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교국가의 비전과 도덕의 사회적 실현을 위한 분투 ―초기사림파 迂拙齋朴漢柱를 중심으로― (The Vision of the Confucianism Country and Struggle for Social Actualization of Morality ―Focusing on Early Sarim Clique Ojoljae Hanju Park―)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2.08
31P 미리보기
유교국가의 비전과 도덕의 사회적 실현을 위한 분투 ―초기사림파 迂拙齋朴漢柱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 / 35권 / 35호 / 5 ~ 35페이지
    · 저자명 : 김보경

    초록

    迂拙齋朴漢柱(1459~1504)는 佔畢齋金宗直의 문인이다. 그가 남긴 작품은 賦3편, 記2편이다. 본고는 박한주에 대한 첫 연구로서, 그의 작품을세 가지 주제로 나누어 살피고 그 문학적 성취와 의의를 규명하였다.
    첫째는 왕업의 송찬과 유교국가의 비전이다. <三都賦>․<慶會樓賦>는조선 찬양 문학으로 阿諛의 성격을 드러내고 있다. 그러나 그 내면에는‘사람다움—仁’이 유교국가의 존립 근거이며 역사의 성패 요인이라는 생각, 그리고 군신의 화합, 인간과 자연의 어울림, 모든 관계들의 우주적 조화가 이루어지는 경지 즉 ‘中和位育’의 비전이 떠받치고 있다. 요컨대 이둘은 송찬의 형식을 빌려서 유교국가의 비전과 사회적 차원에서 조선을이상적 유교국가로 만들고자 하는 희망의 노래이다. 두 번째는 道統의식과 仁에 근거한 덕치주의이다. <安宅記>는 안택에성현들이 거주한 내력을 밝힌 작품이다. 안택은 곧 ‘인’이니, 그는 인을 유교의 근본으로 보고, 복희~공자․맹자에 이르는 이른바 道統을 제시한 것이다. 그에게 인은 사람다움의 보편적 근거이며 모든 인간 행위의 준거로서 간주된다. 나아가 그는 인을 ‘公共之器’로 천명함으로써, 인을 토대로한 덕치주의, 道德的公共社會의 실현을 희구하였다. 우언적 글쓰기를 활용해 성리학 문제를 흥미롭게 풀어낸 것은 이 작품의 돋보이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고립의 토포스와 도덕적 승리이다. <居東賦>․<廢絃瑟記>는이상을 실현하기 위한 과정에서 겪게 되는 고난과 극복을 아우른 작품이다.
    작품의 주인공인 周公과 비파 주인은 도덕적 고결함을 간직한 자로, 세상의비도덕적 세력들과 대결한다. 이 대결에서 주인공은 부득이하게 밀려나거나 스스로 단절하여 고립의 상황에 처한다. 그러나 이들은 끝내 하늘․진실을 회의하지 않고 도덕적 승리에 대한 확신을 견지하는 특징을 보여준다.
    부의 경우 의례적 성격이 강하나, 전체적으로 볼 때 그의 작품에는 ‘유교국가의 비전과 도덕의 사회적 실현을 위한 분투’라는 대주제가 관류하고 있다. 그것은 새 국가, 새 시대를 건설하려는 점필재와 그 문인들의 공통된 테제이기도 하다. 박한주가 두드러지는 점은, 일관되고 집중적인 주제 의식, 그것을 가탁․우의, 이야기로 엮기 등 효율적인 말하기 방식을 활용하고 문학적 역량을 다해 형상화한 것이다. 적은 수이지만 남은 작품들이 보여주는 주제의 무게감, 문학적 완성도는 충분히 평가 받을 수준이다.
    그러나 도덕적 고결주의, 도덕적 승리에 관해서는 다른 생각이 걸려든다.
    도덕적 자부와 확신은 강점이면서 동시에 한계가 아닐까? 박한주 또 많은初期士林派인물들이 겪었던 참화가 결과적으로는, 믿는 세계 또는 만들고싶은 세계에 대한 열망이 너무 컸던 까닭에, 정치적 권위(王)보다 도덕적 권위를 더 우위에 두었던 데서 초래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이다.

    영어초록

    Ojoljae Hanju Park(1459~1504) is a pupil of Jeompiljae Jongjik Kim. He has left 3 pieces of bu and 2 pieces of gi. This paper examines these works in three themes.
    First, it is praising the royal cause and the vision of the Confucianism Country.
    <Samdo-bu> and <Gyeonghoeru-bu> are literature that highly praise Choseon, equipped with flattery. But inside, there is a thought that benevolence is the foundation of a Confucianism country and factor of success or failure of history,and the vision of neutralization and satisfaction in the world in which there is natural and cosmical harmony between the king and his liege. In short, these two works are in the form of praise to express the vision of the Confucianism Country and hope to make Choseon an ideal one in social terms.
    Second, it is benign administration based on ethics and benevolence. He saw benevolence as the foundation of Confucianism in <Antaek-gi>, and traced the pedigree of ethics from Fu-hsi to Confucius and Mencius. Benevolence to him was the universal foundation of being humane as well as the standard for human behavior. Moreover, he clarified benevolence as ‘public spirit’, and aspired after the actualization of moral community and benign administration based on benevolence.
    He used periphrastic writing to deal with Neo-Confucianism issue attractively,which is an outstanding point of this work.
    Finally, it is the topos of isolation and moral victory. <Guhdong-bu> and <Paehyeonseulgi> are works that deal with hardships and subjugation in the process of actualizing ideals. The main characters of the two works have moral noblemindedness,fighting against the immoral powers of the world. In these fights, they are unavoidably ousted or they cut themselves off from the world to be in isolation.
    But they do not doubt the heavens or the truth until the end, and stick to the conviction of moral victory.
    These works have the big theme of ‘the vision of the Confucianism Country and Struggle for Social Actualization of Morality’. This is the common wish among Jeompiljae and his pupils who want to build a new country and era. Hanju Park among them stands out with his consistent and focused sense of subject, and how it is shaped with all his potential by using various efficient methods such as praise,pretense, and fellowship. Though there are not many, the remaining works have heaviness in subjects and completion of literature that are to be highly evaluated. However, moral nobility and moral victory are somewhat skeptical. Can it be said that moral confidence and assurance is a strength as well as a limit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calamities that Hanju Park and many other members of the early Sarim clique experienced might have come from giving moral authority superiority over political authority(the king), because they had such a huge desire for the world they believed in and wanted to bui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2 오후