성–인종–계급 문제를 결락하고 있는 역설에 주목할 필요성을 지적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Marriage migration narratives first began appearing in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in the latter half of 2000s, and they were understood to be a form of women’s narrative that was inherited from writers working in the 1990s. These narratives of marriage migration reflected an increase in migration, which was transforming Korea into a somewhat multi- racial society. Moreover, it reveals that the issue of migration in Korean society possessed a distinctly gendered component. This is because the recognition of emigrants as civilians occurred mainly in the form of recognizing families composed of a Korean native and foreign spouse. Therefore, it can be deduced that the ideology of familialism conceals the fact that the responsibility for care work is gradually being shifted to low-wage female workers from less-developed countries.
    In addition, it is worth noting that the novel Kim Jiyoung, born 1982, which was at the center of the “feminism reboot” phenomenon in South Korea and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Japan and China in the mid-2010s, re-popularized a female image free from the problems of class and race at a time when marriage migration narratives were gradually losing prominence. This article asserts that the success of Kim Jiyoung, born 1982 ref lects the fact the combined patriarchal and neoliberal system of Korean society, which limits the social role of women to being consumers and mothers who direct their children’s education to maintain the family’s social status, was no longer sustainable due to neoliberalism losing its hegemonic statu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